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230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T 온 누리에 평화

 

여기 정동 수도원 입구에 애지중지 돌보는 작은 무궁화 한 그루가 있습니다.

커다랗고 튼실한 나무로서 잘 자라주기를 희망하면서 거름과 매일 물주기를 게을리 하지 않았지요.

그런데 한주간 연피정을 다녀 오니, "맙소사!" 작은 송충이들이 잎이란 잎은 몽땅 갉아 먹어치운 겁니다.

한 60Cm 정도 크기의 대만 달랑 남았으니, 이것이 더 이상 살 수 있으런지조차 의문입니다.

 

전체적으로 돌아가는 자연의 신비를 대할 때 보통 생명과 아름다움을 이야기하지만,

어린 무궁화 잎을 송두리채 갉아 먹어치운 송충이와의 관계를 생각하면

아픈 마음이 오래 가시지 않는 겁니다.

 

하기사 지난 세월, 산 속 성거산에서 지냈을 때 같은 맥락의 경험이 되살아 납니다.

어느 할아버지가 손바닥만한 작은 무궁화 묘목 여러 그루을 주시어

좌우 올라가는 길섶에 심었더니 여간 잘 자라는 게 아니어서, 어서 꽃필날 만을 손꼽아 기다렸지요.

그런데 웬일인지 손가락만한 송추이들이 어디에서 생기는 건지, 매일 새벽마다 몇 마리씩 잡아주는 게 일과가 되었답니다.

그냥 놔두었다간 연한 잎을 싹쓸이할 테니까요.

그렇게 정성을 들여 그 해에는 물론 다음 해에는 갖가지 다른 모양의 화려한 무궁화꽃을 감탄스레 볼 수 있었지요.

가끔 그 무궁화들이 매년 꽃을 잘 피우고 있을까...그림을 그려보면,

워낙 송충이를 잘 타는 나무라 웬만큼 부지런하지 않으면...고개를 잘래잘래 흔들게 된답니다.

 

그런데 송충이는 뭐지요?

꽃의 꿀을 따려 작고 큰 날개짖을 하는 화려한 나비들의 전신이 송충이가 아닌가요?

나비들은 자신들의 후손을 잘 보존하도록 본능적으로 알과 송충이들이 잘 자랄 수 있는 나뭇 잎을 선택하게 되구요.

나비와 송충이와의 신비한 관계를 알게되면,

자연적으로 돌아가는 생명의 신비에 대하여 몰라도 너무 몰라 송충이는 죽여야 하고 무궁화 나무는 애지중지해야 하는

자연에 반하는 저의 애고(Ego)가 여지없이 드러나는 거지요. 동양적인 사고에 의하면, 무아(無我)의 경지를 견지하여

작고 큰 그런 아픔들조차 초월해야 한다고 도사님처럼 그럴 듯 하게 시치미를 뗄 수도 있겠고요.

 

어디 송충이로 생명의 경각에 이른 이 무궁화 뿐이겠나요?

그 자리 바로 옆엔 오래 전에(15년?) 수십년 자란 거목, 오동나무가 있었답니다.

제가 극구 반대했어도, 아니, 반이나 1/3정도 만이라도 남겨놓자 건의를 했어도

그 시절 원장님의 단호함에 의해 제가 외출한 날, 인정사정없이 베어버리게 된 거지요.

이유는 떨어지는 꽃과 잎이 지저분하고 눈에 거슬린다나요.

지금은 싹뚝 잘린 그 오동나무 커다란 밑둥이만 남아 있어 그 옆을 지나칠 적마다 죽은 그 나무의 유혼이

이렇게 독백을 되뇌일 것만 같답니다.

       "나, 오동나무 귀신... 그토록 오랜 세월 살다 간 생명이 안스러워 두고두고 그 자리를 떠나지 못하고

        그 주변을 맴돌고 있다오. 원귀되어 하루 아침 생명을 앗긴 설음을 주체하지 못하면서 말입니다!"

 

자고로 함부로 사람에게나 자연사물에게나 씻을 수 없는 깊은 아픔, 상처를 입히는 건...하느님 사랑에 등을 돌리는

거나 마찬가지니까요.   

 

왜 그런 말이 있잖아요?    어느 마을에 터줏대감같은 거목이 있으면 함부로 배어서는 안된다는...오랜 세월 견디어 온

그런 나무에 대한 생명 존중이라고 해야 할까요. 시골 마을에는 마을의 평화를 지켜주는 그런 거목에 대한 일화들이

한 두개쯤은 있어, 듣는 이들로 하여금 '전설따라 삼처리'같은 이야기들이 종종 회자되는 건 괜한 소리가 아니니까요.


생활나눔

일상의 삶의 체험을 나눕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8 옛 것에 대한 소중함 T 평화와 선. 꼭 10년 전 '안식년' 때의 일이다. 기회가 닿아 오래 전 내가 공부하던 영국,캔터베리엘 갔었다. 놀랍게도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는 말이 무색할 ... 2006.02.05 2685
327 옛 거지들과 오늘의 행려자들 나의 일터(소공동 일대) 주변엔 행려자들 여럿이 늘상 눈에 띈다.요즘같이 영하로 내려가는 추위에, 그들을 대할 때마다 참으로 측은해 진다.  참으로 일손이 시... 김맛세오 2020.12.16 979
326 예수를 만나거든 도망가라. * 예수를 만나거든 도망가라. * 예수가 올때 그대는 결코 마음의 현존을 사용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것은 위험하기 때문이다. 그는 그대에게 아무것도 줄 것 같... 1 idiot 2008.10.12 1649
325 예쁜 해골...? T 온 누리에 평화   아니 뭔 말인고?  세상 천지에 해골이 예쁘다니...?   그랬다.  며칠 전인 월요일에 영면하시어 팔당 천주교 공원묘지에 모셔진지 38년째... 김맛세오 2014.10.02 1554
324 예루살렘의 안베다 신부님 T 평화를 빌며. 예루살렘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안신부님! 매년 부활과 성탄 즈음엔 카드를 보내드렸고 또 신부님께서도 저를 위해 특별히 미사 ... 1 김맛세오 2012.12.15 3901
323 영지버섯 그리고 야생란에 대한 오랜 추억 T 온 누리에 평화를 빌며... "아이고마, 기여코 고 예쁜 영지버섯을 뉜가 캐어가고 말았네!" 뭔 말인고 하면, 내가 자주 산책을 가는 경희궁 내에 웬 작은 영지버... 김맛세오 2020.08.25 727
322 영지(靈芝)야 반갑다 T 늘 평화가 함께 하시길... 버섯을 보면 역시 어릴 적 생각이 난다. 동작동(현 현충원 자리) 우리 집 뒷산엔 이렇듯 장말철이나 우기엔 소쿠리 하나 들고 뒷 산... 2007.08.05 2405
321 영적 친구들 T 평화가 강물처럼... 그냥 보내기 아쉬운가... 2008년을 장식이라도 하 듯 백설애애 온통 성거산 골짜기를 덮었다. 겨울다운 삭풍에 푸르른 솔잎조차 춤을 추니,... 1 2008.12.30 2132
320 연약함과 십자가 T 평화가 강물처럼 공사가 한창 마무리 단계에 있는 이곳, 비는 별로 달갑지 않은 손님이다. 그런데 오늘은 아침부터 철철 내리는 빗소리...! 농사짓는 분들에겐 ... 1 2008.06.05 1672
319 연민이란 인간(관계)을 잘 이어주는 다리 T 평화와 자비   지난 해, 교황님이 강조하신 '자비'의 의미가 무엇인지 곰곰 생각해 봅니다.   어느 유명한 절 앞,커다란 바위에다 새겨놓은 '자비무적(慈悲... 김맛세오 2017.01.17 1413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52 Next ›
/ 5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