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박장원 2006.03.31 17:27

사순 제5 주일

조회 수 2457 추천 수 0 댓글 0
매일미사 말씀 보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No Attached Image

죽음과 밀알의 관계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은 당신 죽음과 수난을 예고하십니다.
그리스 사람들이 예수님을 뵙고자 했을 때,
예수님은 비장한 마음으로 당신 수난을 토로하십니다.

밀알 하나가 땅에 떨어져 죽지 않으면
한 알 그대로 남아 있을 뿐...
떨어져 죽어야 많은 열매를 맺게 된다구.

누구든지 목숨을 아끼면 목숨을 잃게 되고,
목숨을 미워하여 버리면 목숨을 얻게 된다구.

그런데.....
내 마음이 이렇게 괴롭네...
내 마음이 걷잡을 수 없네...
아버지, 이 시간을 면할 수 없겠습니까?

아니지....그게 아니지...
내가 바로 이 시간을 위해서 온 것이 아닌가?
아버지, 저를 통해서 아버지의 영광을 드러내소서.
내가 땅에서 높이 들리는 것이 아버지의 영광을 드러내는 것이지...
내가 땅에서 높이 들리고 나서야 나를 따라오는 사람들을 진짜로 얻을 수 있겠지...

그런데 나를 죽이는 이 세상 통치자는 곧 심판을 받을 것이다.
이 세상 통치자는 곧 쫓겨날 것이다.

예수님은 당신의 운명을 밀알에 비유하셨습니다.
밀알이 땅에 떨어져 썩어야 많은 열매를 맺게 된다는 것입니다.
밀알은 새로운 존재로 탈바꿈됩니다.

예수님은 당신이 십자가에 높이 들려서 죽어야 많은 열매를 맺는다고 생각하셨습니다.
그때 죽음이 단순히 죽음이 아니라 새로운 삶이 된다고 생각하셨습니다.
생즉사요 사즉생입니다.
신묘하게도
죽을 때 영원히 살게 된다는 비법입니다...
이것이 예수님의 논리입니다.

우리는 늘 죽음을 목전에 두고 있습니다.
누구든지 죽게 됩니다.
이것을 피할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죽음을 의식하면서 죽음을 받아들일 때,
우리는 영원히 살게 됩니다.
죽음을 회피하면 안 됩니다.
예수님처럼 죽음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죽음의 새로운 면을 알아차립시다.
즉 새로운 삶으로 넘어가게 됨을 늘 의식합시다.
이런 확신이 설 때....우리는 세상을 이기게 됩니다.
이런 의식이 있을 때....우리는 이 세상을 건너가게 됩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말씀 나눔

매일미사 독서와 복음, 그리고 성 프란치스코의 글 묵상나눔

  1. No Image 20May

    부활 제6 주일

    1. 베드로의 개안(開眼) 베드로는 눈이 뜨였습니다. 이스라엘 사람으로서 가지고 있던 폐쇄와 아집에서 벗어나게 되었습니다. 그는 이렇게 개안이 되어 소리 질렀습니다. 이제야 눈이 열려 깨달았습니다. 하느님께서는 사람을 차별대우하시지 않는다는 것을 이...
    Date2006.05.20 By박장원 Reply0 Views2644
    Read More
  2. No Image 13May

    부활 제5 주일

    농부-포도나무-가지 예수님 말씀: 나는 포도나무요, 나의 아버지는 농부이시다. 농부이신 아버지께서는 열매를 맺지 못하는 가지들을 모조리 쳐내시고, 열매를 맺는 가지들은 더 많은 열매를 맺도록 잘 가꾸신다. 그러므로 가지들은 나무에 붙어 있으면서 열매...
    Date2006.05.13 By박장원 Reply1 Views2839
    Read More
  3. No Image 06May

    부활 제4 주일

    착한 목자 예수님은 당신 자신을 착한 목자로 소개합니다. 목자는 문자적으로는 양치는 사람, 양치기를 뜻합니다. 그런데 여기서는 폭넓게 상징적으로 알아듣습니다. 예수님은 한 때 어부 베드로에게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너는 이제 사람들을 낚게 될 것이...
    Date2006.05.06 By박장원 Reply0 Views2881
    Read More
  4. No Image 28Apr

    부활 제3 주일

    말로 설명할 수 없는 부활의 모습 제자들은 부활하신 주님을 뵙고 너무 기뻐서 어쩔 줄을 몰랐습니다. 이게 꿈인가? 생시인가? 아마 허벅지를 꼬집어보았을 겁니다. 부활하신 예수님은 어떤 모습이었을까? 아마도 빛나는 모습이었을 겁니다. 그런데 이런 상황...
    Date2006.04.28 By박장원 Reply1 Views2890
    Read More
  5. No Image 25Apr

    마르꼬의 고백

    제 이름은 마르꼬입니다. 우리가 언젠가 만난 적이 있다고 믿습니다. 저는 복음을 썼지요. 왜 사람들이 마르꼬 복음이라고 하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이 복음은 나에 관한 것이 아닙니다. 예수에 관한 것이지요. 나의 복음이 아닙니다. 예수의 복음이지요. 사...
    Date2006.04.25 By마중물 Reply1 Views3324
    Read More
  6. No Image 21Apr

    부활 제2 주일

    토마스의 반응은 우리의 반응 토마스를 포함하여 모든 제자들, 제자들을 포함하여 모든 사람들은 부활이란 개념을 알지 못합니다. 우리 말, 부활(復活)이란 것도 너무 생소한 단어입니다. 우리에게는 이런 관념이 없습니다. 죽었으면 죽은 것이고, 그래서 망자...
    Date2006.04.21 By박장원 Reply0 Views2490
    Read More
  7. No Image 15Apr

    예수 부활 대축일

    주님께서 참으로 부활하셨습니다. 알렐루야~~!! 방금 예수님이 부활하셨다는 성서의 말씀을 들었습니다. 예수님 부활은 우리 신앙의 원천이요, 근거요, 뿌리입니다. 사도 바오로의 말씀대로 예수님께서 부활하지 않으셨다면 우리 신앙은 헛것이요, 예수님께서 ...
    Date2006.04.15 By박장원 Reply0 Views2502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1313 1314 1315 1316 1317 1318 1319 1320 1321 1322 Next ›
/ 132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