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2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여덟째 날: 경탄함과 경외함

당신의 삶에서 경탄함의 문으로 들어갈 때, 당신이 일상사의 빛을 경험하게 하는 단순한 방식들은 무엇인가? 다른 말로 하면, 당신의 숨을 멎게 하거나 당신을 변화시키는 하느님의 현현일 수 있는 그런 큰 사건이 아닌, 당신에게 삶의 맛을 즐기게 하는 하느님과의 경이로운(소소한) 만남은 무엇인가?

 

첨언) 우리의 삶에는 하느님께서 일으키는 삶의 경이로움은 일어납니다. 관건은 이 경이로움에 대해 우리가 얼마만큼 열려있고 이 경이로움에 젖어드는가?’일 것입니다. 우리 삶 가운데에서 아름다운 자연이 함께하고 있고 소중한 만남들은 있습니다. 이 배경에서 어떤 이는 보다 많이 그리고 보다 깊이 삶의 경이로움에 젖어들고 어떤 이는 그렇지 못합니다.

최근 누군가가 성령의 역할에 대해 이런 이야기를 하였습니다. “성령은 우리가 옳고 그런 것을 식별하도록 한다.” 그의 말은, 저에게 예수님의 성령은 과연 어떤 작용을 하였는가?’ 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예수님의 성령이, 옳고 그런 것을 식별하는 영에만 집중하게 했다면, 예수님께서는 어떻게 간음하다가 잡힌 여자를 대했을까? 아마 잘못한 것을 다시 말하는 정도의 접근밖에 할 수 없지 않았을까? 예수님의 성령은, 옳고 그른 것을 식별하게도 하지만, 하느님의 생명이 살아나게 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차리고 행동하도록 이끄셨습니다.

성령의 작용을 옳고 그름의 식별로 여길 때, 우리의 삶의 길은 두 갈래 밖에 없어 보입니다. ‘옳은 것을 하느냐? 하지 않느냐.?’ 그리고 그 결과는 성령을 따르느냐? 따르지 않았느냐?’ 이런 해석은 삶을 정돈되게 하고 삶을 단순하게 살아가도록 이끕니다. 하지만 삶의 모호성과 사람들의 다름은, 그 판단에 의문을 던지게 합니다. 그리고 그 판단은 성령에 의해 시작되었어도 사람이 하는 것이기에, 그는 자신이 삶아온 환경이나 배운 것으로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그 판단이 도전을 받을 때, 우리는 마치 자기의 판단이 하느님의 것인 양 옳음을 더 강하게 주장하고 이 주장에 매이기도 합니다. 그러할 경우, 삶에는 여유가 없어지고, 일어나는 하느님의 경이로움을 내가 막거나 내가 만나지 못하는 길을 갑니다.

성령의 작용은 하느님의 생명을 바라보고 하느님의 생명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우리의 선택의 폭은 다양하게 펼쳐집니다. 율법에 안식일을 거룩하게 지키라고 하는데, 이 거룩함을 누군가 낫게 함으로써 더 깊이 살아나게 할 수도 있습니다. 간음한 여인에게 무엇이 죄인지 구지 말을 하지 않고, 그의 처지에 함께 마음 아파하며 하느님의 생명에서 멀어진 이가 다시 그 길로 돌아서도록 이끌게 합니다. 우리는 이 여정에 참여함으로, 주도권은 계속 하느님께 내어드리며, 우리 가운데에 일어나는 것을 관조하며 젖어 들어갑니다.

옳고 그름을 식별하는 영은, 어릴 때에(우리의 생존의 시기) 외부에서 들려왔던 목소리와 연관이 있어보입니다. 그 길을 따르면 사랑받을 수 있고 생존할 수 있는 가능성이 컸습니다. 그런데 그 길은 나의 진정한 모습을 발견하도록 이끄는 데에는 부족합니다.

삶의 모호성은 우리가 어른이(얼의 사람) 되도록 이끕니다. 삶의 모호함 가운데에 이 영은 과연 나와 너에게 생명을 일으키는 것이 무엇인지 욕심없이 바라보게 합니다. 그리고 이 영은 삶의 모호함 가운데 일어나는 삶의 경이로움에 불안함으로 반응하는 것이 아니라, 깊은 신뢰로 되돌아가게 합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 중세 기행 (3) : 아벨라르와 엘로이즈 (Abelard and Heloise]의 연애 사건 하느님 중심의 사고방식에 젖어있던 중세에 인간의 가치성은 현대에 비해 미미했다. 교회의 가르침이 사회 모든 분야를 다 지배했고, 종교에서의 인간은 하느님의... file 이종한요한 2015.01.26 11943
21 오, 주여 제게 왜 이런 시련을 내리시나이까. 20분을 작성한 글인데, 사용자 인증이 잘못 되었다는, '띠옹'하는 경박한 소리와 함께 말끔히 사라졌습니다. 오. 글을 다시 ... 1 프란치스코 아씨시 2011.03.21 12007
20 페이스북 메시지로 온 사연 소개합니다. 가족을 찾고 있습니다. 평화와 선 입양된 분으로서, 가족을 찾는 분의 사연을 여기에 옮겨봅니다. 혹시 도움을 주실 분은 아래 연락처로 알려주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file 홈지기 2013.04.07 12032
19 계시의 말씀 설명 http://www.sky000.com나는 내마음 대로 이편지를 보내 드리는 것이 아니고 예수님께서 명령하신 대로 이말씀을 보내 드리니 읽어 보시고 연락 주십시요. ○계시의... 이 열기 2010.11.20 12262
18 프란치스코 영화를 보고 나서(II)-복음적 이상에 대한 프란치스코의 확신과 회칙 Michelle Soavi의 성 프란치스코 영화 2부에서 프란치스코는 글라라를 받아들이고 아버지에게 &#51922;기는 글라라를 피신시키려 형제들과 함께 바오로 수녀원으... 12 김 레오나르도 2009.11.13 12353
17 제6기 (대전)프란치스코 영성강좌 안내 제6기 (대전)프란치스코 영성강좌 안내 &#8901; 주제 : 내면의 행복에 이르기 위한 길 &#8901; 기간: 3월 9일-6월 27일(15주간) (매주 목요일 14시-16시) &#8901;... 1 관리형제 2006.01.19 12535
16 프란치스코 영화를 보고 나서(III)-프란치스칸 형제 공동체 (Franciscan Fraternity) Mickey Rourke 주연의 성 프란치스코는, 솔직히 얘기해서, 좀 실망스럽습니다. 주인공이 제가 가지고 있는 프란치스코의 이미지와 많이 다르고 연기력도 좀 떨어... 4 김 레오나르도 2009.11.20 12750
15 약점을 이기는 방법 흔히들 강한 사람은 어떤 일도 불안해 하거나 겁내지 않고, 어떤 어려움도 흔들림 없이 꿋꿋하게 헤쳐 나갈 거라고 생각한다. 또 그들은 모든 약점을 이겨 냈기 ... 소경화 2011.07.14 13148
14 마리아의 원죄없으신 잉태에 대한 복자 둔스 스코투스의 논증 복자 둔스 스코투스의 마리아의 원죄없으신 잉태 설명 1. 성 보나벤투라의 추론 (1) 보나벤투라는 마리아의 원죄 없으신 잉태와 관련하여 교회 안에 전해내... 1 고 바오로 2010.12.08 13371
13 제 6기 평화나눔 아카데미 수강 안내 http://nanum.com 푸르고 여린 새싹들이 언 땅을 뚫고 일어서는 새봄 [평화나눔 아카데미]가 더욱 새로워진 모습으로 여러분 앞에 다가갑니다. [평화나눔 아카데... 평화나눔 2006.03.20 13493
12 2011년 프란치스칸 영성 학술 발표회 2011년 프란치스칸 영성 학술 발표회 올해로 제13차를 맞게 되는 2011년도 프란치스칸 영성 학술 발표회는 “창조물의 신비”를 주제로 프란치스칸 생태 영성의 방... 고 바오로 2011.03.24 14362
11 내 영혼의 달디단 위로, 심리학 초콜릿 어려서부터 익히 겪어왔던 경험인데도 적응이 안 되고, 매번 똑같은 상황이 반복될 때마다 똑같이 대처하고 똑같이 상처받는, 그런 경험 많을 것이다. 왜 나는 사... 2011.07.22 14683
10 책을꼭읽어야하는10가지 이유 책을 읽어야 하는 10가지 이유/안상헌/북포스 ① 깨어있는 삶 위해 ② 인생 비밀찾는 즐거움 ③ 꿈 심어주는 역할 ④ 몰입의 힘 길러주고 ⑤ 지식·창조의 지혜 얻어 ⑥ ... 굿바이 2011.07.20 14859
9 이해인의 비밀 이해인- 비 밀 겹겹이 싸매 둔 장미의 비밀은 장미 너만이 알고 속으로 피흘리는 나의 아픔은 나만이 안다 살아서도 죽어 가는 이 세상 비인 자리 이웃과 악수하... 최경화 2011.07.13 15273
8 <공지> 자유게시판 사용에 대하여 자유게시판은 이름 그대로 자유롭게 글을 올리실 수 있는 곳입니다. 한 줄의 메세지라는 짧은 방명록이 있으나, 길게 방명록을 적고자 하시는 분들이나, 다른 사... 관리형제 2006.01.19 15450
Board Pagination ‹ Prev 1 ...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