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2014.10.20 09:55

커피나무를 바라봄 2

조회 수 195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이글은(커피나무를 바라봄1~4)

 

제가 유기서원기때 성 보나벤뚜라의

 

"신비의 포도나무"라는 묵상집을 읽고

 

저도 힌트를 얻어 그리스도에

 

대해서 한번 쓰게 되었던 글이었습니다.

 

이 글을 묵혀둔지가 몇년이 되어서 한번 올려봅니다.

 

 

 

 

+그리스도의 평화

 

 

 

 

 

나무에 달린 커피는 사실 하나의 열매이다.

 

보면 꼭 체리같이 생겼는데

 

그안에 씨가 곧 커피 이다.

 

그래서 우리가 커피를 먹는것은

 

커피나무열매의 씨를 먹는 것이다.

 

처음에 커피열매가 익으면 빨갛게 된다.

 

그러면 사람들이 그 열매를 따서 껍질을 까고

 

그 안에서 나온 씨를 햇볕에 말린다.

 

그렇게 하면 커피 생두라고 한다.

 

즉, 우리가 알고 있는 커피는 짙은 갈색이나

 

검은색인데 그것은 불에 익혀서 그렇게 된 것이고,

 

처음 열매에서 껍질을 벗기고

 

말렸을 때는 청색을 띄게 된다.

 

이것을 우리는 '커피 생두'라고 불리는 것이고

 

불에 익혀서 갈색이나 검은색이

 

된것을 '커피 원두'라고 불리는 것이다.

 

나는 이렇게 열매에서 커피생두가 되는 과정을

 

자세히 바라보면서 그리스도와도

 

깊은 연관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커피가 재배되는 과정이 꼭 그리스도의 삶을

 

얘기하고 있는 것처럼 말이다.

 

커피열매에게 있어서

 

생명의 근원은 커피나무이다.

 

커피나무가 없으면 열매도 맺을 수가 없다.

 

그래서 커피나무와 열매는 하나이다.

 

커피열매는 커피나무의 생명에서

 

생명을 얻는 것이다.

 

 이는 곧 그리스도께서 하느님 아버지와

 

서로 서로 나누어 질수 없는 하나인

 

삼위일체의 관계를 말하고 있는 것과 같다.

 

그리고 열매가 나무에 붙어 있을 때에는

 

그 어떤 누구도 거들떠 보지도 않는다.

 

왜냐하면 열매자체로써는 먹을 수가 없기 때문이다.

 

아직 익지 않았고, 맛있는 커피로써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기 때문에 사람들이

 

커피 원두가 될때까지 기다리는 수 밖에 없는 것이다.

 

그래서 사람들이 거들떠 보지도 않는다.

 

커피로써 인정해 주지도 않는다.

 

한마디로 가치있고

 

소중하면서도 인정받지 못하는 그 모습이

 

그리스도께서 하느님의 모습을 지니고 이 세상에

 

오셨지만 겉으로 보기에 보잘것 없고,

 

가난한 나자렛 출신의 목수로

 

밖에 보이지가 않기에 거들떠 보지도 않는것.

 

하느님의 아드님으로써 인정하지 않는것

 

바로 그러한 무시와 멸시를 받는 모습이

 

마치도 커피열매가

 

커피로써의 모습이 드러내지 않고,

 

보잘것 없기에 사람들에게 무시를

 

받는것 바로 그것과 같은 것이다.

 

이렇게 해서 열매로써의 모습과

 

공생활중의 그리스도의 모습이

 

묘하게 일치된다고도 볼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제 때가 이르자 사람들이

 

열매를 나무에서 따게 된다.

 

나무에서 열매를 딴다고

 

하는 것은 생명을 끊는 것이다.

 

생명줄인 나무에서 열매를

 

따 버리면 그 열매는 죽는 것이다.

 

그렇게 때가 되어 사람들이

 

손으로 열매를 따고 이제

 

사람들이 마음대로 하게 된다.

 

껍질을 뭉게고 부수고 난 다음

 

껍질을 벗겨서 말린다.

 

그렇게 잘 말리면

 

커피 생두가 완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또 한가지가 더 남아있다.

 

그것은 바로 커피를 불에 익히는 것

 

뜨거운 불에 익혀서 태워야 하는데

 

그렇게 해야지만 커피의 그 고소하고

 

향기로운 냄새와 맛이 나는 것이다.

 

커피 생두 그자체로써는 아무런 향과 맛이 없다.

 

불에 익혀야 하는 것이다.

 

이것을 커피용어로 '로스팅'이라고 한다.

 

위의 커피를 따는 관점에서 바라보았을 때

 

그리스도께서도 때가 이르자

 

사람들에게 손으로 잡히셨다.

 

이제 그분의 때가 이르렀던 것이다.

 

이렇게 사람들에게 잡히셨기 때문에

 

그분의 죽음과 수난이 시작된 것이다.

 

이제 사람들이 그리스도를 마음대로 할 것이다.

 

사람들의 손에 있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그분을 발로 차고 손으로 때리고

 

얼굴을 알아 볼수 없게끔 해서 그분을 부숴버린다.

 

마치 커피 열매가 껍질을 까지 위해 부서지는 것처럼,

 

그렇게 알아 볼 수 없을 정도로 부서진 예수님께서는

 

옷이 벗겨지신체로 십자가에 매달리신다.

 

이것 또한 사람들이 커피원두를

 

추려내기 위해 껍질을 벗기는 것과 같다.

 

그렇게 옷이 벗겨지신체로 십자가에 못박히신

 

예수님께서는 한 동안

 

십자가 위에서 매달려 계신다.

 

이것 또한 껍질을 벗기운 커피생두가

 

한 동안 햇볕에 말리는 것과도 같은 것이다.

 

 이제 결정의 시간이 다가왔다.

 

극심한 죽음의 고통이 짓누른다.

 

갈기갈기 찟기시고 형체를 알아 볼 수 없으신

 

그리스도께서는 마지막 숨을 거두신다.

 

그리고 삼일 후 그리스도께서 부활하시어

 

모든 이에게 참 기쁨과 행복과 생명을 주시는

 

존재가 되어 우리와 함께 살아가신다.

 

이것은 마치 커피 생두가 결정의 시간이 되어

 

뜨거운 불에 달구어져 익히게 되고

 

맛있는 커피음료로 내려져 사람들에게

 

커피의 좋은맛과 좋은 향기로

 

사람들의 기억과 입맛과 가슴에 전해져서

 

평생을 잊지 못할 맛과 향을

 

전해주는 것과 같은 것이다.

 

이렇게 해서 한잔의 커피는

 

여유로운 오전과 오후의 휴식과

 

고소한 맛과 향기를 전해주는 것만으로도 좋지만

 

더 나아가서 그리스도의 향기 즉,

 

그리스도의 육화. 공생활. 수난. 죽음. 부활.

 

이 모든것 그리스도의 생애가 담겨져 있는 것이다.

 

그래서 커피한잔을 마신다는 것은

 

그 속에 그리스도의 복음이 있고,

 

그리스도의 생애가 담겨져 있다.

 

한잔의 커피는 나와 그리스도를 연결시켜 주는

 

사다리의 역활이기도 하고,

 

그리스도의 생애의 모습을 반사시켜주는

 

거울과도 같은 역활을 하는 것이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67 커피나무를 바라봄 1 *이글은(커피나무를 바라봄1~4)    제가 유기서원기때 성 보나벤뚜라의   &quot;신비의 포도나무&quot;라는 묵상집을 읽고   저도 힌트를 얻어 그리스도에   대... 일어나는불꽃 2014.10.11 1822
666 고독한 나그네 고독한 나그네   사람의 진실이 얼마나 고독한가!   결단하는 자는 고독하다 그러나 결단해야 한다.   책임지는 자는 고독하다 그러나 책임을 회피... 이마르첼리노M 2014.08.22 1829
665 커피나무를 바라봄 3 +그리스도의 평화         커피의 향기를 내기 위해서는   그냥 커피 생두로가지고는 안되고   생두를 뜨거운 불에 달구어 익혀야 한다.   그... 일어나는불꽃 2014.10.28 1841
664 기을의묵상3-낙엽노래-   가을의 묵상글을 적으니   어느덧 겨울이 되었습니다.   너무 늦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들더군요   글도 시기에 맞춰서 올려야 하는건데   가을의 묵상 마지막... 일어나는불꽃 2014.11.17 1844
663 프란치스칸 선교 협동조합(가칭) 설립 계획 프란치스코 선교 협동조합(가) 설립 계획   선교 협동조합이란 이름 그대로 선교를 목적으로 하는 협동조합이다. 2016년 11월 현재 약 176만 명의 이주민들이 ... 2 김레오나르도 2019.01.06 1851
662 중세기행(4) 중세 프란치스칸들의 혁명적 예언성  베르골리오 추기경이 예수회원으로  처음 교황에 선출되면서 엉뚱하게도 프란치스코 라는 이름을 택하여  생각하는 사람들을 좀 어리둥절하게 만들었다.  역사... file 이종한요한 2016.08.09 1946
» 커피나무를 바라봄 2 *이글은(커피나무를 바라봄1~4)   제가 유기서원기때 성 보나벤뚜라의   &quot;신비의 포도나무&quot;라는 묵상집을 읽고   저도 힌트를 얻어 그리스도에   대해... 일어나는불꽃 2014.10.20 1955
660 복음의 기쁨 - 프란치스코 교황님의 방한을 하루 앞두고 .. 복음의 기쁨   사랑받는 기쁨 환대하는 기쁨   가난하고 작아지는 기쁨 견디는 기쁨   공감하는 기쁨 하느님의 함께 계심 안에서 누리는 자유 ... 이마르첼리노M 2014.08.13 1968
659 선한 사람으로 보이려 하지 마십시오. 선한 사람으로 보이려 하지 마십시오.   세상은 온통 잘 보이기 위한 전쟁터 같습니다. 그러나 드러나는 것은 진실이 아니고 거짓일 때가 더 많습니다. 사... 이마르첼리노M 2014.08.24 1989
658 진실? 진리?  오늘부터 형제들이 광화문에서 단식을 시작한다.  진실을 희망하는 사람들과 함께 하고자.  그 고통에 함께 하면서, 진실을 위한 그 목소리에 함께 하는 것... 김명겸요한 2014.08.25 2011
657 교황 프란치스코 께서 남긴 흔적 교황 프란치스코께서 남긴 흔적   예수 그리스도의 눈길로 성프란치스코의 눈길로   위로에서 버려진 이들 다 쓰고 버린 물건처럼 버려진 이들에게 ... 이마르첼리노M 2014.08.18 2033
656 아침해가 떠오를 때 아침해가 떠오를 때 아침해가 이글거리는 빛 수레를 몰고 와 중천 한 가운데서 빛을 내려 쏟는다. 햇빛이 미끄럼을 타고 내려와 듬뿍듬뿍 쏟아지면 뒤따라오는 ... 이마르첼리노M 2014.07.30 2116
655 하늘나라의비유 복음에대한상상(하늘나라의비유) 오늘 작업을 하면서 잘려진 나무에서 새로자라나는 싹을 보았다. 그래서 난 복음말씀에 대한 상상을 한번 해보았다. . . . 어느... 일어나는불꽃 2014.08.01 2221
654 중세 기행 (2) - 성 요한 기사 수도회 (The Order of the Hospital of St John of Jerusalem ) 기사는 중세기 서양에 있었던 특별한 신분으로 이 단어에 해당하는 프랑스어 슈발리에(chevalier)라는 말은 중세 봉건시대의 기사를 가리키는 말로 쓰였다.... file 이종한요한 2014.12.15 2228
653 가을 스케치 1 가을 스케치 말을 아름답게 만드는 것은 얼마만큼의 침묵이며 빼어난 그림은 알맞게 자리 잡은 여백이 있다 침묵과 여백은 창조주의 언어요 아버지의 넉넉한 품 ... 1 이마르첼리노M 2014.08.05 2251
Board Pagination ‹ Prev 1 ...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