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온유하고 겸손한 사랑을 배운 사람은 너를 부끄럽게 하지 않습니다.

 

위로부터 사랑을 받을 때 변화가 가능합니다. 신비체험은 나를 몸소 선택하시는 하느님에 의하여 내가 선택되었음을 알게 되고 하느님께서 나를 사랑으로 창조하셨기에 내가 사랑받는다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나는 온전히 하느님에 의하여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이 사실을 아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하느님의 손에 들려있는 창조의 도구요 육화의 도구로써 자신을 인식하지 못하면 자신이 주인인 것처럼 행동합니다.

 

내가 바뀔 때 하느님께서 나를 사랑하시는 것이 아닙니다. 하느님이 나를 사랑하셔서 내가 바뀔 수 있습니다. 사랑받아야 변할 수 있고 선하신 하느님을 관계 안에서 발견해야 내가 변할 수 있습니다. 기도하는 사람은 자신의 판단보다 하느님의 판단을 좋아합니다. 판단은 우리의 몫이 아닙니다. 그러나 판단하고 심판하고 단죄하는 이들은 인과응보의 가치체계에 묶여있기 때문입니다. 신앙은 압도적이고 거대한 신비에 연결되어야 생명의 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습니다.

 

하느님의 너그러우심과 받아들이심은 언제나 나를 능가하시고 나는 나를 사랑하는 어떤 누구보다 더 나를 사랑하신다고 믿고 있습니다. 나의 불완전성과 미숙하고 자주 넘어지는 현실 안에서도 그분은 나를 사랑하고 계심을 압니다. 그분께서 나를 창조하실 때 조금 모자라게 만드셨기에 그분께서 나를 사랑하시는 것이고 다른 이들을 통해 나에게 보여주는 사랑으로 내가 살아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좋은 부모들은 자녀들을 부끄럽게 만들지 않습니다. 꾸짖고 야단쳐서 죄를 들춰내려고 하지 않습니다. 하느님께서도 사람을 부끄럽게 하여 인도하시지 않습니다. 그 방법은 효과가 없습니다. 자녀들에게 매를 들고 벌주기를 좋아하는 부모 밑에서 자란 사람은 어른이 되어 자기 자녀들을 가르칠 때 여전히 같은 방식으로 아이들에게 공포와 불안과 죄의식을 부추겨 부끄럽게 함으로써 그들을 가르칠 수 있다고 생각할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자녀들은 스스로 문을 닫고 아무도 신뢰하지 않으면서 더 큰 상처를 입지 않으려고 자기방어에 온갖 수단을 동원하게 할 뿐입니다. 그런 방법은 효력이 없습니다.

 

우리를 알고 사랑하시는 하느님의 방식은 언제나 확실한 결과를 가져다줍니다. 마음이 온유하고 겸손하신 예수님께서는 우리에게 당신 멍에를 메고 배우라고 초대하십니다. 그분께서는 온유하고 겸손한 사랑으로 우리를 부끄럽게 하시지 않으며 아버지의 품으로 안내하십니다. 이러한 은총을 깨닫지 못하고 우월감에 중독되어 사는 이들이 많다는 사실이 더 놀랍습니다.

 

내어주는 사랑을 받은 우리는 내어주는 사랑으로 응답함으로써 기쁨과 자유를 누립니다. 잃었던 아들을 품에 안으시는 아버지의 자비가 작은아들과 큰아들에게 내면의 변화를 주었듯이 우리는 하느님의 너그러움과 받아들임을 통해 사랑받고 있음을 더욱 확실하게 느낄 것입니다. 우리는 아버지의 품에서 사랑받고 있기 때문입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3 아.. 아직 멀었구나! + 평화와 선 거룩한 주일 잘 지내시길 바랍니다. 저는 나름대로 주님을 생각하며 산다고 그리고 노력해 볼 것이라고... 거듭 반성하며, 저 자신과 약속을 하곤 합... 정마리아 2006.04.02 5124
52 4월의 목요만남 길 몸이 가는 길이 있고 마음이 가는 길이 있습니다. 몸이 가는 길은 걸을수록 지치지만 마음이 가는 길은 멈출 때 지칩니다. 몸이 가는 길은 앞으로만 나 있지만... 골롬반선교센터 2006.03.29 7555
51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마더 데레사] 기획 초대 사진전 -------------------------------------------------------------------------------- 사진전 안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마더 데레사] 기획 초대 사진전 2006.... 세실리아 2006.03.28 9249
50 문의합니다. 라는 성서강좌를 하신다고 들었습니다. 언제부터 시작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소나기 2006.03.28 6371
49 고통은 곧 사랑이며 희망이다. + 평화와 선 어느덧 사순시기도 다 지나는 것 같네요.. 형제 자매님들께서는 어떻게 지내시고 계신지.. 저 역시 반성하면서, 아주 작은 고통을 경험했는데 써볼까... 1 정마리아 2006.03.28 5642
48 서로의 믿음이 없을때 ..... 살다 보면 누구에게는 마음을 열고 누구에게는 마음을 닫고 싶을것입니다 그것은 나만 그런것이 아니라 남도 다 그렇습니다 왜 일까요 ? 그것은 상대 ?가 믿을수... 1 file 2006.03.26 5363
47 황정민 루가가 평창동 식구들에게 전합니다. 평화를 빕니다! 루가 엄마입니다. 엊그제 편지가 왔습니다. 인천에 가있고 자대는 17사단이며 훈련소도 17사단이랍니다. 주소는 '인천광역시 부평구 구산동 사서... 2 김점순 2006.03.25 11175
46 함 읽어 보세요. 한겨레 21 기사. 회의많은 회사는 망한다. http://h21.hani.co.kr/section-021011000/2006/03/021011000200603170601038.html“회의 많은 회사는 망한다” 회의문화 개혁에 나선 회사들, 문제는 횟수가 아니... 신성길 2006.03.24 10254
45 God said NO 나는 하느님께 나의 나쁜 습관을 없애달라고 기도했다. God said NO 나쁜 습관은 내가 없애주는 것이 아니라 네가 포기하는 것이다. 나는 하느님께 장애아를 완벽... 마중물 2006.03.23 7371
44 제 6기 평화나눔 아카데미 수강 안내 http://nanum.com 푸르고 여린 새싹들이 언 땅을 뚫고 일어서는 새봄 [평화나눔 아카데미]가 더욱 새로워진 모습으로 여러분 앞에 다가갑니다. [평화나눔 아카데... 평화나눔 2006.03.20 13493
43 딸기 드시와요 ㅎ ~~ {FILE:1} {FILE:2} {FILE:3} 진달래 피고요 ㅎ 딸기 드시와요 수사님. . 여기 오랜지도 드시와요 ㅎㅎ . 1 file 분두 ~~ 2006.03.17 7026
42 대전 수련소에 계시는 형제님 안부가 궁금합니다. + 평화와 선 지난 2월9일 목동 수련소에 일이 있어 갔는데, 마침 다리 다친 형제님께서 목발을 짚고 나오시는데, 저도 다리가 불편해서 붙잡아 주어야 계단을 올... 1 정마리아 2006.03.14 8827
41 흘러가는 시간들 작은형제회에 계신 모든 분들 안녕하신지요? 시간과 세월이 흐르는걸 실감할 때마다 되돌아보면서, 항상 작은형제회에 감사드립니다. 제가 찾아뵙고 싶은 분들도 ... 2 홍시몬 2006.03.11 10362
40 아, 예수님의 수난. 아, 예수님의 수난. 오, 주 예수 그리스도여! 어떤 슬픔도 당신의 것과 견주어 질 수 없습니다. 당신은 너무나도 많은 피를 흘리셔서, 당신의 온 몸이 그 피로 흠... 1 김베르나르디노형제 2006.03.10 5700
39 오늘이라는 선물 http://www.corebang.com 세상이 도대체 나에게 해준것은 무엇일까 생각해 보았는데 세상은 매일 아침 나에게 '오늘'을 선물해 주더군요 오늘도 난 24시간의 가능... 이믿음 2006.03.09 6851
Board Pagination ‹ Prev 1 ...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