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2581 추천 수 1 댓글 1
매일미사 말씀 보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No Attached Image

예수 승천 대축일(5,20) [루가 24,46-53]

 
예수 승천
오늘은 예수님께서 하늘나라로 올라가신 신비를 경축합니다.
이른바 예수 승천 대축일입니다.

이거 오늘날 어떻게 알아들어야 합니까?
신화적인 언표를 오늘의 언어로 푸는 것이 신학자의 할 일입니다.
부활이니 승천이니 하는 언사들은 모두 신화적인 표현입니다.
이걸 오늘 우리는 어떻게 알아듣습니까?
우리는 이렇게 알아듣습니다.
예수님은 죽으셨지만
영으로 여전히 살아계시다는 것입니다.
그분은 성령의 이름으로,
성령의 힘으로 당신의 일을 계속하신다는 겁니다.
그분은 아버지 하느님의 세계에서 무한한 영광을 받으신다는 것입니다.

사도 바오로는 신화적인 언어로 이렇게 말합니다.
예수 그리스도는 원래 위에 계셨던 분으로서
때가 찼을 때 땅으로 내려오셔서 하느님의 일을 하시다가
일을 마치시고
다시 원래 계셨던 위로 올라가 영광을 받으셨습니다.
영광을 받으시면서 심판권을 받으시고,
이 세상을 주재하는 권한도 받으셨습니다.

예수님의 승천은 우리에게도 의미가 깊습니다.
우리도 죽지만, 영으로 되살아나 승천하고 하느님의 세계에 들어가리라는
희망을 안겨줍니다.
단순히 죽음으로 끝장이 아니라,
새로운 생명의 세계가 펼쳐진다는 것입니다.
예수님은 이 일의 모범이요 선취이십니다.

예수님은 부활하신 때부터
이 세상 분이 아니셨습니다.
지상생활 때 우리와 똑같으신 예수님은 더 이상 아니 계시고,
이제는 성령으로 현존하시는 분이십니다.
이른바 성령의 임재, 성령의 현존이 그것입니다.
이제 예수님의 시대는 끝나고 성령의 시대가 시작됩니다.
성령은 예수님의 말씀과 행동을 증언하게 하고 기록하게 하실 것입니다.
성령은 예수님의 일을 계속하실 것입니다.
예수님의 일은 복음을 알게 하고
예수님의 일은 복음을 살게 하고
예수님의 일은 복음을 전하게 하는 일입니다.
인생은 정말 힘듭니다.
인생은 험난합니다.
인생길에 있어 복음은 우리를 살리고, 우리를 해방시키는
놀라운 하느님의 선물입니다.
그런데 살아가면서 이걸 잊어먹고 살고 있는 것이 우리네 인생입니다.
예수님은 이 복음을 상기시켜 주고, 알려주고, 살게 하고, 전하셨습니다.

오늘 우리에게 복음이란 무엇입니까?
예수님이 인류를 위해 자신의 목숨을 바치셨다는 것을 믿고 알아듣고,
그분이 성령의 모습으로 여전히 살아계신다는 것을 믿고 알아듣고,
예수님의 이름으로 회개하면 죄를 용서받는다는 것을 믿고 알아듣고,
예수님의 이름으로, 성령으로 거듭나면 살게 된다는 것을 믿고 알아듣고,
예수님의 가르침대로 이웃을 내 몸처럼 사랑하고,
예수님의 가르침대로 하느님과 끊임없이 교류하고,
예수님의 가르침대로 고통을 슬기롭게 참아내고,
예수님의 가르침대로 하느님을 믿고 맡기면서,
어렵고 험한 인생길에
빛을 밝히면서
자제하면서
낙천하면서
힘차게 걸어가는 것이 아니겠습니까?

예수님의 승천은 우리 모두에게 희망입니다.
예수님의 영광은 우리 모두에게 희망입니다.
우리도 예수님처럼 아버지 하느님 곁에 앉아서
영영세세 영광을 받고,
영영세세 복을 누리게 됩니다.

아멘.
얼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 ?
    홈페이지 사랑해 2007.05.20 20:22:47
    ^0^ 와우~ 박장원 신부님~왕!!웰컴백!!!이십니당^-----^
    힘찬 말씀에 저도 얼쑤~~^0^
    행복하세요~~~^0^

말씀 나눔

매일미사 독서와 복음, 그리고 성 프란치스코의 글 묵상나눔

  1. No Image 08Feb

    2월 9일 재의 예식 후 토요일

    [말씀의 초대] 주님의 축복은 당신 뜻을 따르는 이에게 내린다. 구원을 청하면 도움을 주실 것이고, 빛을 청하면 암흑 속에서도 대낮을 보게 하실 것이다. 그러니 율법을 지키는 일에 충실해야 한다. 특별히 안식일 법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제1독서). 레위는 ...
    Date2008.02.08 By말씀지기 Reply0 Views1434
    Read More
  2. No Image 08Feb

    [re] 거룩한 쉼에 대해

    내 어릴적 친구 중에 아주 열심한 개신교 신자 친구가 있는데 어릴 때 기억으로 주일에는 절대로 돈 쓰는 일을 하지 않았다. 월요일날 학교에 필요한 것이 있으면 토요일에 꼭 준비해 놓아야지 주일날 하는 것은 금물이었다. 오늘 독서 말씀대로 안식일날 장사...
    Date2008.02.08 By마중물 Reply1 Views1588
    Read More
  3. No Image 08Feb

    2월 8일 재의 예식 다음 금요일

    [말씀의 초대] “내가 좋아하는 단식은 멍에를 부수어 버리는 것이다.” 주님의 말씀이다. 불의를 잡고 있는 멍에를 끊으라는 말씀이다. 나쁜 습관과 관계를 정리하라는 말씀이다. 그러니 단식한다면서 이웃과 다투어서는 안 될 일이다(제1독서). 단식은 음식을 ...
    Date2008.02.08 By말씀지기 Reply0 Views1500
    Read More
  4. No Image 08Feb

    [re] 단식, 그 비움의 길

    <img src=http://bbs.catholic.or.kr/attbox/bbs/include/readImg.asp?gubun=100&maingroup=2&filenm=033106%2Dtaeho69%2Egif wepth=375 height=250 사순절이 되면 가장 먼저 단식과 금육을 떠올리게 되는데 왠지 귀찮고 싫은 것으로 다가온다. 단식을 왜 해야...
    Date2008.02.08 By마중물 Reply0 Views1812
    Read More
  5. No Image 06Feb

    2월 7일 설날

    설은 한 해의 첫날이다. 설이라는 말은 ‘설다’와 ‘낯설다’의 ‘설’이라는 어근과 연관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새롭게 시작하는 한 해에 대한 낯설음이다. 그래서 한자로 신일(愼日)이라 했다. ‘삼가고 조심하는 날’이라는 의미다. 전통적으로 이날은 단정한 ...
    Date2008.02.06 By말씀지기 Reply0 Views1855
    Read More
  6. No Image 06Feb

    [re] 2월 7일 설날 /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설을 맞이하여 오랫동안 그리워하던 가족들을 만나는 기쁨에 많이 분주하시지요. 이럴 때 일수록 가족과 함께 하지 못하는 이들도 함께 기억해야 하겠습니다. 저희 수도원에서도 어제 저녁 설날 기념 놀이를 하였습니다. 24-5명의 ...
    Date2008.02.06 By마중물 Reply0 Views1686
    Read More
  7. No Image 05Feb

    2월 6일 재의 수요일

    사순 시기 사순 시기는 ‘재의 수요일’부터 ‘주님 만찬 성목요일’의 주님 만찬 미사 전까지이다. ‘사순’은 본래 ‘40일’이라는 뜻으로, 이 기간 동안 교회는 예수님의 부활을 준비하며 참회와 보속, 그리고 희생을 실천할 것을 권고한다. 사순 시기의 ‘재의 수요...
    Date2008.02.05 By말씀지기 Reply0 Views1905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1293 1294 1295 1296 1297 1298 1299 1300 1301 1302 ... 1321 Next ›
/ 132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