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205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T 평화/ 선

 

'그리움'이면 족하지 왜 철학에서나 쓰는 '미학(美學'을 붙이는 건지요?

어쩌면 저의 그리움이 궁극적으로 하느님을 향한 본질에 속해 있기 때문이지요.

 

 이렇듯 성탄을 기다리는 <대림시기>를 지낼때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분이「엄마」입니다.

대림 첫주 토요일부터 "맑으나 맑은 소리 메아리 친다..."로 시작되는 대림 찬미송이 그 어느 때보다도 구슬픈 음율이고

절로 심금을 울리는 기다림의 내용이기도 하답니다.

 

 마침 수도원에 입회해서 한 달 후에 착복식을 하고, 곧 이어 대림절이 시작되는 무렵에

그리도 보고싶던 엄마가 큰이모와 함께 목동 수도원에 방문을 하셨더랬지요.

그 시절엔 전화 통화도 어려운 때라, 갑짜기 아래 현관에 엄마가 오셨다는 전갈을 받고 내려가니

때마침 2층 성당에서 들려오는 구슬픈 대림찬미가 소리에 두 분은 마냥 눈물을 흠치고 계셨지요.

엄마에게 등을 돌리고 수도생활을 시작한지 불과 한 달 좀 지났을 뿐인 데

그 시간 관념은 아득히 먼 세월을 뒤안길에 둔 그런 느낌이었으니까요.

엄마와 이모를 대하는 순간, 그리도 오랜 세월 켜켜이 쌓이고 쌓인 듯한 그리움이 일순의 기쁨으로 무너져 버렸으니까요.

 

   * * *

 

그렇습니다.

비숫한 그리움과 만남의 기쁨이 반복되던 까마득한 어린시절로 되돌아가 봅니다.

 

엄마가 직장에서 퇴근하실 해거름 무렵이면,

저는 동작동 윗마을 우리 집 문 앞에서 멀리 「비게고개」를 넘어(지금의 현충원 정문 앞) 서신 언덕배기에

엄마의 모습이 이제나 저제나 나타나실까 고개를 갸우띵하며 학수고대 기다리던 어린 저의 자화상이 그려지곤 하니까요.

아랫마을을 지나 엄마의 모습이 확연히 보일때면,

"엄∼∼마!" 내리달려 품 속에 안기던 일상.

 

어쩌다 주말이면 오셔야 할 엄마가 영~ 아니 나타나실 때가 있었죠.

     "할머니, 엄마, 안오시나봐요.

       글쎄다, 아마 '영선(외사촌 형)'네 갔능가 보다."

그런날은 저나 할머니, 그리고 곰방대를 지그시 피워 물으시는 할아버지 모두가 무척 허전해 하셨거던요.

 

그렇게, 엄마의 존재는 가히 하느님의 현존이셨던 거지요.

'그리움'에 관한한 엄마의 자리가 그렇듯 가장 크셨습니다만,

늘 일상에서 잠시도 멀어질 수 없이 그림자처럼 붙어 다니던 '할머니'도 빼어 놓을 수 없답니다.

할머니가 어느 한 순간이라도 눈에 안보이면, 그때부터 엄습하는 텅 빈 듯한 집에 대한  허전함이라니!

금시 울상이 되어 집에 있는 다른 식구들은 안중에도 없는 정도였니까요.

 

저의 '그리움'은 동리에서 내려다 보이는 한강의 흐르는 물과 넓디 넓은 백사장과도 무관하지 않으니,

모래밭 끝(지금의 동빙고), 달려오가는 석탄 기차와 함께 내뿜는 연기와 기적 소리...그 아련함이라니!

아마도 후에 미지의 세계에 대한 여행을 많이하게 된 동인이

어쩌면 그렇듯 일찍부터 제 안에 모락모락 자라난 건지도 모릅니다.

 

'그리움'은 어린시절의 환경과 경험에서 얻어진

진(眞)·선(善)·미(美)의 하느님 탄생을 고대하는 저의 독특한 미학으로 자리잡은 것이라는 확신.

도래하실 임금께 대한, 이미 오신 분에 대한 벅찬 경탄!!!


생활나눔

일상의 삶의 체험을 나눕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38 올레길에서의 인연...^^ T 온 누리에 평화   걷기피정을 작정하고 지난 5월 26일∼6월 2일까지의 제주 올레길을 택한 일은 내 인생여정에서 참으로 잘 했다 싶어 조금도 후회가 없다. ... 김맛세오 2015.06.08 1393
337 올레길에서의 바닷 '게'와 정원에서 만난 '족제비' T 평화와 선     &quot;얘(게)야, 어디라고 겁도 없이 땡볕에 여기 나와 있는 거니?&quot;     해녀 아줌마, 할머니들과 헤어진 직후 화순이라는 마을을 향해 땡볕 속 ... 2 김맛세오 2015.07.05 1519
336 오호, 춘삼월 백설! T 강같은 평화 하루가 지났습니다만, 어제 4층 제 방 창가에서 내다 본 세상은 참으로 감동 그 자체였습니다. 늦은 춘삼월에 난분분(亂紛紛) 백설(白雪)이라니요!... 김맛세오 2012.03.25 2342
335 오호, 춘삼월 백설! T 강같은 평화 하루가 지났습니다만, 어제 4층 제 방 창가에서 내다 본 세상은 참으로 감동 그 자체였습니다. 늦은 춘삼월에 난분분(亂紛紛) 백설(白雪)이라니요!... 김맛세오 2012.03.25 2571
334 오묘한 자연의 신비! (1) T 온 누리에 평화   얼핏 지나간 옛 일이 떠집니다. 천안 근교 깊은 산 속, 성거산 수도원에서 지냈을 때(2006∼2012년)의 일이죠.   어느 할아버지가 손뼘만... 김맛세오 2015.01.19 1272
333 오묘한 자연의 신비 (3) - 말벌 T 평화와 선   &quot;에∼효!  무서운 녀석들!&quot;   말벌을 떠올리면 제일 먼저 위와같은 섬찍한 말을 되뇌이게 됩니다. 왜냐구요?  역시 성거산에서 지내을 때의 일... 김맛세오 2015.02.02 1502
332 오묘한 자연의 신비 (2) - 도롱뇽과의 동거...? T 온 누리에 평화   도롱뇽하면, 가끔 판도라의 시간 속에서 기쁘고 무서워했던 성거산의 추억, 그 시절을 떠올리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도롱뇽에 대하여... 김맛세오 2015.01.26 1475
331 오메, 가을이 흠뻑 물들었네! T 온누리에 평화. 올 가을 단풍은 오랜 가뭄 탓으로 전국이 별로란다. 며칠 전 실재로 지리산 곁을 지나칠 때 나뭇잎들이 물들지도 못하고 마싹 말라 떨어지는 걸... 1 2006.10.29 2078
330 오랫만의 성거산 나들이 T 평화와 선 성거산은 늘 가보고싶은 곳으로 남아있는 곳입니다. 6년동안 지내면서 특히 정든 산이며 주변의 자연들... 마침 11월 5일에 &lt;관구 위령... 김맛세오 2012.11.14 3226
329 오늘 기일이신 주 콘스탄시오 형제님의 마지막 편지. 이 편지는 한국 관구의 이탈리아 선교사 형제님께서 임종 전에 남기신 마지막 편지입니다. 오늘 이 형제님의 기일을 맞아 연도를 하면서 낭독되었습니다.. 죽음을... 1 이대건안들 2006.03.13 2192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52 Next ›
/ 5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