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189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T 온 누리에 평화

 

매일 작은 정원을 대하면서 참으로 많은 걸 느낍니다.

 

꽃삽으로 모종을 옮길 때마다

흙 속에서 꼼틀거리는 작고 큰 지렁이들이 자신들의 영역을 침범한다고 아우성입니다.

지렁이들을 마주할 때마다 감탄사가 절로나는 것은,

어찌 그 부드럽고 연약한 몸매에 거칠고 무거운 흙과 돌덩이들 사이를 헤집고 다니면서

보드랍고 맛있는 흙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지!...기적을 먼 데서 찾을 필요가 없습니다.

 

또 너무 작은나머지 먼지같이 작은 채송화 씨를 채에다 바쳐내린 보드라운 흙에다 곧 많이 뿌렸습니다.

그런데 그것이 물을 줄 때마다 파도타기를 해선지 겨우 헤집고 나온 아주 여린 싹들이 제대로 자라기가 쉽지가 않은 겁니다.

그래도 어찌어찌해서 몇 개가 성장을 하여 1Cm 정도의 크기로 자랐을 적에 간격을 두고 모종을 해주었지요.

어떤 녀석은 이제 손가락 한 마디 정도로 자라 건실한 태도로 세상을 마주하고 있어,

볼 때마다 너무 신기한 겁니다.

성경에서의 겨자씨 비유를 말씀하신 예수님이 떠오릅니다.

먼지같은 채송화 씨와 그 싹트고 자라는 모습에서도, 겨자씨 나무가 어떤건지 보지를 못해 알 수는 없지만,

다름아닌 기적을 매일 작은 채송화들이 보여주는 것이 겠지요?

 

성거산에서 지냈을 때 서너번 말벌에게 쏘인적이 있어 저에겐 '말벌'하면 무서운 놈들로 인지될 밖에요.

한번은 주방 천정에서 뱅뱅 나르는 말벌이 있었습니다.

(저는 쏘이기 전엔 무서움을 타지 않아 그냥 놔두었지요)

그런데 그것이 느닷없이 하강을 하여 결국 저의 팔목을 쏘았습니다.

퉁퉁 부어올라 병원엘 찾아갔지만 쉽게 나을 기미가 없었고, 결국 사혈 침을 맞고 부기가 가라앉았지요.

곰곰 많은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왜 아무 탈 없던 그 벌이 왜 날 갑짜기 공격했을꼬?" 

 

수도원 주변엔 작고 큰 말벌 집들이 숲 속에도 있고 지붕 위에도 있고 심지어는 방을 통한 천정 속에도

곧잘 공만한 집을 짓습니다.  그럴 때마다 사람들은 지례 위협을 느끼고는 어떤 방법으로든 말벌들과 집들을

퇴치시켜버리는 거지요.

그러니 아무리 생각이 없는 말벌들이라도 인간에 대한 그들의 인지도는 자신들의 적일 수 밖에요.

주방에서 저를 냅다 공격한 말벌도 아마 그런 이유에서 일겁니다.

 

도시화의 급속 발전으로부터 어쩌면 자연이 얼마나 많은 위협을 당하고 있는지...!

자연의 법칙과 조화를 이루는 삶이기 보다는 영악한 인간의 삶은 얼마나 크나 큰 손실을 이 지구와 자연에

끼치고 있는지...!

 

많은 사람들이 자연을 사랑한다고 말하지요?

많은 사람들이 자연의 아름다움을 보고 기뻐하면서도 실상 그 이면에는 문명의 발전이나 인간의 편리성 추구로

얼마나 크고도 많은 상처와 아픔을 자연에게 주어 왔는지를...!

 

땅 속 꼼틀거리느 지렁이를 보면 징그럽다고요?

손이나 팔 목에 낀 반지나 장식물을 치렁치렁 장식한 인간 자신이 더 징그러운 게 아닌가요?

자연물에서 온갖 보석을 채취하며 근사한 자가용을 타고다니며 자못 부와 아름다움을 과시하며 자못

존재의 위대함을 뿌뜻하게 여기는 사람 삶이 더 나은 걸까요, 아니면 나약하기 그지없는 자연 미물들이

형편없는 삶을 영위하는 걸까요? 

 

아,아!  끝간데 없는 사람의 욕심이여!

한 치 앞 지렁이나 채송화 앞에서조차

기적을 이야기하는 자체의 부끄러움이여!!! 


생활나눔

일상의 삶의 체험을 나눕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8 무지 바빴던 어제 하루이야기. 주님을 찬미합니다~!!! 제가 어제(9월12일)는 제11회 대전마라톤대회에 참가하여 완주했습니다. 오전8시부터 시작된 이 대회는 5km(건강코스), 10km(미니코스), 2... 2 김성호 2010.09.13 2271
357 물고기 형제 자매들 T 평화/ 선 여기 막바지 길가엔 작은 계곡이 있어 오르내릴 때마다 심심치가 않습니다. 우선 조잘거리는 계곡물이 늘 가던 길 멈추게 하며 곧잘 말을 건넵니다. "... 김맛세오 2011.12.13 2584
356 물매화를 보셨나요? T 평화/ 선 벌써 몇년째 성거산에 살다 보니, 이곳 토양에 무엇이 잘 자라는지 확연히 알게 되었다. 주로 소나무, 참나무, 영지,더덕, 도라지, 취나물, 밤...등 ... 2010.10.05 2559
355 미국으로 살러 간 조카녀석 T 평화와 선 얼마 전, 둘(남매) 밖에 없는 조카애들중 여자 조카애가 미국으로 영영 가버렸다. 그것도 우연찮게 내가 다리를 놓아... 젊은이의 꿈과 야망이 가득... 2008.03.12 1880
354 미루나무 위, 맴돌던 '솔개'를 떠올리며... T 온 누리에 평화   얼마 전 현충원에 갔다가 7,80십년 고령의 미루나무 위 창공을 배회하던 늠늠하고 평화로운 '솔개'의 모습이 자꾸만 떠오릅니다.   ... 김맛세오 2014.01.23 2074
353 바람처럼 꽃처럼 T 온 누리에 평화 코끝에 스치는 새벽 바람이 참으로 신선합니다. 가진 것 없이 자유롭게 부는 바람을 의식할 때 보이지 않는 바람이기에 더 신선하게 느껴지고 ... 김맛세오 2012.05.08 2349
352 바람처럼 꽃처럼 T 온 누리에 평화 코끝에 스치는 새벽 바람이 참으로 신선합니다. 가진 것 없이 자유롭게 부는 바람을 의식할 때 보이지 않는 바람이기에 더 신선하게 느껴지고 ... 김맛세오 2012.05.08 2432
351 바보 有感 바보는 바보다. 내가 보매, 암만 생각해도 예수는 바보다. 그는 그렇게 죽지 않을 수도 있었다. 대제사장 앞에서, 빌라도 앞에서 그는 챤스가 많았다. 근데, 그는... idiot 2008.10.04 1763
350 반갑다, 가재 형제 자매 ^*^ T 졸졸 흐르는 시냇물 평화 어젠 진종일 이슬비가 내려 나무 솎아내는 작업도 할 수가 없었다. 그런데, 밤들이 알암을 터뜨리며 후두득 소리를 내는 걸 보니 추석... 김맛세오 2009.09.22 2073
349 반갑다, 하이얀 인동초야! T 평화와 선. 아마 부산, 봉래동 성당엘 가본지는 3회 형제회를 위한 강의 때문이었으니 족히 10 수년은 넘은 것 같다. 평소 "왜, 한번도 오지 않느냐?"는 최아오... 1 2006.06.18 1938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52 Next ›
/ 5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