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514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평화와 선

“무엇보다도 새터민을 만난 것이 기억에 남습니다.
북한 비디오를 보고 새터민들의 진솔한 이야기를 들었을 때
제가 얼마나 행복한 삶을 살고 있는지를 느꼈어요.”(백 민정, 18세)

“새터민 친구들을 만나보고, 또 그 이야기를 들어보며
정말 T.V에서나 보고 들었던 것들을 직접 들어보니 충격이기도 하면서
정말 마음이 아파서 나도 모르게 그 친구들과 함께 울었다.
돼지를 모을 때도 그냥 북한 좋은 일에 쓰인다는 것만 알았지
이렇게 뜻 깊은 곳에 쓰인다는 것에 너무 감사했고
신부님과 선생님이 정말 대단하신 분들이라고 또 한 번 느꼈다.”(전 채린, 19세)

“돼지 저금통을 모을 때도 잘 몰랐는데.....
많은 것들 보고, 느끼고, 생각하고 갑니다.
새터민들을 보면서 감사하다는 생각을 많이 했어요.
내가 더 베풀고 도와주어야 할 사람들에게 오히려
내가 더 많이 받은 것 같아서 미안하고도 감사해요.”(이 선희, 20세)

“북한...정말...‘우리 민족이다’라는 단순한 생각만 했지
북한이란 곳이 우리 삶과는 아주 동떨어진 관심 밖의 존재였어요.
하지만 새터민 친구들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그들에 대한 관심이 정말 중요한거구나....
우리들의 작은 도움이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구나...
하는 것을 깨닫게 되었어요.”(김 지현, 24세)

지난 번 영 한우리 캠프 하고 난 후기 중에서 일부를 뽑은 것입니다.
새터민을 만나고 안 것이 모두 자신에게 도움이 되었음을 얘기하고 있고
자기들이 뭔가 해야겠다는 생각들을 하고 있습니다.
어른스럽고 대견스럽지요?

여러분에게도 이런 은총의 기회를 드리고자 합니다.
지난 8월 2일 포르지운꿀라 축일과
8월 4일 요한 마리아 비안네 사제 축일에
많은 분들이 전대사의 은총을 받기 위해 성당을 찾아가셨습니다.
저는 그때 속으로 생각을 했습니다.
전대사의 은총보다 더 나은 은총의 기회가 있는데......
새터민 가정 체험에 참여하는 것이 더 은총의 기회인데....
죄 사함의 은총도 큰 은총이지만
사랑의 은총이 더 큰 은총이고
하느님을 모셔 들이는 은총이 가장 큰 은총입니다.

아니 죄 사함의 은총을 받고자 한다면
반드시 사랑 실천을 해야 합니다.
주님으로부터 죄 사함만 받고
주님께서 원하시는 사랑을 실천하지 않는다면
과연 그 죄 사함이 주님께서 원하시는 죄 사함이겠습니까?
죄 사함은 늘 사랑의 실천으로 완성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많은 분들에게 이번 새터민 가정 체험은
사랑 실천으로 죄 사함을 완성하는 좋은 기회가 될 것입니다.
아직 10여 일 남기는 하였지만
46명이 가정 체험에 참여하겠다고 자원을 하셨습니다.
아직도 70명 정도의 자원자가 더 필요합니다.
휴가철을 끼고 있어서 어려움이 있고, 또 있겠지만
우리 젊은 친구들이 은총을 체험을 한 것처럼
많은 분들이 같은 은총 체험을 하시게 되기를 기대합니다.

신청은 02) 6364-5643(선교 사무실),
010-4482-3030(김 권순 신부)으로 하시면 됩니다.

주님의 축복과
더운 여름 몸 건강하시길 빌며 이만 줄입니다.

김 찬 선(레오나르도) 신부 드림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07 여덟째 날: 경탄함과 경외함 여덟째 날: 경탄함과 경외함 당신의 삶에서 경탄함의 문으로 들어갈 때, 당신이 일상사의 빛을 경험하게 하는 단순한 방식들은 무엇인가? 다른 말로 하면, 당신의... 김상욱요셉 2024.06.12 24
1506 일곱째 날: 세 겹의 부르심 일곱째 날: 세 겹의 부르심 당신이 세 겹의 부르심을 들을 때, 무엇이 당신 마음에 떠오르는가? 하느님을 깊이 사랑하라. 다른 이를 위해 당신이 할 수 있는 것을... 김상욱요셉 2024.05.22 35
1505 아홉째 날: 당신의 삶에 자리잡기, 이정표들을 보기 위해 아홉째 날: 당신의 삶에 자리잡기, 이정표들을 보기 위해 하느님께서 당신 삶에 내려놓는 이정표들을 알아차리기 위해 당신 삶의 속도를 늦추는 방법들에 대해 생... 김상욱요셉 2024.06.21 51
1504 마리아의 노래, ( 마니피캇) - 내어주는 사랑과 받아들인 사랑의 만남 마리아의 노래, ( 마니피캇)  -내어주는 사랑과 받아들인 사랑의 만남    삼위일체 하느님의 내어주는 사랑이 이 땅에 사람이 되시어 우리 눈에 볼 수 있는 존재... 이마르첼리노M 2024.05.31 58
1503 갈망이 멈추는 곳에서 부르는 노래 갈망이 멈추는 곳에서 부르는 노래   내가 어떻게 존재하게 되었는지, 어떻게 존재하고 있고 어떤 희망을 두고 살아가고 있는가를 회상하는 삶은 회상을 통하여... 이마르첼리노M 2024.05.29 60
1502 첫째 날: 당신의 선물 발견하기 첫째 날: 당신의 선물 발견하기 하느님께서 당신을 이 세상에 있게 함으로 이 세상에 주고 있는 모든 선물과 달란트에 대해 나열하시오. 만약 당신이 이것을 나열... 김상욱요셉 2024.01.31 66
1501 넷째 날: 삶을 음미하기 넷째 날: 삶을 음미하기 당신이 삶의 일상적 선물들을 음미하는 작은 방법들로 어떤 것이 있는가? 당신이 이 질문을 숙고할 때, 가족, 친구, 동료들 그리고 삶의 ... 김상욱요셉 2024.02.16 69
1500 예수님과 나의 자기소개서 예수님과 나의 자기소개서   예수님의 자기소개   나는 마음이 온유하고 겸손하니 내 멍에를 메고 나에게 와서 배워라. (마태 11,28) 나는 생명의 빵이다. (요한... 이마르첼리노M 2024.04.30 80
1499 생존에서 그리스도의 신비로, 생존에서 그리스도의 신비로,   우리 인생을 전반부와 후반부로 나눈다면 전반부와 후반부는 전혀 다른 모습으로 살아가야 할 것입니다. 대부분 전반부의 인생은... 이마르첼리노M 2024.06.20 80
1498 삼위일체 하느님은 우리들의 관계로 이사를 오셨습니다. 삼위일체 하느님은 우리들의 관계로 이사를 오셨습니다.   아이스크림 하나를 손에 들면 그 이상 바라 것이 없는 듯, 모든 복잡하고 깊이 있는 질문을 완전히 잊... 이마르첼리노M 2024.05.26 81
1497 2부 1. 첫번째 출입구: 이웃 사랑 로버트 제이 윅스는 2부에서 예수님의 사마리아인 비유에서 우리 개인의 영적 양성의 핵심적 출입구로 이웃 사랑, 자기 사랑, 하느님 사랑을 읽어내고 그 길로 우... 김상욱요셉 2024.01.06 88
1496 여섯째 날: 당신 안에서 나오기 여섯째 날: 당신 안에서 나오기 소설가 헨리 제임스(Henry James)는 다음과 같은 권고를 하였다. “너 안에서 나와, 너 밖에 머물러라.” 당신은 자기와 자기의 문... 김상욱요셉 2024.04.18 89
1495 생명의 노래 생명의 노래   준 것은 잊고  다만 받은 기쁨을 되새기며 노래하자,   이별은 잊고 언젠가 그 날의 만남, 청신한 환희를 돌아보며 노래하자,   가장 훌륭한 애정... 이마르첼리노M 2024.03.08 91
1494 기도는 관계적 변화로 나아가는 삶의 태도 기도는 관계적 변화로 나아가는 삶의 태도   복잡한 세상에서 하느님을 찾는 프란치스칸들은 하느님과의 관계, 사람들과의 관계, 세상과의 관계에서 영적인 길을... 이마르첼리노M 2024.05.17 93
1493 수도원 카페 이야기 6 수도원 카페 이야기 6. 바깥 풍경을 안으로 품다. 수도원 카페는 커다란 유리창을 가지고 있다. 그 유리창을 통해 밖에서는 카페안을 느끼고 카페 안에서는 라일... 김상욱요셉 2023.12.12 101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