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2324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T평화/ 선

그러니까 정확히 1996년도,
<안식년>을 기해 예루살렘의 성서 코스를 밟던 해,
성주간 바로 전 주였다.
나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예수님의 수난 체험을
톡톡히 치룬 고통의 날들...그 후 꼬박 2달을
성무일도를 하면서도 너무 아파서 울었고 외로와서 울던 나날이었다.

그것도 북쪽 오지인 변모 성당에 도착해서부터
살살 아파오던 배를 그냥 챗기가 있다고만 생각,
이틀간 물한모금 마시지 못하고 참기만 했었다.
한밤중 평소에 좋아하던 오랜지를 까먹으려다 그만
오장육부를 도려내는 듯한 아픔-
그 아픔은 그야말로 '참을 수 없는 아픔'이었으니
차라리 죽게 해달라는 기도가 절로 나온 극한 상황이었다.
급기야는 끊어질 듯한 허리를 부여잡고 3시간여 걸리는
예루살렘으로 내려가 곧 바로 병원에 입원을 하니,
의사 말씀에 촌각을 다투는 완전 터지기 직전인 <복막염>이란다.
정말 다시는 간밤의 아픔을 또 다시 겪기 싫어
수술를 거부, 서류에 사인을 하지 않고 있으려니,
의사 선생님의 놀램 또한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그렇게 그냥 성지에 묻히고 싶었다.

* * *

며칠 전,
암 말기로 서울의 어느 요양 병원에 입원하고 계신
안성 형제회의 전(前) 회장님께 병문안을 드리고 왔다.

전신이 부기가 심해 심상치 않은 상태임을 직감,
무엇보다도 벌써 수개월째 참을 수 없는 아픔이 역력하신 그 모습이
참으로 안스러웠다.
그런 극도의 고통을 뉘 대신할 수 있을런가?
본인 스스로만이 짊어져야 하는 고통 앞에...
"레마, 레마, 사박타니...(주님, 어찌하여 나를 버리시나이까?),
그러나 하실 수만 있다면 당신 뜻대로 하소서, 당신 뜻을 따르겠나이다."라고 하신
예수님의 십자가상 수난의 단말마의 고통을 떠올릴 밖에.

또 사랑하는 아드님의 죽음을 애도하시는
만인의 어머니, 성모님의 <피에타 상>이 떠오른다.
그 도려내는 모정의 아픔이 과연 어떠 하셨을꼬!!!

그렇듯 극한의 고통은 왜일까?

우리들 인생 여정에서 뿐만이 아니라,
며칠 전 대폭설로 인해
성거산 소나무들 가지들이 눈의 무게를 감당치 못해
가지들이 찟겨지고, 밑둥이째 부러져 넘어간 자연의 재해 앞에
망연자실할 밖에...
저 멀리 아이티며 칠레의 지진의 참상은...!!!
자연과 인간이 다함께 앓고있는 크나 큰 시름들이여!

이번 사순시기의 무게가 참으로 무겁다.
'참을 수 없는 아픔' 앞에
예수님의 수난이 더 없는 고통으로 다가옴을 체현하는
아픔의 기도가 절로 가슴을 후벼판다.

우리 인생에 있어서
궂이 아픔, 고통, 고난의 이유를 대야 한다면,
인간의 대속(代贖)을 위해
십자가에 달리셔야 한 귀한 아들 예수님!
'하느님 아버지에 대한 사랑 까닭' 외에
무슨 해법이 있을 수 있겠는가?
  • 아스라이 2010.10.31 09:18
    아~ 육신의 고통을 통해서만 주님께 갈 수 있는지요?
    피해가고 싶고
    적당히 가고 싶고
    그냥 편안히 가고 싶은 우리네 마음을...
  • 변마르타 2010.10.31 09:18
    육신의 고통도 못 견딜일이지요.
    정신의 고통도 못 견딜일이지만......저는 육신의 고통도 못 견디겠더라구요.
    죽을때도 아프지 않고 죽었으면 좋겠어요.
    몸이 아프면 정신도 흐트러져서....기도도 안되고.그저 아픔에 매달리게 되더라구요.
    어떤 분들은 아파도 기도를 잘 하시는거 같던데..저는 멀미만 나도 기도고 뭐고..아무 생각이 없어 지던걸요....

생활나눔

일상의 삶의 체험을 나눕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8 교황님과의(꽃동네) 만남 T 평화 / 선   '교황님과 수도자들과의 만남'이란 목적으로, 대중 교통 뻐스를 이용해 저로서는 약 10여년 만에 꽃동네를 방문했습니다. 그동안 꽃동네는 모든... 김맛세오 2014.08.18 1914
357 좋은 인연(因緣), 작고 큰 복(福) T 평화가 강물처럼... 어젠 모처럼 시간을 내어 팔당에 다녀왔습니다. 1976년도에 영면하신 사랑하는 할머니의 화장 관계로 천주교 공원묘지의 소장... 김맛세오 2014.08.12 1736
356 진정한 내 친구이자 이웃...? T 온 누리에 평화   가끔 이런 생각을 해봅니다. &quot;지금까지 제가 살아오면서, 진정한 제 친구들이자 이웃은 뉘(무엇)일까?&quot;   사람일 수도 있고 사람이 아닌... 김맛세오 2014.07.28 1618
355 해바라기 나팔꽃 T 온 누리에 평화   '해만 온전히 바라보고 핀다'하여 '해바라기'이라 부르는 것이리라. 영어로는 'Sunflower'라고 하니 우리 말로 직역하면 '태양(해)꽃'이라... 1 김맛세오 2014.07.22 2058
354 자연과 동반한 살구 T 온 누리에 평화   잘 익은 살구의 맛을 보았는지요? 살같이 보드랍고 공처럼 동그란 모양이어서 '살구'라 했는지는 몰라도 농익은 살구의 맛을 보면 그 어... 김맛세오 2014.07.15 2426
353 추억 사진 이야기 예전의 엘범 사진을 보노라면 그때의 일들이 어제처럼 생생히 떠오릅니다. 그해 저는 선배되시는 '신베드로' 형제님(수사님)과 함께 오대산엘 갔었답니다. 방학 ... file 김맛세오 2014.07.14 1915
352 일상의 작은 기쁨들 T 온 누리에 평화가 가득   오늘은 진종일 천둥번개, 소나기가 오락가락합니다. 이런 날이면 잊을 수 없는 기억이 하나 떠오릅니다.   오래 전, 수도회에 입... 김맛세오 2014.06.25 1779
351 라스베가스에서의 별난 경험 T 평화/ 선   2006년도 여름이었으니 꼭 8년이 지난 일이네요.   그해 저는 '안식년'을 보내고 있어, 좀 여유가 있던 터라 우연히 발동이 걸려 L.A에 갈 기회... 1 김맛세오 2014.06.09 2012
350 자연에 대한 이런저런 기억들과 함께 T 온 누리에 평화   매일 작은 정원을 대하면서 참으로 많은 걸 느낍니다.   꽃삽으로 모종을 옮길 때마다 흙 속에서 꼼틀거리는 작고 큰 지렁이들이 자신들... 김맛세오 2014.06.02 1897
349 고향의 미루나무 T 평화/ 선   전에 얼핏 언급한 적이 있습니다만, 내 고향 '동지기'(현 동작동 현충원 자리)엘 가면 공작의 날개 형상으로 펼쳐진 지형 전체의 한가운데로 흐... 김맛세오 2014.05.13 1906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52 Next ›
/ 5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