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470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그리스도의 평화

 

 

 

 

 

우리동기들은 교육기 때 등산을 하면서

 

목표지점에 도달하려고 하다가

 

길을 잘못들어서 다시 내려가고 다시 올라가고,

 

우로 좌로 우왕좌왕 할때가 있었다.

 

그러다가 우리 동기 셋은 어떤 등산길로

 

들어서서 가는데 길이 넘 험하고 거칠었다.

 

그래서 우여곡절 끝에 하산해서 보니

 

팻말이 하나 있는 것이 보였다.

 

"입산금지 등산로 없음" ..!!

 

그래서 우리는 깨달아서 알게 되었다.

 

우리가 간 길이 등산로가 아니었다는 것을

 

우리가 그렇게 고생을하고 가시에

 

찔려가면서 온것이 사실

 

등산로가 없던 길이었던 것이었다.

 

우리가 등산중에 올바른 길을 알고서

 

목표지점에 잘 도달하는 것도

 

어떻게 보면 지헤로운 것이다.

 

산으로 올라가는 진리를 아는 것이고,

 

지혜를 아는 것이라고 할 수가 있을 것이다.

 

올바른 이정표를 알지 못하고

 

등산을가면 헷갈릴 수가 있는 것이고,

 

잘못된 길로 들어서서 시행착오가 생길수가 있다.

 

그것은 아직 산으로 올라가는 길을 잘 모르고,

 

등산길에 있어서 무지하기 때문이다.

 

그러다가 우여곡절 끝에 목표지점에

 

도달하는 길을 바로 알게 되고 깨닫게 되면

 

그 깨달은 것이 끝이 되고,

 

목표에 도달한 것이 되는 것이 아니라

 

여태까지 잘못알고 왔던 길을

 

다시 되돌아가던가 아니면 처음부터

 

다시 새로 시작해야 하는 것이다.

 

잘못알고 왔던 길을 오다가 올바로된

 

길을 알았을때 다시 내려가야 하고,

 

혹은 처음부터 시작하거나 또 아니면

 

그때부터 올바른 길을 가야 한다.

 

그것이 지혜로운 등산길이 될 것이다.

 

잘못알고 왔다가 올바른 길을

 

알게 된 것이 깨달은 것이 끝이 아니다.

 

완성한것이 아니다. 새로운 시작인 것이다.

 

더 나아가야 하는 것이다.

 

우리의 삶도 마찬가지가 아닌가 싶다.

 

우리는 지혜를 알고 배우기를 원하지만

 

그것을 깨달았다고 해서 그것이 끝은 아니다.

 

그때부터 다시 시작이다.

 

자신이 깨달은 지혜를 삶으로 살아야 하는 것이다.

 

불교에 알려진 스님들의 행적을 보아서도

 

알수가 있듯이 깨달았으면

 

그것이 끝이 아니라 항상 새로운 시작이었다.

 

동서양과 역사와 시대를 넘어서서

 

지혜를 추구했던 수도자들이나 현인들도

 

마찬가지였었지만 말이다.

 

그러나 자신이 알고 있다고 믿고,

 

깨달아서 알고 있다고 믿고 있는

 

수 많은 사람들은 새로운 시작이 아니라

 

그것이 마지막이고 끝인양 살아가는

 

사람들이 많은 것이 현실이다.

 

자신이 깨달은 것을 삶으로 실천하려고 하지는 않고

 

오히려 말마디만을 배우고 익혀서

 

대중앞에서 자랑하고 칭찬을 얻으려고 하는

 

많은 이들과 종교계에 속해있는 많은이들이 있다.

 

예수님께서도 말씀하셨듯이 "그러니 그들이 너희에게

 

말하는 것은 다 실행하고 지켜라.

 

그러나 그들의 행실은 따라하지 마라

 

그들은 말만하고 실행하지는 않는다(마태오 23장3절)"

 

또한 성 프란치스코도

 

"그런데 업적을 이룩한 분들은

 

성인들이었지만 우리는 그들의

 

업적들을 그저 이야기만 하면서

 

영광과 영예를 받지 원하니,

 

이것은 하느님의 종들인 우리에게

 

정말로 부끄러운 일입니다"라고 말했듯이

 

우리가 지혜를 깨달아 안다는 것은

 

그것이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이라는

 

것을 알아야 하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의 삶은 마치 등산중에 잘못된

 

길을 걷다가 올바른 이정표를 보고

 

다시 새롭게 시작하는 것과도 같은 것이다.

 

산에서 들려오는 소리가 있다.

 

산은 우리에게 이렇게 말한다.

 

"잘못된 길을 걸어 와서 올바른길을 알았을때

 

그것이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입니다.

 

거기에서 안주하지 말고 새롭게 다시 시작하십시오"

 

라고 말한다 산에서 들려오는 소리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82 그리운 오야마 수녀님 그리운 데레사, 오야마 수녀님 올해 산청 성심원이 개원 60주년을 기념했다. 1957년 우리나라의 여러 현실은 열악했기에, 사회사업 수준역시 어느 분야 보다... 이종한요한 2019.11.28 790
981 옷을 벗는 자유 (이미지 관리) 옷을 벗는 자유   지배할 필요도 굽신거릴 필요도 없이 자유롭게 살려면 자신이 만들었거나 외부의 평가가 만들었거나 그 이미지에 집착하지 말아야 한다.... 이마르첼리노M 2019.11.28 576
980 진실해야 닮을 수 있다. 진실해야 닮을 수 있다.   진실해야 변화가 이루어진다. 하느님의 이미지가 깨달음 안에서 변화하면 나도 바뀌어야 한다. 그 변화의 과정이 진실할 때 하... 이마르첼리노M 2019.11.26 594
979 십자가 위에서 부르는 노래 십자가 위에서 부르는 노래   다가가기 쉽고 다정하고 겸손하며 끊임없이 환대해주려는 마음으로 내 것과 네 것의 경계를 넘어 하느님의 자비와 선하심... 이마르첼리노M 2019.11.26 563
978 눈물의 이유 눈물의 이유   이해할 수 없는 감동 씻어주는 상처 부드럽게 해주는 앎 하느님의 손길 하느님의 마음을 아는 표시 가슴 벅찬 슬픔 실핏줄까지 범람하... 이마르첼리노M 2019.11.24 564
977 만추의 하늘 아래 만추의 하늘 아래   가을은 사과처럼 빨갛다. 노란 은행잎 주홍의 벚나무와 느티나무 메타쉐콰이어 가로수 길 먼 산의 낙엽송 산골에 피어오르는 파르... 이마르첼리노M 2019.11.16 538
976 당신 덕분에 꽃이 핍니다 당신 덕분에 꽃이 핍니다.   아름다운 말에는 꽃이 핍니다. 부드럽고 다정한 말에는 꽃이 핍니다. 순수하고 단순한 말에는 꽃이 핍니다.   가시 돋친... 이마르첼리노M 2019.11.14 647
975 과정의 진리 과정의 진리   인생의 후반기 삶에는 다 이상 영웅이 될 필요가 없고 참다운 자신이 될 필요만 있게 된다. 그리스도와의 일치는 지배하려는 나의 독재성과... 이마르첼리노M 2019.11.12 575
974 거울에 비친 나를 바라보기 거울에 비친 나를 바라보기   개별 정체성이 허용되는 시대에 내가 나를 어떻게 생각하는가?   어떻게 느끼는가? 특별한 존재 열등한 존재 우월한 ... 이마르첼리노M 2019.11.07 538
973 소리 없는 소리로 경작하는 땅 소리 없는 소리로 경작하는 땅   내 존재의 땅 내가 서 있을 수 있는 존재의 토대는 예수께서 아버지의 삶에 참여하듯이 예수 그리스도의 삶에 참여하는 ... 이마르첼리노M 2019.11.06 438
972 밤의 끄트머리에서 밤의 끄트머리에서   하느님의 지혜는 무뎌진 양심 무뎌진 정신 무뎌진 감수성을 날카롭게 한다.   고통은 정보의 홍수 속에서도 잠자는 지혜를 깨... 이마르첼리노M 2019.11.05 466
971 그물을 버리는 어부들 그물을 버리는 어부들   사랑과 안정의 토대를 주는 가족 그 안정을 넘어설 때 하느님과의 연결을 찾는다. 그러나 안정을 주지도 않고 하느님과의 연결도 ... 이마르첼리노M 2019.11.04 448
970 가을 밤 가을 밤   아프고 싶고 슬프고 싶고 고독하고 싶다.   고통에서 발견하는 眞 고독에서 발견하는 善 슬픔에서 발견하는 美 이마르첼리노M 2019.11.02 489
969 악을 비추는 거울 악을 비추는 거울   악을 이기는 방법은 악이 아니라 선이다. 일상의 여러 관계 안에서 단순히 더 나은 무엇인가를 하는 것이다. 악을 악으로 공격하면 둘... 1 이마르첼리노M 2019.10.31 466
968 복된 죄인들 복된 죄인들   우리는 죄인들이다. 절망과 어둠으로 향하는 죄인들이 아니라 죄에서 구원되리라는 희망을 지닌 죄인들이다. 하느님의 자비 아래에 있는... 이마르첼리노M 2019.10.28 450
Board Pagination ‹ Prev 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