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2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여덟째 날: 경탄함과 경외함

당신의 삶에서 경탄함의 문으로 들어갈 때, 당신이 일상사의 빛을 경험하게 하는 단순한 방식들은 무엇인가? 다른 말로 하면, 당신의 숨을 멎게 하거나 당신을 변화시키는 하느님의 현현일 수 있는 그런 큰 사건이 아닌, 당신에게 삶의 맛을 즐기게 하는 하느님과의 경이로운(소소한) 만남은 무엇인가?

 

첨언) 우리의 삶에는 하느님께서 일으키는 삶의 경이로움은 일어납니다. 관건은 이 경이로움에 대해 우리가 얼마만큼 열려있고 이 경이로움에 젖어드는가?’일 것입니다. 우리 삶 가운데에서 아름다운 자연이 함께하고 있고 소중한 만남들은 있습니다. 이 배경에서 어떤 이는 보다 많이 그리고 보다 깊이 삶의 경이로움에 젖어들고 어떤 이는 그렇지 못합니다.

최근 누군가가 성령의 역할에 대해 이런 이야기를 하였습니다. “성령은 우리가 옳고 그런 것을 식별하도록 한다.” 그의 말은, 저에게 예수님의 성령은 과연 어떤 작용을 하였는가?’ 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예수님의 성령이, 옳고 그런 것을 식별하는 영에만 집중하게 했다면, 예수님께서는 어떻게 간음하다가 잡힌 여자를 대했을까? 아마 잘못한 것을 다시 말하는 정도의 접근밖에 할 수 없지 않았을까? 예수님의 성령은, 옳고 그른 것을 식별하게도 하지만, 하느님의 생명이 살아나게 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차리고 행동하도록 이끄셨습니다.

성령의 작용을 옳고 그름의 식별로 여길 때, 우리의 삶의 길은 두 갈래 밖에 없어 보입니다. ‘옳은 것을 하느냐? 하지 않느냐.?’ 그리고 그 결과는 성령을 따르느냐? 따르지 않았느냐?’ 이런 해석은 삶을 정돈되게 하고 삶을 단순하게 살아가도록 이끕니다. 하지만 삶의 모호성과 사람들의 다름은, 그 판단에 의문을 던지게 합니다. 그리고 그 판단은 성령에 의해 시작되었어도 사람이 하는 것이기에, 그는 자신이 삶아온 환경이나 배운 것으로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그 판단이 도전을 받을 때, 우리는 마치 자기의 판단이 하느님의 것인 양 옳음을 더 강하게 주장하고 이 주장에 매이기도 합니다. 그러할 경우, 삶에는 여유가 없어지고, 일어나는 하느님의 경이로움을 내가 막거나 내가 만나지 못하는 길을 갑니다.

성령의 작용은 하느님의 생명을 바라보고 하느님의 생명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우리의 선택의 폭은 다양하게 펼쳐집니다. 율법에 안식일을 거룩하게 지키라고 하는데, 이 거룩함을 누군가 낫게 함으로써 더 깊이 살아나게 할 수도 있습니다. 간음한 여인에게 무엇이 죄인지 구지 말을 하지 않고, 그의 처지에 함께 마음 아파하며 하느님의 생명에서 멀어진 이가 다시 그 길로 돌아서도록 이끌게 합니다. 우리는 이 여정에 참여함으로, 주도권은 계속 하느님께 내어드리며, 우리 가운데에 일어나는 것을 관조하며 젖어 들어갑니다.

옳고 그름을 식별하는 영은, 어릴 때에(우리의 생존의 시기) 외부에서 들려왔던 목소리와 연관이 있어보입니다. 그 길을 따르면 사랑받을 수 있고 생존할 수 있는 가능성이 컸습니다. 그런데 그 길은 나의 진정한 모습을 발견하도록 이끄는 데에는 부족합니다.

삶의 모호성은 우리가 어른이(얼의 사람) 되도록 이끕니다. 삶의 모호함 가운데에 이 영은 과연 나와 너에게 생명을 일으키는 것이 무엇인지 욕심없이 바라보게 합니다. 그리고 이 영은 삶의 모호함 가운데 일어나는 삶의 경이로움에 불안함으로 반응하는 것이 아니라, 깊은 신뢰로 되돌아가게 합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33 겨울 해 겨울 해 연한 회색하늘 한 가운데 겨울 해가 흐릿한 주홍빛 물감으로 풀어져 있다 창호지 넘어 조명등을 켜 놓은 듯 눈이 전혀 부시지 않아 그렇게도 편하고 부... 2 이마르첼리노 2011.01.25 4684
532 사해사본과 그리스도의 기원 전시회 용산 전쟁기념관에서 6월 4일까지 사해사본과 그리스도의 기원 전시회가 열리고 있다. 사해사본이란 쿰란의 동굴에서 우연히 발견된 성서 두루마리를 말하는 것이... 김요한 2008.02.05 4687
531 많은 기도 부탁드립니다. 20개월 된조카가 정확한 병명도 모른채 중환자실에서 사경을 헤매고 있읍니다. 제가 외국에 있는 관계로 다른 가족들과 함께 할 수 도 없고, 미사신청도 할 수 없... 이로사 2007.04.28 4688
530 비유   가을 바람에 낙엽들이   떨어지고 하나의 작은 낙엽   손을 잡으면 잡혀지고   손으로 뭉개면 가루가 되고   책에 꽃으면 책갈피가 되는데... file 일어나는불꽃 2013.11.08 4689
529 어느 할아버지의 유언 어느 할아버지의 유언   “난 네 어머니에게 잘못한 것이 많다.   네가 나대신 어머니께 잘 해드려라”   마지막 숨을 몰아쉬며 아들에게 남긴 한마디였... 이마르첼리노M 2013.12.20 4689
528 자유는 자유롭기에 자유를 선택한다. 자유는 자유롭기에 자유를 선택한다. 하느님으로부터 받은 위대한 선물은 생각하는 능력이 아니고 사랑할 수 있는 자유이다. 모든 피조물들을 지배하려는 자유가... 이마르첼리노 2010.12.15 4691
527 안셀름 그린 신부님 초청 영성강좌 안녕하십니까? 21세기는 문화와 영성의 시대라고 합니다. 저희 전&#8228; 진&#8228; 상 교육관은 2007년, 올해로 50돌을 맞이하면서 항상 이 시대 사람들의 목마... 전진상 영성 2007.05.24 4697
526 MYSTIC ART FESTIVAL http://www.istancoreofm.org/이스탄불에서 MYSTIC ART FESTIVAL이 열리고 있습니다. 이번 공연은 종교와 문화간 대화를 중심으로 이루어 지고 있습니다. 지난해 ... 영성사무국 2009.02.14 4697
525 2006 감마영성 트레이너 기본과정 안내 감마영성 트레이너 기본 과정 1995년부터 한국에 뿌리내리기 시작한 감마교육(GAMMA, 총체적인 경영교육)이 감마(感摩, 감사하는 마음을 연마하는)영성운동으로 ... 전.진.상 교육관 2006.11.25 4699
524 메아리가 없는 메아리 3  +그리스도의 평화           우리동기들은 교육기 때 등산을 하면서   목표지점에 도달하려고 하다가   길을 잘못들어서 다시 ... 일어나는불꽃 2013.10.19 4700
523 [나눔]- 살아감이란..... 저는 지난 토요일에 '젊은이 피정'에 참가하기 위해 간단한 짐을 꾸려 피정의 집으로 향하고 있었습니다. 가던 중... 제 친구 경수로부터 전화가 걸려 왔습니다. ... 홍성한 벨라르미노 2007.02.25 4708
522 미얀마를 위한 기도부탁 많은 분들이 소식을 들어서 알고 계시겠지만 미얀마는 얼마전에 사이클론으로 10만명에 달하는 인명피해를 입었다고 합니다. 주택과 공공시설에 관한 피해까지 ... file 관리형제 2008.05.14 4716
521 늘 고맙습니다. http://blog.ohmynews.com/specialin/category고생 많으시네요. 안녕하세요. 저는 어제 즉문즉답에 참여한 사람인데요. 2층 강의실에서 제가 우산을 놓고 왔거든... 이인 2008.11.28 4720
520 오감으로 만나는 하느님 (공동체 피정) 오감으로 만나는 하느님 &#8211; 공동체 피정중에, 오랜 장마비가 그치고 개인 날, 성바오로 피정의 집에서 드높은 메타쉐콰이어의 그늘아래 앉아 오감으로 하느... 이마르첼리노 2011.07.07 4722
519 2학기토착화신학당 개강안내 2006년 2학기 토착화 신학당 개강 한국그리스도사상연구소(소장=심상태몬시뇰)가 주최하는 「토착화신학당」에서는 “21세기 한국교회의 토착화와 영성”이라는 주... 한국그리스도사상연구소 2006.08.21 4732
Board Pagination ‹ Prev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