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1349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http://nanum.com


푸르고 여린 새싹들이 언 땅을 뚫고 일어서는 새봄
[평화나눔 아카데미]가 더욱 새로워진 모습으로 여러분 앞에 다가갑니다.

[평화나눔 아카데미]는 내 안의 밝은 지혜와 푸른 감성을 일깨우며,
눈물 흐르는 지구의 골목길에 평화의 나무를 심습니다
깊은 통찰력과 예리한 문제의식으로 성찰과 대안을 모색중인
각 분야 전문지성들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는 자리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 제6기 강좌 소개 (3월30일 – 6월1일 매주 목요일 저녁 7시30분)
 
3/30 박노해 시인
“봄은 누구에게나 봄이어야 한다” - 흰 설원의 쿠르디스탄에서

자신의 혁명적 삶과 함께 80년대 [노동의 새벽]과 90년대 [사람만이 희망이다]로 충격적 감동을 전해준 박노해. 2003년 전쟁의 이라크에
몸을 던졌던 그와 함께 흰 설원의 쿠르디스탄으로 떠납니다. 시인의 통찰과 생생한 현장 사진을 통해 비극적인 삶 속에서도 뜨거운 해방의지를
지닌 쿠르드인들을 만나고, 성찰과 책임에 눈뜨는 시간입니다.
 
4/6 정진영 영화배우 ㅣ 스크린쿼터지키기 영화인대책위 집행위원장
한국영화와 문화전쟁, 그것이 알고 싶다
<왕의 남자>의 1000만 흥행 속에서 자부심을 느꼈던
관객들은 스크린쿼터축소 방침을 계기로 위기에 처한 한국영화의 현실을 보게 됩니다. 거리로 나선 영화인들을 대표해 정진영 씨가
신자유주의라는 거대한 파도 앞에서 우리 영화를 지켜내고 발전시킬 방법은 무엇인지 힘과 지혜를 모아봅니다.
 
4/13 전성은 전 거창고 교장 ㅣ 전 대통령자문 교육혁신위원장
거창고의 전인교육철학 이야기
전교생 200여명의 얼굴과 이름을 다 알고, 눈이 오면 학생들을 데리고 토끼잡이를 나가는 전성은 교장 선생님은 학교공부는 평생공부의
일부에 불과하다고 말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걱정하고 있는 우리 교육에 대해, 현장에서 탐구하고 실험해온 경륜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교육의
근본철학에서부터 다시 묻습니다.
 
4/20 곽재성 경희대 아태국제대학원 교수
중남미에 부는 바람, '또다른 세계'는 가능한가
브라질 룰라, 베네수엘라 차베스, 볼리비아 모랄레스... 2000년대 중남미에는 소위
'좌파바람'이 일고 있습니다. 독재정권을 물리치고 민주화와 개혁을 추진하고 있는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의 '또다른 세계'는 가능한지, 지구
반대편에서 벌어지고 있는 개혁실험, 그 가능성과 한계를 조명해 봅니다.
 
4/27 권인숙 명지대 여성학 교수
여성 없는 진보와 한국사회의 군대문화
<대한민국은 군대다>라는 책을 통해 80년대 민주화운동세력 내의 남성적 군대문화를 비판했던 여성학자 권인숙 교수는 ‘여성’이 배제된 우리의 민주화를 돌아보게 해주었습니다. 한국사회의 뿌리 깊은
여성차별과 가부장제, 군대문화 국가주의를 성찰하고 징병제의 문제점 등을 짚어 봅니다. 여성해방의 새로운 시각을 열어줄 것입니다.
 
5/4 이도원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
전통에서 찾는 생태적 삶의 지혜

‘생태주의’라고 하면 서구의 근본주의적인 환경운동을 떠올리게 됩니다. 환경보호와 함께, 거기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오늘의 삶도 중요합니다. 이도원 교수는 강뚝, 숲띠, 논웅덩이 등 한국의 전통에서 생태적 삶의 지혜를 밝혀냅니다. 그와 함께 도시적 삶에서 자연과 인간의 조화로운 공생이 어떻게 가능한지를
모색합니다.
 
5/11 심상정 국회의원, 민주노동당 원내 수석부대표
나의 의정활동 이야기 - 양극화 시대의 진보와 대안
빈틈없는 의정수행으로 이름 난 심상정 의원은 80년대 하이힐을 신은 운동권 여대생이었습니다. 공장 노동자로 투신하기도
했던 심상정 의원은 양극화 시대 젊은이들이 추구할 진보는 ‘꿈을 실현할 일자리를 찾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노동자 서민의 편에 서서
양극화 해법을 제시하고 있는 그의 의정활동 현장으로 들어가 봅니다.
 
5/18 박문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뇌의 세계, 그 마음의 열림과 접힘
현대 과학은 인간의 마음, 의식과 무의식, 감정과 사고 등이 뇌에서 벌어지는 전기화학 작용이라는 것을 밝혀냈습니다. 일생 동안 한 순간도 나를 떠나지 않는 느낌과 생각들, 때로는 명징하게, 흐릿하게 우리는 세계의 윤곽들을 뇌라는 캔버스 위에 그려나갑니다. 뇌 전문가 박문호 선생의 안내로 수억년에 걸친 생명진화의 총화, 인간 뇌의 신비를 벗기며
새로운 자기이해를 시도합니다.
 
5/25 김환석 국민대 사회학과 교수 ㅣ 국가생명윤리심의위 위원
‘황우석 사태’와 과학의 시민권
‘황우석 사태’는 생명복제 윤리논쟁을 불러 일으킴과 동시에 한국사회에 만연한 맹목적인 애국주의도 보여주었습니다. 거대과학이 거대자본과
결합한 시대, 시민과학센터 소장이기도 한 김환석 교수와 함께 전문성의 그늘에 가려진 과학기술 영역을 민주화하는 '과학적 시민권'에 대해
논의해 봅니다.
 
6/1 최창모 건국대 히브리중동학과 교수 ㅣ 한국중동학회 회장
하마스의 등장과 팔레스타인의 미래
올해 초 팔레스타인 총선에서는 ‘무장테러단체’라고 하는 하마스가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습니다. 팔레스타인의 수도 라말라를 방문하고 돌아온 최창모 교수는 하마스가 이스라엘과 미국의 압력에도 불구하고 무기를 버릴 수 없는 이유를 팔레스타인 민중의
처지에서 설명합니다. 한편, 이-팔 문제에 대한 제3자의 관심과 역할을 강조합니다.
 
 ※ 위 일정은 강사의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습니다.
 
■ 평화나눔 아카데미는 이렇게 진행됩니다
Pm7:00 나눔국수와 따끈한 국밥
배가 고프면 공부하기 힘들죠?
강의 시작 전 맛있는 세계 각국의 면류와 정성이 가득 담긴 뜨끈한 뚝배기 국밥으로 머리보다 앞서 눈과 입, 코가 즐겁습니다.
pm7:20 숨고르기
시와 영상, 나눔문화가 엄선한 세계의 명곡을 통해 바쁜 일상에서 잠시 벗어나 깊은 숨을 고르며 내 안의 평화를 일깨웁니다. 강연보다 더 인기 있는 시간.
pm7:30 강연ㅣ주제 발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한 생을 걸고 성취한 연구성과와 문제의식을
발표하고 질의 응답, 토론을 통해 내용을 심화시킵니다.
날카로운 질문자에게는 선물이!
뒤풀이 ‘잘 노는 곳에 평화 있다’
평화를 나누는 사람들이 십시일반 준비한 뒤풀이. 멋진 분위기의 나눔마당에서
수강생들이 술잔을 나누며 함께 어우러지는 우정의 시간.
평화답사와 평화실천행동
"평화를 원하거든 평화의 씨를 뿌려라" 평화 감성과 문화적 안목을 키울 만한 현장답사,
평화마음모으기와 1인 시위 참여 등 다양한 실천을 함께 합니다.
수료식, 평화의 선물을 한아름 안고
한 학기 동안 공부한 것을 돌아보고 서로의 발전을 축하해 줍니다.
‘내 인생의 사진’이
담긴 멋진 수료증과 상상력 넘치는 평화의 선물이 돌아갑니다.

■ 수강신청 안내
수강료 15만원, 입금계좌 <우리은행 959-001951-13-001 나눔문화>

대학생들은 특별히 10만원으로 할인해 드립니다.
시민단체 활동가, 나눔문화 후원회원과 기존 수강생들도 할인해 드립니다.

각 강좌 청강도 가능합니다. 청강을 원할 경우, 미리 예약해 주세요.
신청문의ㅣ 나눔문화 김상엽, 이현지 02_734_1977  peace@nanum.com


>>인터넷으로 수강신청 하기_ 클릭


>>평화나눔 아카데미 지난 강연 맛보기_ 클릭


서울시 종로구 신문로 2가 1-103 진학빌딩 3층 나눔문화
02_734_1977  peace@nanum.com www.nanum.com
* 나눔문화 오시는 길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4 대림절 대림절   주님의 처음 오심을 경축하고 전례 안에서 오시는 성탄과 마지막 오심을 준비하기 위하여 회개하고 깨어 있으라는 복음의 메시지를 자주 듣는 ... 이마르첼리노M 2020.12.06 496
363 틀을 바꿔라. 틀을 바꿔라.   회개하여라 하늘나라가 가까이 왔다. (마태오 4,17)   회개하라는 말을 고행하라는 뜻으로 이해하면 보상과 처벌이라는 틀에 묶여 외... 이마르첼리노M. 2020.12.12 514
362 변화와 성장 변화와 성장   성장은 죽음으로 태어나는 생명이다. 하느님 나라는 선의 확산이며 변화는 진화의 내용이자 결과다. 변화하지 않는 삶은 정체된 삶이며 정... 이마르첼리노M. 2020.12.17 413
361 육화의 시간 육화의 시간   하루를 마감하는 시간과 하루를 시작하는 시간은 하느님의 자비에 맡겨진 시간이다.   하루를 마감한다는 것은 내가 사랑하는 사람과... 이마르첼리노M. 2020.12.18 411
360 모른다. 모른다.   “바람은 불고 싶은 데로 분다. 너는 그 소리를 들어도 어디에서 와 어디로 가는지 모른다.” (요한 3,8)   내 삶도 그와 같다. 나는 어디에서 ... 이마르첼리노M 2020.12.20 463
359 성탄은 관계의 축제 성탄은 관계의 축제   “내 기쁨을 나누어   너희의 마음에   기쁨이 넘치게 하려는 것이다.” (요한 15,11) 기뻐하여라 기뻐하여라 기뻐서 뛰고 춤... 이마르첼리노M 2020.12.22 726
358 송년의 시간에 돌아보는 나의 성소 송년의 시간에 돌아보는 나의 성소   행동하지 않는 아들과 행동하는 아들의 비유 (마태 21,28-31) 예수께서는 포도원에 가서 일하겠다고 대답만 하고 행동... 3 이마르첼리노M 2020.12.31 471
357 새해의 첫날 (밤의 끄트머리엔 새벽이 있다.) 밤의 끄트머리엔 새벽이 있다.   새해의 첫날 밤의 끄트머리에서 먼동이 튼다. 끝이 보이지 않는 어둠 너와 나를 갈라놓던 밤이 새벽을 맞으려 한다. ... 이마르첼리노M 2021.01.01 464
356 재속프란치스코 회원들에게 보내는 희망의 편지 재속프란치스코 회원들에게 보내는 희망의 편지   주님의 평화가 온 누리에 …   새해를 맞이하여 주님 안에서 인사드립니다. 주님께서 여러분 ... 1 이마르첼리노M 2021.01.04 753
355 행동하는 자비가 육화되는 땅 행동하는 자비가 육화되는 땅   하느님께서 우리를 이렇게 사랑하셨으니 우리도 서로 사랑해야 합니다. (1요한 4, 11)   우리에 대한 하느님의 사랑에 ... 이마르첼리노M 2021.01.06 540
354 후리지아 입술에 핀 미소 후리지아 입술에 핀 미소   얼어붙은 땅 얼어붙은 마음   부풀어 오르는 꽃봉오리 얼굴과 입 눈가에 핀 내면의 꽃   받은 생명 지닌 생... file 이마르첼리노M 2021.01.08 594
353 하느님의 모성적인 품 하느님의 모성적인 품   사람이 되신 예수께서는 분명 남성이었지만 그리스도는 남성과 여성성을 초월하시는 하느님이시다. 하느님은 부성과 모성을 지니... 이마르첼리노M 2021.01.14 458
352 위대한 초월자 앞에서 위대한 초월자 앞에서   모든 선한 일에는 아주 작은 것이라도 보상을 기대하는 심리가 숨어 있다. 예수님을 따르는 대가로 축복과 성공을 얻을 수 있다고... 1 이마르첼리노M 2021.01.15 465
351 악의 신비 앞에서 (악을 깨우는 악) 악의 신비 앞에서 (악을 깨우는 악)   악은 언제나 분열과 분리를 시키려고 한다. 하느님은 우리의 인격을 온전하게 하시지만 사탄은 우리를 분열시킨다. ... 이마르첼리노M 2021.01.17 503
350 고통 앞에서 고통 앞에서 인류가 직면한 고통들 재난과 질병과 사고 신체적 정신적 물리적 고통 외로움과 고독과 영적 고통   죄를 뒤집어씌울 희생양을 찾는 사람들... 이마르첼리노M 2021.01.24 437
Board Pagination ‹ Prev 1 ...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