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2011.05.18 10:44

엄마의 달

조회 수 2497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T 평화/ 선

어젯 밤 한밤중 단잠을 자다가,
성거산 등걸 휘영청 걸려있는 보름 달 빛에
더 이상 잠을 이루지 못하고 말았으니...

인류가 존재해 온 이후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저 달 빛에 감동을 받았을까.
오죽하면 '이태백이 놀던 달...!이라 할만큼
달과 함께 풍류를 읊은 시객(時客)들이 참으로 많았었고,
달은 오로지 하나 뿐이건만
지구상에 투영된 그 달 빛에 대한 반영들로
심금을 울린 예화들은 얼마나 많았던고!

특히 저렇듯 5월에 뜬 보름 달을 바라보며
많은 걸 상기케 하는 사건들도 있잖은가!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이 일어났던
우리 민족의 가슴에서 씻기 어려운
바로 그 날이 오늘이요,
'어버이의 달, 가정의 달'인 만큼
나 개인적으로는 유독 엄마가 많이 생각켜지는 달이기도 하다.

우리 두 형제를 위해
뉘보다도 바지런하셨던 엄마의 일상이 상기된다.
직장의 출퇴근 시간에 맞추어
새벽이나 새까만 밤중을 오가시는 길에
두둥실 떠오른 하늘의 달이나 별을 보시고
무슨 생각들을 하셨을꼬?

아마도 집과 우리 형제들에 대한
보름 달만큼이나 커다란 벅찬 희망을 안으시고
그때마다 걸음을 재촉하셨을 테지 ...

내 얼릴 적 지금의 현충원에 자리했던 우리 집은
마을의 맨 꼭데기에 자리해 있어,
엄마가 출근하시거나 퇴근하실 때엔
그 모습을 멀리에서도 바라 볼 수가 있어,
멀어짐에 대한 아쉬움과 가까워짐에 대한 반가움이 늘 교차되어
지금도 엄마의 그 모습을 지울 수가 없다.
그래서 '그림움'은 내 천성이 된 건지도 모르겠다.

태양은 하느님처럼 직접 바라 볼 수 없지만
달은 초생 달에서부터 보름 달까지의 그 아름다운 변화를
육안으로 감지할 수가 있어
예나 지금이나 저 달을 통하여
참으로 멀고도 아주 가까운 심금을 울려주는 벗이었다.

그러기에 프란치스코 성인 같은 분은, 달이란 피조물을 통해
"누나 달이며 별들의 찬미를 내 주여 받으소서.
빛 밝고 절묘하고 어여쁜 저들을 하늘에 마련하셨음이니이다."
<태양의 노래 일부>라는 최고의 찬사를 아끼지 않았던가!
아마도 이러한 시상(詩想)은,
아씨시의 들녘과 라베르나(오상을 받으신) 산상에 떠오른
절묘한 달을 바라보았을 터였으리라.

이곳 성거산에서 바라보는 달 역시,
엄마의 옛 발걸음을 교교히 비추었을 터이니,
달을 바라볼 때마다
천국과 지상, 과거와 현재의 모습들,
엄마와 내가 생생히 교차되는 교감이기도 하다.

감사와 찬미의 달!
보름 달은 늘상 내게 친근감으로 다가오는
교회와 성모님의 표징이기도한 달!
엄마를 통해 성모님과 가장 가까이 할 수 있는
다함없는 사랑의 달!
  • 숲길따라 2011.05.22 07:31
    성거산의 숲은 노오란 달빛에 젖어들고...수사님은 어머니의 그리움으로 젖어드는 아름다운 밤였겠네요. 갑자기 깨진 유리창에 빼꼼이 얼굴을 내민 초생달이 생각나네요..ㅎ
  • 2011.05.22 07:31
    T 저 아래 천흥리 호수에 비치는 초생달도...소녀의 눈썹처럼 참으로 예쁘지요.

생활나눔

일상의 삶의 체험을 나눕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8 또 다른 만남 T 평화와 선 성거산 줄무덤 성지 미사에 참례하러 가끔 뒷 산을 오르는 요즘... 하루가 다르게 짙어가는 가을 단풍에 넋을 잃게 만다. 역시 가을은 생각이 깊어지... 2 2010.11.07 2503
» 엄마의 달 T 평화/ 선 어젯 밤 한밤중 단잠을 자다가, 성거산 등걸 휘영청 걸려있는 보름 달 빛에 더 이상 잠을 이루지 못하고 말았으니... 인류가 존재해 온 이후 얼마나 ... 2 김맛세오 2011.05.18 2497
406 정원의 풀(잡초?)을 뽑으며... T 평화 세상에 잡초가 어디에 있습니까. 인간의 이기에 의해서 풀과 잡초를 나누는 이분법의 잣대가 저로서는 별로 탐탁치 않습니다만, 잔디를 가꾸려다 보면 어... 1 김맛세오 2012.05.16 2492
405 할미꽃 T 온누리에 평화. 선배님들 무덤가에 할미꽃이 소복히 피고 있다. 꼭 이맘때면 피어나는 할미꽃을 만나면 정말 옛적 내 할머니를 닮은 모습에 언제나 보아도 편안... 5 2007.04.05 2488
404 12월의 추위! T 평화와 선 이렇듯 컴퓨터 앞에 앉아 있노라면 언제나 넓은 창 밖의 시야가 펼쳐져 좋다. 물론 기온이 뚝떨어져 지금 영하 14도나 되는 강추위여서, 떨고 있을 ... 2010.12.15 2481
403 자매 물에 대한 한 생각 T 평화와 선 &quot;쓰임 많고 겸손하고 값지고도 조촐한 누나 물에게서 내 주여 찬미를 받으시옵소서.&quot; 성 프란치스코는 '태양의 노래'에서 물에 대하여 위와같이 노래... 김맛세오 2011.04.05 2472
402 사랑은 너무 아파! T 온누리에 평화가. 이렇듯 바람이 차갑고 심한 날이면 피어난 꽃들은 얼마나 추울까! 꽃샘 추위라지만 사랑을 시샘하여 불어오는 삭풍 때문. 졸졸 흐르는 계곡물... 2 2007.04.03 2470
401 '미래'야, 아는 척 좀 하자꾸나 T 온 누리에 평화 어릴 적부터 강아지나 개를 무척이나 좋아했습니다. 오죽하면 멋모르고 어른들을 따라 잘 먹던 보신탕을 수도원에 입회한 이후 절대로 입에도 ... 김맛세오 2012.06.06 2465
400 포도철과 보나의 어머니 T 온누리에 평화 '성거읍' 하면 거봉으로 유명- 이맘 때 포도철이 오면, 청포도와 거봉이 그야말로 주저리 주저리 열리는 신나는 고장이라. 무엇보다도 큰이모(부... 2010.08.31 2465
399 인왕산(仁旺山) 길 T 평화와 선 치통으로 마지막 씹을 수 있는 이를 뽑아 근 2주 정도 죽 만을 먹고 지내는 힘든 요즘입니다. 꼭 사순시기에 맞추어 이런 일이 생기는 걸 보면 어지... 김맛세오 2012.03.11 2462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52 Next ›
/ 5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