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박필 2006.03.17 20:53

사순 제3 주일

조회 수 2873 추천 수 0 댓글 0
매일미사 말씀 보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No Attached Image

예루살렘 성전 정화

이스라엘 민족의 단일성을 지탱해주던 두 가지 핵심이 있었으니,
하나는 모세의 율법이요,
다른 하나는 예루살렘 성전 예배입니다.

이스라엘에는
이것을 가르치는 사제들이 있었고,
이것을 실천하는 백성들이 있었습니다.
이렇게 이스라엘은 하느님께 대한 신앙을 순수하게 간직할 수 있었습니다.

성전에 모여서는 하느님께 기도합니다.
기도할 때 하느님께 빈손으로 오지 않고, 꼭 제물을 바쳤습니다.
제물로는 소, 양, 비둘기가 쓰였습니다.

성전 당국자들은 이런 제물을 파는 장사꾼들을 임명하였습니다.
그 대가로 이윤을 받아 챙겼습니다.
여기에 자연스럽게 검은 거래가 오고갑니다.
신성한 성전은 이렇게 부패되는 겁니다.

또 해외에 거주하던 유대인들이 성전에 오면
돈을 바꾸어주어야 할 필요가 있어서 환전상들이 생겨납니다.
성전 당국자들은 환전상을 임명합니다.
여기에 또 검은 거래가 생겨납니다.
환전상들은 환전을 해줄 때 많은 이윤을 챙깁니다.

성전은 순수하게 기도하는 곳이어야 하는데,
그건 이상인가 봅니다.
실제로는 여러 가지 비리와 부정으로 썩는 냄새가 올라오고 있었습니다.

정화가 필요했습니다.
바로잡을 필요가 있었습니다.

어느 날 예수님은 작심을 하고 예루살렘 성전에 정면 돌파를 시도하십니다.
제자들과 함께 밧줄을 엮어서 소와 양들을 내쫒고,
환전상들의 탁자들을 엎어버리셨습니다.

내 아버지의 집을 장사하는 집으로 만들지 마라.

이에 당국자들은 가만히 있을 수가 없었겠지요.
충돌을 피하려고 얌전히 타일렀습니다.

여보시오... 젊은 선생...
이게 무슨 짓이오...?
무슨 권한으로 이러는 것이오...?
하느님으로부터 권한을 받았음을 증명해보시오...
어디, 기적을 한 번 보여주시오!
그러면 우리도 선생을 인정해주겠소...

예수님:
이 성전을 허물어라. 그러면 내가 사흘 안에 다시 세우겠다.

유다인들:
뭐라꼬...? 이 성전을 짓는데 46년이나 걸렸는데....지금 뭔 소리를 하는 기여?

제자들:
예수님의 성전 정화의 열정을 회상하며:
하느님이시여, 하느님의 집을 아끼는 내 열정이 나를 불사르리이다...(시편 69,9)

성전을 사흘 안에 다시 세우시겠다는 말씀을 회상하며:
여기서 성전이라 함은 예수님의 몸을 두고 하신 말씀이었다.
예수께서 죽었다가 부활하신 뒤에야 이 말씀의 뜻을 알아들었다.

예수님은 예루살렘 성전 예배의 부패상을 보고서는,
아버지 하느님께 대한 신앙 하나를 무기로,
아버지 하느님의 성전에 대한 순수한 열정 하나를 무기로,
그들의 비리, 검은 뒷거래, 부정을 질타하셨습니다.
단순히 말만 하지 않고,
실제 행동으로 보여주셨습니다.
예수님은 용감하셨습니다.
이런 행동으로 불행이 올 것을 아셨지만
앞뒤 가리지 않고 강행하셨습니다.

성전 당국은 즉석에서 예수님을 체포하는 불상사를 자제하고 일단 참았습니다.
예수님을 천천히 지켜보기로 하고,
다음 기회를 엿보기로 하였습니다.
예수님을 요주의 인물로 낙인찍고
비밀 요원을 파견하여 예수님의 동태를 관찰하고 보고하게 하였습니다.
이제 예수님의 모든 활동이 낱낱이 보고됩니다.

예수님은 성전 예배의 허점을 바로잡고,
예배의 순수성을 되짚어보도록 우리를 초대하십니다.

우리도 우리 사회의 비리, 검은 뒷거래, 부정부패를 바로잡아야 합니다.
사회정의를 바로 세워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국가의 행정, 입법, 사법을 감시하고,
지방자치도시의 행정과 입법, 사법을 감시하고
정의를 바로 세우는 시민단체들이 필요합니다.
그렇게 하지 않을 때
우리 사회는 금방 비리와 부정으로 썩게 됩니다.
정의를 바로 세우는 일,
바로 우리의 일입니다. 아멘.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말씀 나눔

매일미사 독서와 복음, 그리고 성 프란치스코의 글 묵상나눔

  1. No Image 25Apr

    마르꼬의 고백

    제 이름은 마르꼬입니다. 우리가 언젠가 만난 적이 있다고 믿습니다. 저는 복음을 썼지요. 왜 사람들이 마르꼬 복음이라고 하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이 복음은 나에 관한 것이 아닙니다. 예수에 관한 것이지요. 나의 복음이 아닙니다. 예수의 복음이지요. 사...
    Date2006.04.25 By마중물 Reply1 Views3346
    Read More
  2. No Image 21Apr

    부활 제2 주일

    토마스의 반응은 우리의 반응 토마스를 포함하여 모든 제자들, 제자들을 포함하여 모든 사람들은 부활이란 개념을 알지 못합니다. 우리 말, 부활(復活)이란 것도 너무 생소한 단어입니다. 우리에게는 이런 관념이 없습니다. 죽었으면 죽은 것이고, 그래서 망자...
    Date2006.04.21 By박장원 Reply0 Views2513
    Read More
  3. No Image 15Apr

    예수 부활 대축일

    주님께서 참으로 부활하셨습니다. 알렐루야~~!! 방금 예수님이 부활하셨다는 성서의 말씀을 들었습니다. 예수님 부활은 우리 신앙의 원천이요, 근거요, 뿌리입니다. 사도 바오로의 말씀대로 예수님께서 부활하지 않으셨다면 우리 신앙은 헛것이요, 예수님께서 ...
    Date2006.04.15 By박장원 Reply0 Views2534
    Read More
  4. No Image 14Apr

    부활성야 대축제

    예수 부활, 새로운 해방절, 새로운 광복절 대축제 유다인들은 에집트에서 겪은 노예살이를 잊을 수 없었습니다. 그리고 에집트에서 탈출하여 해방된 날을, 광복된 날을 잊을 수 없었습니다. 대대손손 이 축제를 지내고 있습니다. 예수님 당시 유대인들도 이 해...
    Date2006.04.14 By박장원 Reply0 Views2762
    Read More
  5. No Image 13Apr

    성금요일: 예수님의 최후

    오늘은 십자가 경배 예절이 있습니다. 예수님의 십자가로 세상 구원이 열렸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은 십자가로 세상을 구속하셨습니다. 구속이란 말은 옛날 말인데, 돈을 주고, 즉 대가를 지불하고 다시 샀다는 뜻입니다. 십자가가 바로 대가입니다. 엄청난 대...
    Date2006.04.13 By박장원 Reply0 Views2592
    Read More
  6. No Image 12Apr

    주님 최후만찬 미사

    해방절, 광복절 축제 유대인들은 그 옛날 선조들이 에집트에서 강제노역을 했던 쓰라린 기억, 그리고 은혜롭게도 주님의 은총으로 모세를 통해서 이룩한 해방과 광복을 대대로 기리고 있습니다. 예수님도 이 해방적 식사를 제자들과 함께 나누려고 벼르고 있었...
    Date2006.04.12 By박장원 Reply0 Views2715
    Read More
  7. No Image 12Apr

    성유 축성 미사

    성유란 거룩한 기름을 뜻합니다. 오늘 이 미사에 몇 가지 중요한 것을 거행합니다. 먼저, 기름을 축성합니다. 병자성사용 성유, 예비신자용 성유, 축성용 성유를 축성합니다. 이 기름을 축성하시어, 이 기름에 성령의 힘과 그리스도의 능력을 부어주소서. 이 ...
    Date2006.04.12 By박장원 Reply0 Views3071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1412 1413 1414 1415 1416 1417 1418 1419 1420 1421 Next ›
/ 142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