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225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생명의 빵 (무상성과 보편성의 잔치)

 

내어주는 몸과 쏟는 피로 하느님의 생명을 인간에게 주시는 무상성과 보편성의 잔치가 성체성사를 통해 양식과 음료로 주님의 식탁에 차려졌습니다. 자신을 길과 진리와 생명이라고 말씀하신 예수님께서는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먹고 마셔야 하는 일상의 음식으로 자신을 내어주십니다.

 

나는 성체를 받아 모실 때마다 그분을 받아 모실 자격에 대해 어릴 때부터 배운 것은, 죄가 없어야 받아 모실 수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양심 성찰을 통해 고백성사를 보고 죄의 사함을 받은 후에 성체를 받아 모실 수 있었습니다. 죄 중에서 그분을 받아 모시면 안 된다는 강한 압박 때문에 양심을 거스르는 사소한 죄까지도 깨끗하게 준비해야 성체를 받아 모실 자격이 있다고 생각해 왔습니다. 우리가 일상의 음식을 먹을 때마다 죄와 대면해야 한다면 음식을 즐겁고 마음 편히 먹을 수 있기란 쉽지 않을 것입니다. 나는 성체성사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은 예수님에 대한 믿음과 신뢰의 태도라는 생각이 점점 커졌습니다. 왜냐하면 예수님께서는 당신을 내어주시면서 자격심사를 하시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입니다.

 

죄의 고백과 영성체의 문제는 교회 안에서 그렇게 깨끗한 마음으로 준비해야 한다는 사실은 맞지만 믿음의 문제는 죄의 문제보다 훨씬 더 중요하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 인간은 누구나 죄없이 살아가는 사람은 없습니다. 죄가 주는 가장 큰 피해는 단절입니다. 관계의 단절로 인하여 생기는 충돌과 마찰은 음식을 먹을 마음이 없게 만듭니다. 갈등과 스트레스를 받으면 식욕이 없어지게 마련입니다. 자격이 문제라기보다 내면의 평화가 더 중요합니다. 내면의 평화는 관계의 평화가 있을 때 가능합니다. 관계의 평화는 자만심과 탐욕으로 깨지고 맙니다. 내가 운전대를 잡으면 길이 되신 분을 따라갈 수 없습니다. 내 안에 주님의 영과 그 영의 거룩한 활동을 지니지 않으면 믿음이 주는 자유를 잃어버립니다. 자유를 잃어버리면 언제나 내가 중심이 되고 내가 중심이 되면 관계가 어려워집니다. 이러한 관계의 순환 속에서 단절이 주는 죄는 심각합니다.

 

너를 받아들일 공간과 여백이 없는 사람은 내어주시는 사랑을 느낄 수가 없습니다. 다만 복을 받기 위해 하느님과 너를 이용의 대상으로 여길 뿐입니다. 수없이 많은 영성체를 해 왔어도 자신을 내어줄 줄 모르는 신자들이 너무나 많습니다. 자기밖에 모르는 사람들이 예수님의 내어주시는 몸을 아무리 많이 받아 모신들 너를 위해 자신을 내어줄 마음이 없다면 성사의 의미는 사라지고 말 것입니다. 아무런 대가도 없이 무상의 식탁에서 거저먹고 마시는 우리는 우리의 관계에서 무상성이 실현되도록 할 때 비로소 성체성사의 의미가 살아날 것입니다.

 

생명의 빵은 그리스도의 몸이며 그리스도의 몸은 우리의 관계 안에서 흐르는 선으로 생명을 줍니다. 빵은 함께 나눌 때 신비롭게 서로를 비춥니다. 공존은 나눌 때 가능합니다. 삼위일체 관계로부터 나오는 선을 공유하는 신비가 생명을 주는 빵이 되신 그리스도의 몸으로 배고픔과 갈증을 멈추게 합니다. 너의 필요를 채우는 빵으로 나를 내어주는 그곳에 생명의 신비가 만발합니다. 성찬례는 신뢰와 사랑으로 서로를 받아들이는 관계의 신비이며 거기서 나오는 기쁨이 잔치를 즐겁게 합니다. 값없이 베푸시는 은총으로 충만해진 내가 너를 받아들여 너와 하나 되는 몸으로 일치를 이루는 거기에 생명의 빵으로 자신을 내어주시는 영의 현존이 있습니다. 성찬례에서 우리가 할 일은 무릎을 꿇고 굳은 믿음 안에 반듯하게 서는 일이 전부입니다. 죄가 문제가 아니라 믿음이 문제입니다. 자격이 문제라기보다 사랑이 문제입니다. 내어줄 마음이 없이 성체를 모시는 것이 더 큰 문제입니다. 자신을 낮추어 음식으로까지 내어주시는 사랑 앞에 굽실거릴 필요가 없습니다. 그분은 우리를 대하실 때 동등함을 넘어 몸을 굽혀 우리의 발아래에서 발을 씻어주시고 양식과 음료로 우리를 대하시기 때문입니다. 하느님께서 우리를 그렇게 대하시는 데 우리는 좋아서 어쩔 줄 모르는 아이처럼 그렇게 기뻐해야 하지 않을까요?

하느님이 예수님 같은 분이시라면 우리는 그분 앞에 굽실거리기보다 즐거워해야 할 것입니다.

 

무상으로 내어주시는 사랑의 잔치에 참여한 이들은 슬픈 표정이나 괴로운 표정을 짓지 말아야 합니다. 잔치에서는 경건함보다 즐거움이 큽니다. 잔치에서는 죄보다 하느님의 자비가 더 큽니다. 그리스도의 몸을 받아들여 몸과 마음에 그분을 간직하고 살아가는 관계의 현장에 생명이 흐릅니다.

 

성체성사는 무상성과 보편성의 잔치입니다.

나는 하늘에서 내려온 살아있는 생명의 빵이다. 이 빵을 먹는 사람은 누구든지 영원히 살 것이다. 내가 줄 빵은 나의 살이다. 세상은 그것으로 생명을 얻을 것이다.” (요한 6,50-51)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57 사목과 정치 사목과 정치   사랑이 빠진 사목은 정치다. 사목은 삼위일체의 하느님의 사랑을 전달하기 위하여 하느님의 소통방식인 자기 비움이라는 마음으로 사람들... 이마르첼리노M 2017.10.05 1155
756 나는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다  진실을 살아가기가 쉽지 않습니다.  내가 지금껏 살아왔던 것들을 포기해야 하며,  아니 포기까지는 아닐지라도,  지금까지의 방식과 다른 삶을 살아야 하기... 김명겸요한 2016.12.15 1156
755 철거작업 오전에 옆마당 풀뽑는 작업을 했다. 군데군데 풀이 나있어서 오전중에 뽑았는데 사방에서 난리가 난 것이었다. 이유는 사람들이 아니라 풀속에 숨어서 살고 있던 ... 일어나는불꽃 2018.05.19 1159
754 후라이팬 후라이 팬   팬들이 모여 진짜 왕을 뽑기로 했다   지방에서 도시에서 외국에서 유명한 팬클럽의 대표들이 모였다   열혈팬 왕팬 극성팬 ... 이마르첼리노M 2017.08.12 1168
753 도둑과손님 몇년전 친정집에 갔을적에 집안에 고양이가들어왔다. 내가 보기에는 명백한  도둑고양이였다. 그러나 어머니께서는  그 고양이가 들어어게끔 문도 열어놓고 밥도... 일어나는불꽃 2015.01.27 1172
752 까치둥지묵상 1    내 방 창문너머에 까치부부 한쌍이 둥지를 만들고 있다. 난 얼마전부터 한쌍의 까치들이 둥지를 짓는 모습들을 지켜보고 관찰하고 있었다. 난 지켜보면 지켜... 일어나는불꽃 2017.02.18 1172
751 추위 속의 사색 추위 속의 사색   혹한의 밤 속살을 파고드는 추위 날개를 웅크리고 떨고 있는 둥지속의 새   사람에게 추위란 신의 제단에 바쳐진 제물   배... 이마르첼리노M 2016.01.21 1180
750 2017 포르치운쿨라 행진 2일차(7/22) &lt;2017 포르치운쿨라 행진 2일차&gt; 7/22일(토) * 구간 ; 레일바이크승강장 ~임원해양경비안전센터 * 참여인원 ; 34명 * 구간참가자 ;   강릉 애지람 엄삼... file 김레오나르도 2017.07.23 1181
749 겨울 母性 겨울 母性    편지 글 1 가난의 절기는 겨울 옷을 벗은 겨울나무들은 서로를 소유하지 않기에 춥습니다. 새봄의 훈훈함으로 새싹을 기르... 1 이마르첼리노M 2015.12.03 1189
748 하느님 자비에 대한 믿음 하느님 자비에 대한 믿음   믿는다는 것은 하느님이 우리를 사랑하신다는 것을 믿는 것이다. 예수께서는 믿음을 조작하는 아들에 맞서 행동하셨다 해방을... 이마르첼리노M 2017.09.26 1189
747 관점 바꾸기 관점 바꾸기   초록도 고비를 넘겼다 이글거리는 태양이 지지건만 저항도 없이 내어맡겼다 더는 내 디딜 수 없는 가파른 한계점 초록빛깔은 더 이상 초... 이마르첼리노M 2015.08.31 1192
746 겨울의묵상-겨울눈의 지혜- +그리스도의 평화 겨울에  하늘에서   내리는눈들 한송이  작고작은   눈들이지만 그작은  눈속에는   지혜가있어 우리게  삶의지혜   가르쳐주... 일어나는불꽃 2015.02.17 1193
745 성숙한 염원 성숙한 염원 큰 나무에 있어서는 부분이 문제되지 않기에 커다란 뜻과 커다란 사랑에선 지엽이란 스치고 지나가는 것 인간적이며 전인적인 진실의 모든 발성 찾... 이마르첼리노M 2014.09.21 1194
744 프란치스코와그의글2 ⑤ 나환자와 의 만남: 1205년 말 어느 날 프란치스코는 시골길을 가다 나환자를 만났다. 나환자는 프란치스코가 가장 혐오하던 이였다. 그는 나환자들이 있는 곳... 김상욱요셉 2015.08.27 1196
743 부활아침에 쓰는 편지 부활의 아침에 쓰는 편지 새벽의 여명이 열리면서 돌무덤을 열고 나온 빛처럼 나의 눈시울에서 찬연히 피어오르는 한 사람의 모습, 커다랗게 두 팔을 벌리고 그 ... 이마르첼리노M 2016.03.27 1205
Board Pagination ‹ Prev 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