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1129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http://www.nanum.com

푸르고 여린 새싹들이 언 땅을 뚫고 일어서는 새봄
[평화나눔 아카데미]가 더욱 새로워진 모습으로 여러분 앞에 다가갑니다.

[평화나눔 아카데미]는 내 안의 밝은 지혜와 푸른 감성을 일깨우며,
눈물 흐르는 지구의 골목길에 평화의 나무를 심습니다
깊은 통찰력과 예리한 문제의식으로 성찰과 대안을 모색중인
각 분야 전문지성들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는 자리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 제6기 강좌 소개 (3월30일 – 6월1일 매주 목요일 저녁 7시30분)
 
3/30 박노해 시인
“봄은 누구에게나 봄이어야 한다” - 흰 설원의 쿠르디스탄에서
80년대 [노동의 새벽]과 90년대[사람만이 희망이다]로 한국사회에 충격적 감동을 던졌던 박노해. 2003년 전쟁의 바그다드에 몸을 던졌던 그와 함께 흰 설원의 '쿠르디스탄'으로 떠납니다. 시인의 시적 통찰과 생생한 사진을 통해 쿠르드인들의 비극적 삶과 뜨거운 독립의지를 살펴보고, 나아가 인류에 대한 오~Peace코리아의 책임의식에 새롭게 눈뜹니다.
 
4/6 정진영 영화배우 ㅣ 스크린쿼터지키기 영화인대책위 집행위원장
한국영화와 문화전쟁, 그것이 알고 싶다
<왕의 남자>의 1000만 흥행 속에서 자부심과 행복감을 느꼈던 우리는 한미FTA협상을 계기로 한국영화의 현실을 제대로 보게 되었습니다. 거리로 나선 영화인들을 대표해 정진영 씨를 초대하여 신자유주의라는 거대한 파도 앞에서 우리 영화를 지켜내고 발전시킬 방법이 무엇인지 힘과 지혜를 모아 보겠습니다. 왜냐면, 한국영화를 보는 재미와 행복은 계속되어야 하니까요.
 
4/13 전성은 전 거창고 교장 ㅣ 전 대통령자문 교육혁신위원장
거창고의 전인교육철학 이야기
전교생 200여명의 얼굴과 이름을 다 알고, 눈이 오면 학생들을 데리고 토끼잡이를 나가는 전성은 교장 선생님은 학교공부는 평생공부의 일부에 불과하다고 말합니다. 올해 초 교장직을 퇴임한 전성은 선생님은 현장교사 출신으로 교육부총리에 거명되기도 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걱정하고 있는 우리 교육에 대해, 그 근본철학에서부터 다시 묻습니다.
 
4/20 곽재성 경희대 아태국제대학원 교수
중남미에 부는 바람, '또다른 세계'는 가능한가
브라질 룰라, 베네수엘라 차베스, 볼리비아 모랄레스... 2000년대 중남미에는 소위 좌파돌풍이 일고 있습니다. 독재정권을 물리치고 민주화와 개혁을 추진하고 있는 중남미 국가들은 하나의 라틴아메리카를 표방하면서 미국 주도의 자본주의와는 '또다른 세계'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지구 반대편에서 벌어지고 있는 중남미의 개혁실험, 그 가능성과 한계를 조명해 봅니다.
 
4/27 권인숙 명지대 여성학 교수
여성 없는 진보와 한국사회의 군대문화
얼마 전 <대한민국은 군대다>라는 책을 통해 80년대 민주화운동세력 내의 남성적 군대문화를 비판했던 여성학자 권인숙 교수는 ‘여성’이 배제된 우리의 민주화를 돌아보게 해주었습니다. 그와 함께 한국사회의 뿌리 깊은 군대문화와 국가주의를 성찰하고, 징병제의 문제점 등을 짚어 봅니다.
 
5/4 이도원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
전통에서 찾는 생태적 삶의 지혜
이른바 ‘생태주의’라고 하면 서구에서 들어온 근본주의적인 환경보호 운동을 떠올리게 됩니다. 환경보호도 중요하지만, 거기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오늘의 삶도 중요합니다. 이도원 교수는 서구선진국에서 생태학을 공부하고 돌아왔지만, 한국의 전통, 예를 들어 강뚝, 숲띠, 논 웅덩이 등에서 생태적 삶의 지혜를 밝혀냅니다. 그와 함께 도시적 삶의 틀에서 자연과 인간의 조화로운 공생이 어떻게 가능한지 알아봅니다.
 
5/11 심상정 국회의원, 민주노동당 원내 수석부대표
나의 의정활동 이야기 ? 양극화 시대의 진보와 대안
2004년 총선은 우리나라 역사상 처음으로 진보정당이 원내에 진출한 해로 기억됩니다. 빈틈없는 의정수행으로 이름 난 심상정 의원은 노동자서민의 편에 선 정책으로 양극화 문제 해법을 제시합니다. 80년대, 하이힐을 신은 운동권 여대생에서, 공장 노동자로 투신했던 그는 양극화 시대 젊은이들이 추구해야 할 진보는 ‘꿈을 실현할 일자리를 찾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5/18 박문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뇌의 세계, 그 마음의 열림과 접힘
현대 과학은 인간의 마음, 의식과 무의식, 감정과 사고 등이 뇌에서 벌어지는 전기화학 작용이라는 것을 밝혀냈습니다. 일생 동안 한 순간도 나를 떠나지 않는 느낌과 생각들, 때로는 명징하게, 때로는 흐릿하게 우리는 세계의 윤곽들을 뇌라는 캔버스 위에 그려나갑니다. 과학자들은 물론 인문 사회학자들에게까지 뇌 강의를 하는 뇌 전문가 박문호 선생의 안내로 수억년에 걸친 생명진화의 총화, 인간 뇌의 신비를 벗겨봅니다.
 
5/25 김환석 국민대 사회학과 교수 ㅣ 국가생명윤리심의위 위원
‘황우석 사태’와 과학의 시민권
2005년 한국인들은 생명과학계의 한 스타로 인해 큰 자부심에 이어 가장 큰 실망을 경험했습니다. ‘황우석 사태’는 한국사회에 만연한 맹목적인 애국주의를 보여주었습니다. 시민과학센터 소장이기도 한 김환석 교수는 전문성의 그늘에 가려진 과학기술 영역을 민주화하고 이에 대한 시민권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6/1 최창모 건국대 히브리중동학과 교수 ㅣ 한국중동학회 회장
하마스의 등장과 팔레스타인의 미래
올해 초 팔레스타인 총선에서는 소위 ‘무장테러단체’라고 하는 하마스가 압도적인 지지로 의석을 장악했습니다. 미국과 이스라엘도 설마 했던 이 결과에 대해 최창모 교수는 ‘당연한 결과’라고 말합니다. 팔레스타인의 수도 라말라를 방문하고 돌아온 최창모 교수는 하마스가 이스라엘과 미국의 압력에도 불구하고 무기를 버릴 수 없는 이유를 팔레스타인 민중의 입장에서 설명합니다. 그리고 이-팔 문제에 대한 제3자의 관심과 역할을 강조합니다.
 
 ※ 위 일정은 강사의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평화나눔 아카데미는 이렇게 진행됩니다
Pm7:00 나눔국수와 따끈한 국밥
평화나눔도 배가 불러야… 맛있는 잔치국수에서 스파게티까지,
세계 각국의 면류와 소박한 정성이 가득 담긴 뜨끈한 뚝배기 국밥으로
머리보다 앞서 눈과 입, 코가 즐겁습니다.
pm7:20 숨고르기
시와 영상, 나눔문화가 엄선한 세계의 명곡을 통해 바쁜 일상에서
잠시 벗어나 깊은 숨을 고르며 내 안의 평화를 일깨웁니다.
강연보다 더 인기 있는 시간입니다.
pm7:30 강연ㅣ주제 발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한 생을 걸고 성취한 연구성과와 문제의식을 수강생들과 나누고 질의 응답, 토론으로 내용을 심화시켜 나갑니다.
날카로운 질문자에게는 선물도^^
뒤풀이 ‘잘 노는 곳에 평화 있다’
'평화를 나누는 사람들'이 십시일반 준비한 뒤풀이. 멋진 분위기의 나눔마당에서 다양한 이력의 사람들이 술잔을 나누며 함께 어우러지는 우정의 시간.
평화답사와 평화실천행동
평화 감성과 문화적 안목을 키울 만한 현장을 답사하고,
전쟁반대 일인시위와 평화마음모으기 등 다양한 실천을 함께 합니다.
수료식, 평화의 선물을 한아름 안고
한 학기 동안 공부한 것을 돌아보고 서로의 변화발전을 축하해 줍니다.
‘내 인생의 사진’이 될 멋진 사진이 담긴 수료증과, 평화의 상상력 넘치는 졸업선물이 열심히 공부하고 잘 나누신 수강생 모두에게 돌아갑니다.

■ 수강신청 안내
신청문의ㅣ 나눔문화 김상엽, 이현지 02_734_1977  peace@nanum.com
수강료 15만원, 입금계좌 <우리은행 959-001951-13-001 나눔문화>
대학생, 시민단체 활동가, 나눔문화 후원회원과 기존 수강생들은 할인해 드립니다.
각 강좌 청강도 가능합니다. 청강을 원할 경우, 미리 예약해 주세요.

>>인터넷으로 수강신청 하기_ 클릭

평화나눔아카데미 홈페이지 가기_ 클릭


서울시 종로구 신문로 2가 1-103 진학빌딩 3층 나눔문화
02_734_1977  peace@nanum.com www.nanum.com
* 나눔문화 오시는 길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52 존재의 심연에서 2 존재의 심연에서     가난한 소유도 풍성한 소유도 내게 있어선 오직 당신이 이를 재량합니다. 당신은 내가 존재하는 그 모든 영역을 관할 하기 때문... 이마르첼리노M 2017.05.19 885
651 길고양이 세상에  사람들이  모여서살고 세상에  살아있는  수많은생명 도시엔  길고양이  모여서살며 그들도  생명으로  사는것일뿐 어둔밤  길거리에  지나다니는 고양이... 일어나는불꽃 2016.05.17 881
650 전염되는 복음 전염되는 복음   고요한 침묵 충만한 사랑 선의 육화 표양과 행실 공감이 주는 매력 기쁨에 찬 얼굴       이마르첼리노M 2017.08.21 863
649 사랑의 학교에서 동창생들에게 쓰는 편지 사랑의 학교에서 동창생들에게 쓰는 편지   열대야의 맹위가 잠들지 못하게 하는 밤 사랑의 학교에 다니는 동창생들인 너희들을 위하여 이미 새날이 된 ... 이마르첼리노M 2017.07.25 862
648 마지막 저녁노을 마지막 저녁노을   글썽이는 눈물 겨울바람 스치면 닦아 주려나 서러운 이별 앞두고 그리움에 지쳐 싸락눈 되어 너에게 간다   겨울 해는 사라지고... 이마르첼리노M 2016.12.31 862
647 고난의 꽃으로 고난의 꽃으로   “죽음의 그늘 밑 어둠 속에 사는 우리에게 빛을 비추어 주시고 우리의 발걸음을 평화의 길로 이끌어 주시리라” 루가1.79   길이... 이마르첼리노M 2017.08.11 859
646 생명의 찬가 생명의 찬가   덜 배운 감사 서투른 애덕 인색한 허용 마침내 어질고 느긋한 겸손에 이르기까지 살아있음은 불의 제련을 거처 순수를 탐낸다.   ... 이마르첼리노M 2017.08.09 855
645 삶의 자리에 피는 꽃 삶의 자리에 피는 꽃     사랑을 모르는 사람은 미움도 모를 성싶다. 구하지 않는 이는 거절에 당면하지 않을 것이고 애정의 갈망에 울지 않고서는 ... 이마르첼리노M 2016.10.15 849
644 갈망의 산실 갈망의 산실   매일 밤 만상이 잠든 때   잉태된 갈망은 분만의 진통을 겪고 세상에 태어납니다. 저는 잠을 깨고 태어난 갈망은 포근한 가... 이마르첼리노M 2017.08.15 848
643 그분은 그분은   새해도 하루가 지났다 겨울 속에 봄인가 하느님을 만나러 갔다   그분은 어린 냉이의 초록 끝에 맺힌 아침이슬로 빛나고 계셨다   ... 이마르첼리노M 2017.01.02 845
642 消防의 지혜를... 消防의 지혜를...   폭우와 가뭄 부익부 빈익빈의 장마 속에 얼굴을 내민 이글거리는 태양 불과 불이 만나 거세진 불가마속의 화염이 바다에 빠졌다 수... 이마르첼리노M 2017.07.13 844
641 건축 설계 건축 설계     동등할 때 사랑하기 쉽다   세 위격의 하느님이 사람이 되신 것은 우리를 사랑하시기 위하여 하느님의 동등함을 내려 놓으셨기 때문... 이마르첼리노M 2017.08.13 839
640 사랑이라는 미명 아래 사랑이라는 미명 아래     “내가 원하는 것은 희생이 아니라 자비다”   열심 하지만 교만한 사람은 하느님과 협력하여 선을 이루기보다 사람과 ... 이마르첼리노M 2017.08.01 834
639 산청성심원 60주년 기념 사진전시회 - 명동성당갤러리 1898 (제3전시실 7.17~7.30) 경남 산청에 소재한 한센인들의 고향으로 불리는 성심원이 올해로 개원 60주년을 맞아 사진전을 엽니다. 명동성당 ‘갤러리 1898’ 제3전시실에서 2019년 ... file 신라이문도 2019.07.11 831
638 자유 자유   모든 것을 얻기 위해 모든 것을 잃는 자유 생명을 바쳐 생명을 얻는 신비 예수 그리스도에게 배운 진리다   자유가 없으면 사랑도 없다. 의... 이마르첼리노M 2017.05.17 830
Board Pagination ‹ Prev 1 ...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