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2011.04.05 21:54

소나무 예찬

조회 수 299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T 평화/ 선

아마도 소나무에 대한 애정을 갖기 시작한 것은
이곳 성거산에 내려와 살기부터라고 하여도 과언은 아니리.
예전엔 어딜 가나 어렵지 않게 만나서였는지
그저 무심코 지나치기가 일수였었다.
소나무에 대한 애정 때문에라도
어쩌면 성거산은 내 인생에 있어서,
(벌써 만 5년을 향하고 있으니...)
깊어질데로 깊어진 제2의 고향이 아닐런가 싶다.

틈만 나면 나무 전지용 가위와 톱을 들고
수도원 주변 숲 속에 산재되어 있는 소나무,
오늘도 그 주변을 맴돌다,
묘지 앞에 자라고 있는 잘 생긴 소나무를 키가 닿는데만
일부 전지해 주기로 맘 먹었다.
짐작컨데 노송(老松: 세월의 오래됨에 따라 老松-枯松-神松이라 하던가?)에는 못미칠망정,
수령 50-70년은 족히 되었을(숲 속 곳곳에 비슷한 또래의 소나무들이
즐비한 이곳) 거목으로 자라고 있어
올려다 보니 그 우람함에 절로 찬탄이 가진다.

특히 다른 또래 소나무들과는 달리
천가지 만가지로 자라는 가지중에 하단 부분
땅을 향해 뻗어 사쁜히 기는 듯한 가지들(일명, 처진소나무)의 형상은,
바람이라도 불라치면 마치 고전 춤사위를 방불케 하는
그런 아름다운 자태려니 못내 시선을 떼지 못하게 함에랴!

소나무와 관련된 우리 나라 민간 전례의 사례들도 많다.
아기를 낳은 집에선 으례히 솔가지를 줄에 엮어 잡인의 출입을
금하는 표지로 썻는가 하면,
어릴적 장독대 장을 담근 단지에도 솔가지로 금줄을 처놓는 걸
많이 보아 왔다.
성삼문의 그 유명한 시귀엔 소나무의 기상과 절개를 담아,
"이 몸이 죽고 죽어 무엇이 될고 하니
봉래산 제일봉에 낙락장송 되었다가..."라고 읊지 않았던가!
가지가 땅에 떨어질 듯 자라 낙락장송(落落長松)이라 하나보다.
사시사철 늘 푸르른 가지를 유지하고 있어,
계절의 변화에 초연하고 한결같은 모습 또한
우리가 닮아야 할 높은 기상의 표상이겠다.

내 방엔 마치 용이 꿈틀거리는 듯한 소나무를
사진 앵글에 담아 걸어 놓았다.
바로 옆 능선 너머 아무도 볼 수 없는 곳,
커다란 암반을 안고 깍아지를 듯한 벼랑 위에 자라고 있는
비송(秘松) 한 그루가 있어,
그 선명한 거북이 등짝같은 줄기하며
얼마나 멋진지, '성거산 정일품 소나무'란 애칭까지 붙혀줬다.
가끔 오는 손님 중에서도
관심과 보는 눈이 있는 사람에게만 안내해 주기도 하니,
쏠쏠한 재미를 안겨주는 나 만의 비밀 친구만 같다.

자연은 있는 그대로 순수한 모습을 담고 있어
아름답기 그지없나 보다.

갖가지 천태만상의 소나무들이 숨쉬고 있는 성거산!
특히 성모상 뒤로 휘돌아 올라가는 '십자가 길'의
멋들어진 자태를 뽑내는 소나무들은,
천흥리 저수지 쪽의 확 트인 전망을 산수화처럼 수놓게 하고 있어
붓이라도 놀리고픈 화가의 심정이 되게 한다.

한겨울 눈이라도 내리면 환상적인 소나무 눈꽃송이를
그 어디에서 볼 수 있을겐가.
봄, 이맘때 또한 매년 태어나는 어린 소나무들을 대할 때면
천진난만한 아가들의 옹아리라도 들어주 듯
보듬어 주는 가 하면,
어데서 막걸리라도 생기면 몰래 꿍쳐 놓았다가
갸들의 간식거리로 부어주 곤 한다.
(막걸리엔 소나무를 잘 자라게 하는 성분이 있어...)

아마도 성거산에 피정이나 손님으로 와도
곳곳에 서려 있는 이런 소나무들과의 만남이 없으면,
정작 진면모를 알지 못한채 그냥 수박 겉핡기식으로 왔다 갈 뿐.

생활나눔

일상의 삶의 체험을 나눕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8 할머니와 샘 T 평화가 샘물처럼...   어린 시절, 세상에 대해 처음으로 제 의식에 자리잡은 것은 다름아니 '동재기 능말'(4-5살 무렵)이라는 곳의 할머니와 샘터이지요. ... 김맛세오 2013.04.30 2020
307 정원을 가꾸며... T 온 누리에 평화 요즘엔 제 마음이 자꾸만 정원으로 달려나가지요. 어젯 밤 사이 내리는 비로 식당에 있는 화분들을 모두 밖으로 내어 놓았고요. 집 안... 4 김맛세오 2013.03.25 2787
306 소철 이야기 T 평화/ 선 제 방 창가엔 '사랑초'와 '(종류 이름?)키작은 란', 그리고 작은 '소철'- 세 종류가 있어 모두가 키우기에 그리 까다롭지 않답니다. 세 종... 김맛세오 2013.03.25 3914
305 불과 불을 지피시는 할머니 T 온 누리에 평화 '만물의 근원이 불'이라고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헤라클레이토스(기원 전 6-5세기경)가 주장했다던가요. 아마도 지구가 태양이라는 ... 김맛세오 2013.03.11 3040
304 성거산의 도롱뇽 T 온 누리에 평화 봄그리메가 드리워지는 성거산(聖居山)의 봄! 그곳이 무척 그리워집니다. 오늘이 바로 '개구리가 동면에서 깨어 나온다'는 경칩(驚... 김맛세오 2013.03.05 2980
303 수덕사의 친구들 T 평화가 강물처럼... 예나 지금이나 등산을 무척 좋아해 휴일이면 어김없이 기차나 뻐스를 타고 아니면 걸어서라도 멀고 가까운 아무 산으로 향하는 것이... 김맛세오 2013.03.05 2661
302 닭대가리라구요? 천만에요...! T 온 누리에 평화. 대전 목동에서 수련받을 때(1977년)입니다. 수련소에 제법 큰 농장이 있고, 한 켠 구석엔 온갖 동물을 키우는 큰 울까지 있... 김맛세오 2013.02.04 3057
301 한사랑공동체 윤석찬 프란치스코 형제님의 신문기사 평화와 선 행려자를 위하여 봉사하고 있는 작은형제회 윤석찬 프란치스코 형제님의 기사를 나눕니다. 기사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 file 홈지기 2013.01.30 4459
300 사랑과 영혼...! T 평화/ 선 그제 새벽에 교통 사고로 재속회원이신 김젬마 자매님이 하느님 품에 안기셨습니다. 자매님의 영혼이 떠나시기 전에 하시는 말씀- "수사... 김맛세오 2013.01.18 2817
299 상호적 관계 T 평화/ 선 제 방엔 늘 작은 화분의 꽃이 있어 그 자라고 피고지는 화초에 자연스레 물을 주고 때로는 거름을 주기도 하며 수시로 사람에게처럼 대화를 ... 김맛세오 2013.01.02 3951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52 Next ›
/ 5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