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136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사랑은 약함으로 드러난 하느님의 힘

 

 

인간의 강함은 자만심에서 나옵니다. 인간의 자만심은 누구에게도 의존하지 않으려는 자율적인 마음과 독립적이고 통제를 좋아하며, 자기만족을 위해 움켜잡고 휘두르기를 좋아합니다. 그러므로 자신을 낮추고 내어주시는 하느님으로부터 배우려고 하지 않습니다. 눈앞의 이익을 가장 우선시하고 안전하고 즐겁고 편하기 위해 하느님을 이용하고 사람들을 이용의 대상으로 삼고 살아가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하느님의 힘이 사람의 눈에는 약하게 보이지만 사람의 힘보다 강합니다.” (1고린 1,25) 겁나고 엄청난 이 한마디가 삼위일체 하느님의 신비로 들어가는 열쇠를 우리에게 줍니다. 하느님의 약함이 삼위일체 하느님의 관계적 선 안에서 서로 나누는 친밀함으로 하나 됨을 만들고, 자신을 내어주면서 창조하고 자신을 열어 놓음으로써 받아들일 공간을 마련합니다. 내어주는 사랑에는 힘이 작용하지 않습니다. 사랑은 힘으로 하는 일이 아닙니다. 연약하고 부드럽고 따듯한 여백으로 서로의 필요성을 채웁니다.

 

하느님께서는 여러분을 그리스도 예수와 한 몸이 되게 하셨습니다. 그리스도는 하느님께서 주신 우리의 지혜이십니다. 그분 덕택으로 우리는 하느님과 올바른 관계에 놓이게 되었고, 하느님의 거룩한 백성이 되었고, 해방을 받았습니다. (1고린 1,30)

 

자기 힘으로 사는 사람은 울타리를 세우고 그것을 지키기 위하여 노심초사합니다. 그러나 하느님께서는 아버지와 아들, 성령 사이에 경계를 무너뜨리면서 동시에 내어주십니다. 자신을 온전히 내어주시지만 아버지는 아버지로 남아 계시며, 아들은 아들로 남아 계시면서 상호 간에 사랑 안에서 성령을 발견하게 합니다.

 

우리는 하느님 덕택으로 그리스도 예수와 한 몸이 되게 하셨다는 사도 바오로의 가르침은 예수님 안에서 내어주시는 하느님을 배우라고 촉구하는 것 같습니다. 예수님을 따르기 위하여 하느님의 약함을 배워야 하고, 하느님의 겸손한 마음을 우리의 몸에 지니고 살아가라고 하십니다. 내어주는 사랑이 너를 받아들일 공간을 만들 듯이 자신을 낮춰야 너를 받아들일 여백이 생깁니다. 내어주어서 생긴 공백이 자연스럽게 너로 채워집니다. 우리의 실존은 관계적 실존이며 관계를 떠나서는 하느님 나라의 현재를 경험할 수 없습니다.

 

관계의 장벽에 가로막힌 삶은 자신이 힘이 있다고 생각하는 이들이 만든 벽입니다. 누군가를 위하여 경계를 허무는 사람은 누군가로부터 돌려받습니다. 상실에서 건져 올린 소중한 너로 부족한 나를 채웁니다. 저마다 자기가 다른 누구한테 받아들여짐을 받아들이고 다른 누구에게 넘겨줍니다. 사랑은 그렇게 순환하면서 생명의 에너지로 일하시는 영의 활동으로 하느님의 사랑을 드러냅니다. 이것이 우리가 가야 할 영적인 여정입니다. 우리는 하느님께 받아들여진 존재이며 그리스도의 몸입니다. 하느님께 받아들여졌음을 받아들이고 그 결실로 너를 받아들입니다. 이렇게 받아들이기까지는 한평생이 걸립니다.

 

우리가 하느님께 받아들여진 존재라는 사실을 깨닫지 못하는 까닭은 너무나 심한 자기 비하와 자기 보호가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자신은 죄인이며 무가치하기에 그리스도의 몸이 아니라고 생각하고 그리스도와 하나가 될 수 없는 존재라고 확신합니다. 결핍과 자기방어에 익숙한 나머지 하느님 나라의 현재를 보는 눈이 멀었습니다. 기쁨을 잃어버린 하루하루가 관계의 단절로 인하여 더욱 괴롭습니다. 외적으로 강하다는 인상을 심어주려는 사람은 내면의 공허를 감추려고 그렇게 합니다. 복음은 우리에게 풍요로운 하느님 나라의 현재를 말하지만, 실존적 공허를 지닌 사람은 자기 현실이 아니라고 부정적으로 말합니다. 인간의 자만심이 만든 탐욕과 힘자랑의 전쟁이 개인과 개인, 공동체와 공동체, 나라와 나라 사이에서 죽이는 문화를 만들고 있습니다. 단절과 소외, 심각한 외로움이 자꾸만 철옹성의 울타리를 강화합니다.

 

경계를 허무는 힘없음이 벽을 허뭅니다. 하느님의 힘없음이 우리를 살립니다. 우리에게 좋은 소식은 우리의 삶이 언제나 하느님께 쓸모가 있다는 것과 우리에게 필요한 건 능력이 아니라 투명함과 상처 입기 쉬운 나약함이라는 사실입니다. 우리는 철저하게 그리스도의 몸이며 하느님의 자비와 선하심이 관계 안으로 흐르게 하는 도구들일 뿐입니다.

 

하느님께 받아들여진 존재로 그리스도의 몸이 된 우리는 이러한 하나 됨이 한 번에 완전히 해결되었다는 것이 우리에게는 상상을 초월한 기쁜 소식입니다. 우리의 노력이나 수고로 하느님과 합일시킬 수는 없습니다. 그것은 우리 안에서 일하시는 주님의 거룩한 영의 활동입니다. 성령에 의하여 이미 우리에게 주어진 것입니다. “사실 하느님의 성령께서 여러분 안에 계신다면 여러분은 육체를 따라 사는 사람이 아니라 성령을 따라 사는 사람입니다.” (로마, 8,9) 우리가 삼위일체 하느님의 근본에 닿았고, 너와 나와, 피조물과 나와의 관계 안에서 발견되었고 자유의 집으로 돌아온 것을 깨닫게 되면 넉넉함과 풍요로움으로 가득 찬 삼위일체 하느님의 관계적 선이 우리의 관계 안에서도 지금 여기서 누릴 수 있는 하느님 나라로 발견될 것입니다.

 

사랑은 약함으로 드러난 하느님의 힘입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77 성삼일 사랑의 축제. 사랑은 길을 찾아냅니다.   성삼일 사랑의 축제. 사랑은 길을 찾아냅니다.   하느님 사랑의 극치 극치의 하느님 사랑   성목요일 내어주는 몸 쏟는 피 발을 씻어주는 섬김의 현장 극치의... 이마르첼리노M 2024.03.27 366
1476 선의 흐름 속에 있는 사람들은 그저 존재함으로써 치유합니다. 선의 흐름 속에 있는 사람들은 그저 존재함으로써 치유합니다.   위대한 사랑은 인간의 자유가 사랑을 위해 쓰일 때 가장 위대합니다. 위대한 고통은 벗을 위해 ... 이마르첼리노M 2023.06.06 252
1475 선은 그 자체로 보상이며 악은 그 자체로 처벌입니다. 선은 그 자체로 보상이며 악은 그 자체로 처벌입니다.   하느님께서 우리를 사랑하시니 우리도 우리의 도움이 필요한 이들을 사랑하는 것입니다. 그것이 예수께... 이마르첼리노M 2024.02.01 247
1474 생존에서 그리스도의 신비로, 생존에서 그리스도의 신비로,   우리 인생을 전반부와 후반부로 나눈다면 전반부와 후반부는 전혀 다른 모습으로 살아가야 할 것입니다. 대부분 전반부의 인생은... 이마르첼리노M 2024.06.20 79
1473 새해 첫 시간의 묵상 새해 첫 시간의 묵상   사람에게 쏟아부으시는 하느님 선에서 흘러나온 한 모금 기쁨에서 분출되는 웃음 사람의 얼굴에 나타난 하느님의 현존   어느 것 하나도 ... 이마르첼리노M 2024.01.01 250
1472 삼위일체 하느님의 샘에서 흘러나오는 자비와 선 삼위일체 하느님의 샘에서 흘러나오는 자비와 선     삼위일체 하느님! 저는 당신을 이렇게 불렀습니다. 창조되지 않고 모양도 없는 존재의 신비로 존재하시는 ... 이마르첼리노M 2024.04.07 244
1471 삼위일체 하느님은 우리들의 관계로 이사를 오셨습니다. 삼위일체 하느님은 우리들의 관계로 이사를 오셨습니다.   아이스크림 하나를 손에 들면 그 이상 바라 것이 없는 듯, 모든 복잡하고 깊이 있는 질문을 완전히 잊... 이마르첼리노M 2024.05.26 81
1470 사람이 사람이기를 포기하면 동물의 왕국에서 사는 것입니다. (무죄한 아기들의 순교 축일에) 사람이 사람이기를 포기하면 동물의 왕국에서 사는 것입니다. (무죄한 아기들의 순교 축일에)   사람이 사람이기를 포기하면 동물의 왕국에 살겠다고 선언하는 ... 이마르첼리노M 2023.12.28 272
1469 사도 베드로의 신앙고백과 우리의 믿음 사도 베드로의 신앙고백과 우리의 믿음   “지극히 높으시고 영광스러운 하느님이시여, 내 마음의 어두움을 밝혀주소서 주여! 당신의 거룩하고 진실한 뜻을 실행... 2 이마르첼리노M 2023.04.26 334
1468 부활하신 주님의 영에 사로잡혀 아직 걸어가지 않은 길을 가는 사람들 부활하신 주님의 영에 사로잡혀 아직 걸어가지 않은 길을 가는 사람들   창조는 하느님 사랑의 표현이자 사랑의 대상이었습니다. 사랑으로 창조하신 피조물을 통... 이마르첼리노M 2024.04.02 258
1467 부활은 역설의 행복 부활은 역설의 행복 자신에게 소중한 것을 내어주면 줄어드는 것이 아니라 넘치게 된다. 혼자만 먹으면 맛이 없다. 혼자만 가지려 하면 기쁨이 줄어든다. 혼자... 이마르첼리노M 2023.04.17 274
1466 볼 수 없는 하느님을 볼 수 있게 해주는 사람들 볼 수 없는 하느님을 볼 수 있게 해주는 사람들   나는 볼 수 없는 하느님을 볼 수 있도록 해주는 표지를 성사라고 배웠고, 볼 수 없는 하느님이 볼 수 있는 하... 이마르첼리노M 2024.06.18 411
1465 발을 씻어주는 성사(聖事) 발을 씻어주는 성사(聖事)   공관복음에 나오는 최후 만찬이 내어주는 몸과 쏟는 피라는 것을 드러내 준다면 백 년 후에 써졌다는 요한복음에서는 제자들의 발을... 이마르첼리노M 2022.04.14 506
1464 받아들여진 존재와 받아들인 존재는 하나의 몸이다. 받아들여진 존재와 받아들인 존재는 하나의 몸이다.   내가 하느님께 받아들여진 존재가 되는 것과 하느님께서 나에게 받아들여진 존재가 되는 것을 허용할 수 ... 이마르첼리노M 2023.01.25 271
1463 무엇을 신심이라고 하나요? (깨끗하고 흠 없는 신심) 무엇을 신심이라고 하나요? (깨끗하고 흠 없는 신심)   수많은 이들이 복음의 말씀에 기초를 두고 예수님을 따르기보다 신심 위주의 신앙생활을 하는 이들을 쉽... 이마르첼리노M 2024.02.06 111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