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193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스크린샷 2014-09-03 오전 7.48.25.png


 

 

T 온 누리에 평화

 

지난 5월에 8명의 형제들과 함께 '도보 피정'을 하였던 기억이 아직도 새롭습니다.

특히 20여년간 찍어온 사진 중에, 그때 앵글에 들어온 '다랑논'의 정취가 지워지지 않으니,

이참에 '다랑논'에 관한 소묘라고나 할까요, 그 정취를 글에 담아보는 것도 썩 괜찮을 듯 싶어

여기 글을 올려 봅니다.

 

사실 지리산 둘레길을 걸으면서 만났던- 인월에서 성심원으로 가던 1/3 지점-  언덕배기의 논들을 대하면서도, 정작

그런것이 '다랑논'이라고 하는 것 조차  몰랐었지요.

시골에서 자란 사람이 아닌 서울 태생이니 그런 이름을 알리가 없었구요.

처음 대하였을 적에 그냥 눈 앞에 전개된 논을 제 잣대로,

"'계단식논'이 참으로 안온함을 주네.  그리고 마침 비가 살짝 내린 뒤라 논 배후로 펼쳐져 흘러가는 낮은 구름과

조화를 이룬 논배미들이 참으로 멋진 풍경을 창출하고 있네!"라고 중얼거리며서,

순간 스마트폰 카메라로 찰칵했던 것이죠.

 

그 다랑논의 사진을 가끔 들여다 보면,

제 뇌리에 여러가지 정서들이 떠오르는 것이겠죠?  그런 상념들을 두서없이 글에 올려보는 것도 한국적인 고유 산야의

쏠쏠한 풍광이기도 하겠구나 하는...

 

우선 크고 작은 다랑논이면서도, 가난한 시골 집의 올망졸망한 애들의 모습처럼 어쩜 그리도 우애 깊어 보였는지요!

그리고 정갈하게 펼쳐진 그 논들의 배후엔 가난하면서도 부지런한 농부들의 진한 인기척을 아니 느낄 수가 없는 것이려니,

늘상 허리를 굽혀 논을 돌보는 농부들의 일상이 확연히 보일 것만 같아, 가족들을 위한 그 헌신과 노고가 담뿍 배어 있을

거룩한 공간임을 무시할 수가 없는 거지요.

우리가 도보 피정을 했을 때가 5월이었으니,모내기를 막 끝낸 뒤라선지 그 어린 모들의 질서정연한 모습이 더없이 정갈해 보였습니다.

골짜기의 흐르는 물을 허실없이 가두려고 터지지 않게 질흙으로 잘 싸바른 논둑의 가래질 역시

늘 허리굽혀 일하는 농부의 모습이 차라리 성사스럽게 까지 여겨졌으니까요.

 

사계절에 따라 다랑논의 이야기도 색달라지겠지요?

벼이삭은 아마도 태양,물, 공기...등, 농부의 피땀어림 외에도 다른 많은 것들을 자양분 삼았으리라 봅니다.

한창 벼가 자라고 익어갈 무렵이면 뻐구기는 물론 산비둘기의 구구 소리...등의 시골스러움들을 고스란히 친구처럼 벗삼아

자랐을 테니, 다랑논의 정서는 그야말로 알알이 벼이삭마다 그런 아름다움으로 자랐을 겁니다.

 

추수가 끝난 겨울이면,

다랑논 특유의 빈 공간이라는 쓸쓸함보다는 삼계절 농부의 노고 후에 하늘하늘 찾아 올 하이얀 눈과 더불어

한껏 누리는 쉽의 터일테니...그 역시 하릴없는 그냥 빈 공간이 아니라 한바탕 타작마당 후의 한 폭 그림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가득해지는  걸요.  그리고 가난한 농부네 오두막에서 모락모락 피어오르는 아궁이와 햇밥을 기다리며 둘러앉아 있을 가난하지만 정겨운 애들의 모습...이런 것보다 더 아름다운 한국의 정서가 또 있을까 싶네요.

 

가을 문턱에 들어선 추석을 앞둔 지금쯤, 저 다랑논의 익어가는 샛노란 벼이삭이며 고개숙인 겸허의 자태를 대하면

봄, 여름에 느끼는 것과 또 다른 황금색 결실로 그동안 많았던 수고로움에 시름조차 가질 새 없던 농부의 가슴에

한아름 뿌듯함이 안겨지겠지요.

 

저는 시골 사람이 아니면서도 스쳐 지나간 다랑논에서 이런 것들을 한껏 느끼는 걸 보면,

아마도 저의 피엔 시골 조상들의 정서가 고스란히 배어있는 게 아닐 까 하는 의구심도 듭니다.

그리고 행복이나 불행을 이야기 할 때,

이러저런 구차스러운 행불행을 논하기보다는 '다랑논'과 같은 소박한 시골 이야기가 가득 담긴,

욕심없으면서도 부지런히 다랑논을 부치는 농부의 일손과 같아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 걸요. 


생활나눔

일상의 삶의 체험을 나눕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38 올레길에서의 인연...^^ T 온 누리에 평화   걷기피정을 작정하고 지난 5월 26일∼6월 2일까지의 제주 올레길을 택한 일은 내 인생여정에서 참으로 잘 했다 싶어 조금도 후회가 없다. ... 김맛세오 2015.06.08 1393
337 올레길에서의 바닷 '게'와 정원에서 만난 '족제비' T 평화와 선     "얘(게)야, 어디라고 겁도 없이 땡볕에 여기 나와 있는 거니?"     해녀 아줌마, 할머니들과 헤어진 직후 화순이라는 마을을 향해 땡볕 속 ... 2 김맛세오 2015.07.05 1519
336 오호, 춘삼월 백설! T 강같은 평화 하루가 지났습니다만, 어제 4층 제 방 창가에서 내다 본 세상은 참으로 감동 그 자체였습니다. 늦은 춘삼월에 난분분(亂紛紛) 백설(白雪)이라니요!... 김맛세오 2012.03.25 2342
335 오호, 춘삼월 백설! T 강같은 평화 하루가 지났습니다만, 어제 4층 제 방 창가에서 내다 본 세상은 참으로 감동 그 자체였습니다. 늦은 춘삼월에 난분분(亂紛紛) 백설(白雪)이라니요!... 김맛세오 2012.03.25 2571
334 오묘한 자연의 신비! (1) T 온 누리에 평화   얼핏 지나간 옛 일이 떠집니다. 천안 근교 깊은 산 속, 성거산 수도원에서 지냈을 때(2006∼2012년)의 일이죠.   어느 할아버지가 손뼘만... 김맛세오 2015.01.19 1272
333 오묘한 자연의 신비 (3) - 말벌 T 평화와 선   "에∼효!  무서운 녀석들!"   말벌을 떠올리면 제일 먼저 위와같은 섬찍한 말을 되뇌이게 됩니다. 왜냐구요?  역시 성거산에서 지내을 때의 일... 김맛세오 2015.02.02 1502
332 오묘한 자연의 신비 (2) - 도롱뇽과의 동거...? T 온 누리에 평화   도롱뇽하면, 가끔 판도라의 시간 속에서 기쁘고 무서워했던 성거산의 추억, 그 시절을 떠올리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도롱뇽에 대하여... 김맛세오 2015.01.26 1475
331 오메, 가을이 흠뻑 물들었네! T 온누리에 평화. 올 가을 단풍은 오랜 가뭄 탓으로 전국이 별로란다. 며칠 전 실재로 지리산 곁을 지나칠 때 나뭇잎들이 물들지도 못하고 마싹 말라 떨어지는 걸... 1 2006.10.29 2078
330 오랫만의 성거산 나들이 T 평화와 선 성거산은 늘 가보고싶은 곳으로 남아있는 곳입니다. 6년동안 지내면서 특히 정든 산이며 주변의 자연들... 마침 11월 5일에 <관구 위령... 김맛세오 2012.11.14 3226
329 오늘 기일이신 주 콘스탄시오 형제님의 마지막 편지. 이 편지는 한국 관구의 이탈리아 선교사 형제님께서 임종 전에 남기신 마지막 편지입니다. 오늘 이 형제님의 기일을 맞아 연도를 하면서 낭독되었습니다.. 죽음을... 1 이대건안들 2006.03.13 2192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52 Next ›
/ 5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