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뉴스 > 문화 > 북스 [편집자레터] ‘아우슈비츠의 성인’ 막시밀리아노 마리아 콜베 신부를 아십"> 뉴스 > 문화 > 북스 [편집자레터] ‘아우슈비츠의 성인’ 막시밀리아노 마리아 콜베 신부를 아십">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442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편집자레터] ‘아우슈비츠의 성인’ 조선일보 "콜베" 김경상사진집 기사 보도자료
2007/01/13 00:21



사진전 뉴스 보기

홈 > 뉴스 > 문화 > 북스
[편집자레터] ‘아우슈비츠의 성인’

막시밀리아노 마리아 콜베 신부를 아십니까.
폴란드 출신인 콜베 신부는 1941년 5월 아우슈비츠로 끌려갑니다.
수인번호 ‘16670’으로 불리던 신부는 다른 수감자들과 똑
같이 강제노동과 구타, 굶주림에 허덕입니다.
그러나 콜베 신부는 동료들을 위로하고 고해성사를 줍니다.
두 달쯤 지났을까요.
감방에 있던 수감자 하나가 탈출을 시도합니다.
1명이 탈출할 때마다 10명을 죽이는 게 수용소의 규칙이었습니다.
소장은 ‘아사감방’에 갈 희생자 10명을 고릅니다.
지목을 당한 죄수 하나가 가족이 보고 싶다고 울부짖습니다.
이 때 누군가 대열에서 나와 자기가 대신 가겠다고 하지요. 콜베 신부였습니다.


감방에 갇힌 죄수들은 콜베 신부의 인도 아래 기도와 묵상을 합니다.
하나 둘씩 굶어 죽지만 2주가 지나도록 신부는 다른 수감자 3명과 함께 살아남습니다.
수용소장은 사형을 명령합니다.
그 해 8월14일 위생병이 콜베 신부에게 독약 주사를 놓으러 왔습니다.
신부는 팔을 내밀지요.

아우슈비츠 생존자인 작가 프리모 레비는 대표작
‘이것이 인간인가’(돌베개)에서 수용소를
“생존을 위한 투쟁을 한시도 쉴 수 없는 곳”이라고 증언합니다.
거리낌없이 시체와 한 침대를 쓰고 옆 사람이 가진 빵 조각을 뺏기 위해
그 사람이 죽기를 기다리던 곳이라고요.
그렇게 해야 몇 날, 몇 달이라도 버틸 수 있었답니다.
콜베 신부는 이런 곳에서 다른 사람들을 걱정하다 죽음을 맞은 것입니다. 왜 그랬을까요.


이번 주 나온 사진가 김경상씨의 ‘성 막시밀리아노 마리아 콜베’ 사진집(세상의 아침)을
넘기다가 콜베 신부를 다시 만났습니다.
수용소에서 증오를 체험한 스테믈러 박사에게 콜베 신부가 이렇게 속삭였답니다.
“증오는 아무 것도 건설하지 못합니다. 구원하는 것은 사랑입니다.”
여러분은 이해가 가십니까.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1982년 콜베 신부를 성인으로 선포했습니다.

[김기철 출판팀장 kichul@chosun.com]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기철 출판팀장 kichul@chosun.com


가톨릭 신문

콜베 신부 사진전, 17~30일 명동 평화화랑


콜베 신부의 영성 발자취를 찾아서

“증오는 아무것도 건설하지 못합니다. 구원하는 것은 사랑입니다.”

‘죽음의 수용소’로 불린 아우슈비츠 수용소에서 한 수감자를 대신해 순교한 성 막시밀리아노 마리아 콜베 신부(1894~1941, 꼰벤뚜알 프란치스코회)의 일화는 비신자들에게도 잘 알려져 있다.

콜베 신부는 나치의 권력 아래에 놓여진 폴란드에서 ‘원죄없으신 성모의 기사’ 잡지를 발행한 이유로 체포됐다. 그는 수용소에서 혹독한 강제노동에 시달리면서도 절망에 빠진 수많은 이들을 하느님과 화해시키는 다리가 됐었다. 특히 선교에 대한 그의 열정은 일본과 인도 등 세계 곳곳에 흔적을 남겼다.

콜베 신부는 제1차 세계대전으로 피폐해진 세계에 하느님 정의와 평화를 세우기 위해 1917년, ‘원죄 없으신 성모 기사회’를 창설한다. 1922년 창간된 잡지 ‘성모의 기사’는 지금까지도 세계 곳곳에서 발행되고 있다.

이러한 콜베신부의 선교활동과 영성적 업적을 사진으로 만나보는 자리가 서울 명동 평화화랑에서 마련돼 눈길을 끈다. 한국 성모 기사회 주최로 열리는 이번 전시회는 다큐멘터리 사진작가 김경상(마태오)씨의 작품으로 꾸며진다.

카메라의 시선은 첫 성모마을인 폴란드 니에포칼라투프에서부터 일본, 아프리카, 한국의 성모마을, 콜베 신부의 생가와 아우슈비츠 수용소 등으로 이어진다.

작품들은 콜베신부의 영성을 따라 사는 수도자들의 ‘봉헌의 삶’을 통해 그의 발자취를 표현하고 있다. 수도자들이 운영하는 시설에서부터 세계 최초로 공개되는 수도회 봉쇄구역의 모습까지 다양한 장면을 선보인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흑백작품 30점이 전시되며 출품작 외의 작품들은 사진화보집 ‘성 막시밀리아노 마리아 콜베’(도서출판 세상의 아침/1만5천원)로 만나볼 수 있다.
※문의 02-727-2336, 031-771-6134(성모기사회)

가톨릭 신문 주정아 기자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52 무상의 선물을 받아 들고 자신을 내어주는 사람 (이보다 더 좋을 수는 없다.) 무상의 선물을 받아 들고 자신을 내어주는 사람 (이보다 더 좋을 수는 없다.)   진실로 포장된 가면을 벗으면 웃을 수 있습니다. 기억 속의 신비로운 화환처럼, ... 이마르첼리노M 2024.05.25 128
951 무슨 수를 써서라도… 어떻게 해서라도… 무슨 수를 써서라도… 어떻게 해서라도…   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과 방법은 인과 응보적 틀에 묶여 사는 나의 사고와 가치를 드러냅니다. 그런 시각으로... 이마르첼리노M 2023.11.11 310
950 무엇에 죽어야 하는가? 무엇에 죽어야 하는가?   십자가에 달려 죽어야만 하는 사람은 나쁜 사람이 아니라 좋은 사람이라고 여기는 거짓된 나이다.   그것 없이는 도저히 살 수 ... 이마르첼리노M 2019.08.01 509
949 무엇을 보고 있느냐? 무엇을 보고 있느냐?   우리는 저마다 자신이 보고 싶은 것만 보려는 경향이 있다. 관심사에 따라 보는 것의 우선순위가 결정되기 마련이다. 관심사가 클... 1 이마르첼리노M 2020.11.06 421
948 무엇이 기쁜 소식인가? (기쁜 소식의 본질) 무엇이 기쁜소식인가? (기쁜 소식의 본질)   예수 그리스도를 닮고 따르는 것은 믿음의 핵심과 본질의 하나입니다. 거기에는 일정한 패턴이 있습니다. 즉 죽음과 ... 이마르첼리노M 2023.05.01 367
947 무엇이 마음 바꾸기에 영향을 줄 수 있을까? 무엇이 마음 바꾸기에 영향을 줄 수 있을까?   스스로 바뀔 준비가 안 된 마음으로는 외부의 충격이나 내부의 충격이 있어도 아무런 반응을 끌어내지 못한... 이마르첼리노M 2020.02.26 407
946 묵상과 함께하는 십자가의 길 십자가의 길 ( 기도의 초대 ) 해설자   모든 크리스챤들은 자기중심적인 생활에서 벗어나 하느님 중심적인 삶으로 옮기는 “회개하는 형제자매들”입니다. ... 이마르첼리노M 2018.03.30 6419
945 문 사람의 문을 두드리시는 하느님 하느님의 문을 두드리는 사람 어느 편에 힘이 실리는 걸까 문이 열려있음을 아는 건 둘 다 사랑이다. 힘을 내려놓는 사랑 소... 이마르첼리노 2011.06.15 4209
944 문의 찬미에수님 찬미성모님 저는 정 엠마누엘입니다. 그곳에 신부님이 계신줄 아는데 어떻게 신부님이 되시며 수사님도 사제가 갖추어야 할 교육을 받는지 알고 싶습... 1 정세근 2007.12.22 5295
943 문의합니다. 라는 성서강좌를 하신다고 들었습니다. 언제부터 시작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소나기 2006.03.28 6367
942 문이며 목자이시며 아버지로서의 하느님의 부재 문이며 목자이시며 아버지로서의 하느님의 부재,   아버지를 잃어버린 사람들, 우리의 믿음에서 하느님이 아버지로서의 하느님보다 위협적이고 벌을 주시는 하느... 이마르첼리노M 2023.04.30 211
941 물방울의 행복 마음이 겸손하고  깨끗한 이들은 행복하다. 하느님의나라가  그들의 것이다. 왜냐하면 그들은 작은물방울과도  같기때문이다. 겉으로보기에는  아무것도 아닐지라... 일어나는불꽃 2014.08.17 1542
940 미루나무의 꿈 미루나무의 꿈    눈가에 기쁨이 피어나고  열려진 가슴에 더운피가 흐르고  얼굴에 미소가 담기고  두 손에 누군가를 살리려는 선물이 담기고..  ... 이마르첼리노M 2014.11.14 1662
939 미얀마를 위한 기도부탁 많은 분들이 소식을 들어서 알고 계시겠지만 미얀마는 얼마전에 사이클론으로 10만명에 달하는 인명피해를 입었다고 합니다. 주택과 공공시설에 관한 피해까지 ... file 관리형제 2008.05.14 4716
938 민족의 화해와 일치를 위해 기도합니다. 안드레아 2009.06.25 6612
Board Pagination ‹ Prev 1 ...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