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2ce8413a51f876a30b86f989bb52efba.png


참회하는 성녀 막달레나(1794-1796)

작가 : 안토니오 카노바 Antonio Canova1757-1822

크기 : 대리석 청동 95x79x77cm

소재지 : 이태리 제노바 노바 스트라다(Nova Strada) 미술관


교황 성 요한 바오로 2세께서는 성녀 막달레나를 예수님의 13번째 사도라고 불렀는데 이것은 참으로 놀라우면서도 획기적인 일이었다. 가톨릭 교회 안에서 막달레나 성녀는 창녀 생활을 하다가 회개한 여인으로 알려지고 있었는데, 이것은 놀랍게도 교회 역사에서 성군으로 칭송 받는 그레고리고 대교황의 주장으로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교황은 신약성서에 나타나고 있는 타락한 생활을 하다 참회했다는 여인에 대한 일화들을 모아 짜깁기 하고 이것을 성녀 막달레나라는 인물로 귀착시키면서 성녀 막달레나는 창녀로 회개한 크리스챤의 대명사가 되었다.


이런 주장을 뒷받침할 근거는 성서의 구절 중 다음과 같다. 요한복음 12,3에 나오는 향유를  예수님 발에 붓고 자기 머리칼로 그 발을 닦은 여인, 루카복음 7,36에 나오는 바리사이가 사는 고을에 있는 죄인으로 평판되는 여인의 모습, 요한복음 8,3-11에 등장하는 간음하다 잡힌 여인의 관한 내용을 합성해서 성녀 막달레나가 만들어 졌고 이것이 교황의 말이라 아무 의문이나 저항이 없이 교회에 퍼지면서 성녀에 대한 이미지는 회개한 여인이라는 것으로 압축되었다. 한마디로 회개하는 교회의 중요한 가르침을 전하기 위해 너무 고심하다 보니 엉뚱한 자료를 통해 이것이 전달되었고, 그 예가 바로 막달레나 성녀에 대한 잘못된 이미지로 정착되었다.


헌데 이것은 우리 교회만의 가르침이고 개신교는 물론 우리와 같은 신앙 분위기를 풍기는 동방교회에서도 전혀 다른 모습으로 믿고 있으며 이런 현실에서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말씀은 오늘 우리도 이것을 반성하고 개신교나 동방교회의 견해로 돌아갈 것을 노력하고 있다는 긍정적 징표로 볼 수 있다.


어떤 선의의 방법이던 사실을 왜곡하면서 전달한다는 것은 하느님 이전 인간의 태도로서도 잘못된 것이다. 주님의 십자가 곁을 지키고 부활하신 주님을 가장 처음 만나 부활의 산증인이 되었던 마리아 막달레나는 주님을 열렬히 사랑했던 여성으로 이해하는게 가장 성서적인 바탕에 맞는 것이다. 


이런 근거의 바탕을 줄 수 있는 마리아 막달레나의 이미지는 성서의 다음 내용에서 찾을 수  있다.


루카 8,2에 나오는 악령과 병에 시달리다가 낫게 된 여인

        마태 27,56에 등장하는 예수님 십자가를 멀리서 바라보는 여인 중 하나  

요한 20,15에 등장하는 부활하신 예수님을 처음으로 만난 여인이다



이런 관점에서 성녀 막달레나를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께서 말씀하신 “예수님의 13번째 제자”라는 것은 참으로 막달레나의 위상을 바로 표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 근년에 온 세계를 발깍 뒤집어 지게 만든 ”다빈치 코드“라는 책에선 막달레나를 예수님과 결혼한 인물로 묘사하기도 했는데 주장은 이렇다. 역사적으로 예수님이 십자가에 못박혔을 때 죽은게 아니라 가사 상태인 것을 제자들이 훔쳐가 치료해서 프랑스 지방으로 피신시키면서 그때 막달레나가 동반했는데, 거기서 막달레나와 부부처럼 살면서 자식까지 낳았다고 한다. 이 자식이 오늘도 프랑스의 왕족으로 살아 있다는 내용인데, 가톨릭 신자들인 우리에게는 황당한 것이나 성녀 막달레나가 누구보다 주님을 사랑했던 여인이라는 관점만 생각한다면 이런 추측도 가능하다는 생각이 든다.


이런 면에서 교황님이 예수님의 13번째 제자로 신분을 격상시킨 것은 참으로 예수님을 너무 열렬히 사랑했던 막달레나 성녀의 진면모에 대한 합당한 표현으로 볼 수 있다.


작가는 당시 유행하던 신고전주의 양식으로 작품을 제작했다. 물론 작가는 예수님의 13번째 제자라고 부른 것을 전혀 알지 못하고 창녀로서 회개하는 여인의 이미지로 작품을 제작했다. 하긴 작가의 전 세기에 피렌체에서 활동했던 유명한 조각가 도나텔로(Donatello)는 창녀의 이미지로 성녀상을 제작하면서서 너무도 충격적인 장면으로 성녀를 묘사했으며 이런 시기에 작가는 신고전주의적인 기법으로 도나텔로와 전혀 다른 작품을 제작했다.


e8b55be656260e28fe9e68d82564e240.png


이것은 그리스 로마의 조각에서 발견될 수 있는 이상화된 형태를 통한 아름다움의 추구를 지향하는 것이며 당시 사회가 지향하던 이상화된 형태를 통한 아름다움의 추구와 당시 유럽인들이 바라던 사회적 가치의 반영을 목표로 했기에 대단한 감동을 줄 수 있었다.


작가의 작품은 희랍 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신들을 제작해서 많은 사람들애게 고전적 미학에 대한 동경을 불러 일으키면서 대단한 역할을 했다.


작가는 이런 고전적 아름다움의 전달에 너무 몰두하면서 교회 미술에 대한 표현은 그리 많이 하지 않는 처지에서 성미술로서의 이 작품은 작가의 작품 중 예외적인 것으로 볼 수 있다.

97eeaa518244a7c4ad1035989ddc9a25.png


우선 막달레나 성녀의 모습은 더 없는 아름다움으로 표현되고 있다. 작가가 신고전주의 조각의 완벽한 아름다움으로 표현한 얼굴엔 눈물이 흐르고 있다. 눈은 아래를 뜨고 무릎에 있는 십자가를 바라보고 있다.


그 옆에는 해골이 놓여 있는데 이것은 인간 밀애의 실상이다. 인간은 살아있는 동안 바로 이 해골인 자기의 참 모습을 보지 못하고 그림자처럼 지나가는 허상에 정신을 빼앗겨 여러 잘못에 빠지게 된다.


앞에서 언급한대로 막달레나에 대한 잘못된 이미지 창녀 생활을 청산하고 예수의 제자로서 삶을 시작한 막달레나 성녀에 대한 모습이지만 좀 더 포괄적인 차원에서 본다면 인간 삶의 실상을 바로 확인함으로서 어떤 유혹이나 착각에 빠진 우리 인생을 바르게 살아갈 수 있는 또다른 의미의 이정표를 제시하고 있다는 면에서 우리가 걸어야 할 길을 알리는 이정표의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너무도 아름다운 모습의 인간을 통해 표현할 수 있는 죄에 대한 자책감과 슬픔의 표현은 대단히 세련된 표현이 요구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기에 회개의 눈물은 오히려 도나텔로처럼 인간적 처절함으로 표현하는 것이 오히려 더 설득력을 낼 수 있는 것임에도 작가는 아름다움 속에 너무도 품위있게 표현된 아름다움을 통해 회개라는 것이 인간 삶에서 얼마나 중요하고 고귀한 것인지를 표현했다는 면에서 회개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표현한 새로운 작품을 만들 수 있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성화이야기

이요한 신부님의 성화해설 나눔게시판입니다.

  1. 예수 성심(Sacred Heart of Jesus) : 젠 노턴 (Jen Norton)

    제목 : 예수 성심(Sacred Heart of Jesus)  작가 : 젠 노턴 (Jen Norton) 크기 : 아크릴 소재지 : 개인 소장  가톨릭 전례는 참으로 신앙의 내용이 무엇인지를 알리기 위해 성령 강림후 즉시 삼위일체 대축일,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 그리고 예수 성심 ...
    Date2024.06.16 By이종한요한 Reply0 Views402 file
    Read More
  2. 참회하는 성녀 막달레나(1794-1796) : 안토니오 카노바 Antonio Canova(1757-1822)

    참회하는 성녀 막달레나(1794-1796) 작가 : 안토니오 카노바 Antonio Canova1757-1822 크기 : 대리석 청동 95x79x77cm 소재지 : 이태리 제노바 노바 스트라다(Nova Strada) 미술관 교황 성 요한 바오로 2세께서는 성녀 막달레나를 예수님의 13번째 사도라고...
    Date2024.06.01 By이종한요한 Reply0 Views152 file
    Read More
  3. 아기 예수님께 우유 죽을 먹이시는 성모님 Madonna della Pappa(1510) : 제랄드 다비드 Gerard David

    아기 예수님께 우유 죽을 먹이시는 성모님 Madonna della Pappa(1510) 작가 : 제랄드 다비드 (Gerard David), 1460~1523 크기 : 캠퍼스 유채 41 x 32 cm 소재지 : 이태리 제노바 스트라다 노바(Strada Nova) 미술관  성모님은 우리나라 일부 개신교의 극보수...
    Date2024.05.16 By이종한요한 Reply0 Views112 file
    Read More
  4. 금화가 있는 바니타스(Coin Vanity) : 17세기 스페인 학파

    제목 : 금화가 있는 바니타스(Coin Vanity)   작가 : 17세기 스페인 학파 크기 : 캔버스 유채 45x59.5cm 소재지 : 프랑스 루앙(Rouen) 미술관  스페인 역사에서 16세기 중반부터 17세기 중반까지를 황금세기라 부른다. 아메리카 대륙의 발견으로 스페인의 식...
    Date2024.05.01 By이종한요한 Reply0 Views248 file
    Read More
  5. 순교자(2014) : 빌 비올라(Bill Viola : 1956 ~)

    제목 ; 순교자 (2014) 작가 : 빌 비올라(Bill Viola : 1956 ~ ) 크기 : 140 x 338 x 10 cm 장소 : 영국 런던 세인트 폴(St. Paul Cathedral)성공회 대성당 교회가 복음 선포의 주요 도구로서 성미술을 이용한 것은 인간의 감성에 접근해서 복음을 선포하는 것...
    Date2024.04.16 By이종한요한 Reply0 Views137 file
    Read More
  6. 그리스도의 부활 Resurrection of Christ(1700) : 노엘 쿠아펠 Noel Coypel(1628-1707)

    제목 : 그리스도의 부활 Resurrection of Christ (1700) 작가 : 노엘 쿠아펠 Noël Coypel (1628-1707)  크기 : 캔버스 유채 350 x 255 cm  소재지 : 프랑스 랭스(Rennes) 미술관 예수님의 부활 신앙은 크리스챤 신앙의 핵심에 속하는 것이다. 예수님의 십자가...
    Date2024.04.01 By이종한요한 Reply0 Views187 file
    Read More
  7. 올리브 동산의 예수님 (Agony in the Garden : 1459~1465): 죠반니 벨리니( Giovanni Bellini: 1430~1516)

    제목 : 올리브 동산의 예수님 (Agony in the Garden : 1459~1465) 작가 : 죠반니 벨리니( Giovanni Bellini: 1430~1516) 크기 : 목판 템페라 81 X 127cm 소재지 : 영국 런던 국립 미술관(National Gallery, London) 예수님 삶의 큰 분기점인 십자가와 부활은 ...
    Date2024.03.16 By이종한요한 Reply0 Views395 file
    Read More
  8. 하느님의 어린양 (Agnus Dei 1635-40) : 프란치스코 수르바란 (Francisco de Zurbarán :1598-1664)

    제목 : 하느님의 어린양 (Agnus Dei 1635-40) 작가 : 프란치스코 수르바란 (Francisco de Zurbarán :1598-1664) 크기 : 켐퍼스 유채 62 X 38cm 소재지 : 스페인 마드리드 프라도 미술관 (Museo del Prado)        예수님 생애의 분기점은 십자가의 죽음과 부...
    Date2024.03.01 By이종한요한 Reply0 Views228 file
    Read More
  9. 사순절과 카니발과의 투쟁 : 히에로니모 보쉬(1450- 1516)

    제목 : 사순절과 카니발과의 투쟁 작가 : 히에로니모 보쉬(1450- 1516) 크기 : 캠퍼스 유채 59 X 118.5 cm 소재지 : 화란 로테르담 미술관 (Museum Boijmans Van Beuningen, Rotterdam)   대부분의 성미술은 성서나 교리의 내용의 전달을 목적으로 하기에 성...
    Date2024.02.16 By이종한요한 Reply0 Views388 file
    Read More
  10.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상 (2023) : 한진섭 (요셉)

      이름 :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상 (2023) 작가 : 한진섭 (요셉) 크기 : 이태리 카라라 대리석1높이 3.7M X 1.8M 소재지 : 바티칸 성 베드로 대성당    3년 전  국가간의 교육, 과학, 그리고 문화 교류를 통한 국제 협력을 촉진함으로써 평화와 안전에 ...
    Date2024.02.01 By이종한요한 Reply0 Views261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 43 Next ›
/ 43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