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658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http://http://www.istancoreofm.org2009년 라마단 파재절 경축 메시지


교황청 종교간대화평의회
1430/2009년 라마단 파재절 경축 메시지
(2009년 9월 20일)



빈곤을 함께 극복하는 그리스도인과 무슬림



사랑하는 무슬림 친구 여러분,

1. 라마단 금식월이 끝나는 파재절을 맞이하여, 여러분에게 평화와 기쁨의 인사를 전하며, 이 메시지를 통하여 “빈곤을 함께 극복하는 그리스도인과 무슬림”이라는 주제를 함께 성찰해 볼 것을 제안합니다.

2. 교황청 종교간대화평의회의 이 경축 메시지가 이제 우리 모두 해마다 고대하는 소중한 전통이 되어 기쁩니다. 이 메시지는 지난 수십 년 동안 많은 나라에서 그리스도인과 무슬림 사이에 진솔한 만남의 계기가 되어 왔으며, 흔히 공동 관심사를 다루어 상호 신뢰의 열린 교류에 이바지해 왔습니다. 이 모든 것들이 하느님께 감사 드려야 할 우리 사이의 친교의 징표가 아니겠습니까?

3. 올해의 주제와 관련하여, 가난한 사람은 신앙은 다르지만 우리가 다같이 소중히 여기는 계명의 핵심입니다. 인류 안의 우리 형제자매들이 가난한 사람들에게 관심과 연민과 도움을 주어, 그들이 사회 안에서 제 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도와 주는 것은 전능하신 하느님의 사랑에 대한 생생한 증거입니다. 하느님께서는 종교의 구분 없이 인간을 사랑하고 도우라고 우리에게 요청하시기 때문입니다.
빈곤은 수치심을 주고 참을 수 없는 고통을 낳아 흔히 소외, 분노, 심지어 증오와 보복의 원천이 되기도 한다는 것을 우리는 모두 알고 있습니다. 빈곤은 온갖 수단을 동원하여 적대적인 행동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심지어 그러한 행동을 정당화하는 근거를 종교에서 찾거나, 다른 사람의 부와 평화와 안전을 이른바 ‘거룩한 정의’라는 이름으로 빼앗기도 합니다. 따라서 극단주의와 폭력 현상에 맞서려면, 바오로 6세 교황께서 ‘평화의 새 이름’이라 정의하신(회칙 「민족들의 발전」[Populorum Progressio], 1975, 76항) 발전, 온전한 인간 발전의 증진을 통하여, 반드시 빈곤을 막아내야 합니다.
베네딕토 16세 교황께서는 사랑과 진리 안에서 이루는 온전한 인간 발전에 관한 최근 회칙 「진리 안의 사랑」(Caritas in veritate)에서 발전을 촉진하고자 노력하는 최근의 상황을 돌아보시며 ‘인도주의의 새로운 도약’(21항 참조)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셨습니다. 바로 인간이 하느님께 열려 있도록 지켜 주면서 인간에게 지상의 “중심과 정점”(57항)의 위치를 부여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진정한 발전은 “한 인간 전체와 전 인류”(「민족들의 발전」, 42항)의 발전을 지향하는 것이어야 합니다.

4. 교황 베네딕토 16세 성하께서는 2009년 1월 1일 ‘세계 평화의 날’ 담화에서 빈곤을 ‘퇴치해야 할 빈곤’과 ‘포용해야 할 가난’의 두 형태로 구분하셨습니다.
퇴치해야 할 빈곤은, 모든 사람이 직면하고 있는 기아, 깨끗한 물의 부족, 제한된 의료 혜택, 부적합한 주거, 불충분한 교육 문화 제도, 문맹 등과 더불어, “부유한 선진 사회에서 …… 정서적 도덕적 정신적 빈곤뿐만 아니라 소외의 현상”(베네딕토 16세, 2009년 세계 평화의 날 담화, 2항)으로 나타나는 새로운 형태의 빈곤입니다.
포용해야 할 가난은 환경과 피조물의 선익을 존중하면서 낭비하지 않고 꼭 필요한 것만 지니고 사는 단순한 생활 양식입니다. 또한 적어도 연중 일정 기간만이라도 절약과 단식을 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이 가난을 선택할 때 우리는 자신을 뛰어넘어 넓은 마음을 가질 수 있습니다.

5. 빈곤이라는 고통의 정당하고 영속적인 해소를 위하여 협력하려는 신앙인들의 바람 속에는 우리 시대의 중대한 문제들에 대한 성찰과 또한 가능하다면 이러한 문제들을 근절하기 위한 공동 노력의 의지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 사회의 세계화 현상과 관련된 빈곤의 측면들은 정신적 도덕적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우리는 개인과 민족과 국가가 모두 형제애와 책임의 원칙에 따라 행동하는 하나의 인류 가족을 건설할 소명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6. 빈곤의 복합적인 현상을 주의 깊게 살펴보면, 천부적인 인간 존엄을 존중하지 않는 데에 그 원인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그에 따라 우리는 세계적으로 연대하도록 요청받고 있습니다. 예를 들자면, 단순히 국제 협약의 성격을 지닌 규범일 뿐 아니라, 창조주께서 모든 인간의 양심에 새겨 주신 자연법에 근거하는(로마 2,14-15 참조) “공동 윤리 강령”(요한 바오로 2세, 교황청 사회 학술원에 한 연설, 2001.4.27., 4항)을 채택하여야 할 것입니다.

7. 세계 여러 곳에서 우리는 공통된 삶의 체험과 실질적인 상호 관심사에서 출발하여 관용에서 만남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이는 중요한 진전입니다.
모든 이에게 기도와 단식과 다른 이를 향한 사랑의 삶이 지닌 풍요로움을 알려 줄 때, 하느님을 향해 나아가는 이들에게서 활력을 이끌어내는 대화가 가능하지 않겠습니까?
가난한 이들이 우리에게 묻고 있습니다. 우리에게 도전을 제기합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그들은 우리가 빈곤 극복이라는 숭고한 대의를 위하여 협력하도록 요구합니다.

기쁜 파재절이 되기를 바랍니다!



교황청 종교간대화평의회
의장 장-루이 토랑 추기경
사무총장 피에르 루이지 첼라타 대주교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2 내어주는 몸과 쏟아 내는 피의 현존 내어주는 몸과 쏟아 내는 피의 현존   “너희는 받아먹어라 이것은 너희를 위하여 내어주는 내 몸이다.”   “너희는 받아마셔라 너희를 위하여 내어... 이마르첼리노M 2021.01.31 485
351 기쁨 (축성생활의 날에) 기쁨 1   새벽에 잠깨면 벌써 술렁이는 마음 연한 슬픔이 연초록 끝에 이슬처럼 달려있다.   어디서 온 것일까 누구에게 온 것일까   ... 이마르첼리노M 2021.02.02 446
350 용머리 길을 걸으며 용머리 길을 걸으며   담양호 수변에 걷기 좋은 산책길 나의 두 눈이 호수를 산책하는 동안 보는 것에 잔뜩 배부른 나는 아픈 허리의 통증을 느끼면서도 ... 이마르첼리노M 2021.02.07 421
349 신앙으로 둔갑하는 이념의 뿌리 신앙으로 둔갑하는 이념의 뿌리   인과응보가 만들어내는 이념들은 신앙의 영역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이념은 한쪽만을 강조하고 다른 쪽은 무시해버... 이마르첼리노M 2021.02.09 502
348 응시 응시   체험하고도 표현하지 못하는 사실들을 신뢰할 수 없다면 표현된 언어도 신뢰하기가 쉽지 않다. 왜냐하면 표현하지 못한 채 숨겨진 진실이 더 많기 ... 이마르첼리노M 2021.02.10 418
347 섣달그믐에 뜬 보름달 섣달그믐에 뜬 보름달 (용서를 청한 엄마의 편지에 대한 자녀들의 답장)   섣달그믐 날 멀리서 직장 생활을 하는 둘째 딸에게서 문자가 왔다. 명절이라고... 이마르첼리노M 2021.02.12 420
346 누가 나를 이해해 줄 것인가? 누가 나를 이해해 줄 것인가?   진실이 사라진 들녘에는 거둘 것이 없다. 알곡은 사라지고 쭉정이만 남아있기 때문이다,   고통 가운데 있는 사람에게... 이마르첼리노M 2021.02.14 462
345 사순절에 꼭 해봐야 하는 질문 ( 1/2페이지) 사순절에 꼭 해봐야 하는 질문 ( 1/2페이지)   예수께서는 왜? 십자가에서 처형되셨으며 그 죽음의 의미와 메시지는 무엇인가? 이 질문 앞에 있는 사람은 ... 이마르첼리노M 2021.02.19 454
344 사순절에 꼭 해봐야 하는 질문 ( 2/2페이지) (2/2페이지) 나는 하느님이 우리를 사랑하시기 위해 희생을 요구하신다는 생각 자체를 바꿨다. “동물을 잡아 바치는 제사가 아니라 이웃에게 베푸는 자선이다. ... 이마르첼리노M 2021.02.19 423
343 회개 (속죄양을 만들기를 멈추는 것) 회개 (속죄양을 만들기를 멈추는 것)   떠넘기려는 마음이 만든 속죄양 인간의 역사는 속죄양을 만드는 역사였다. 자신의 죄를 다른 누군가에게 전가해서 ... 이마르첼리노M 2021.02.21 453
342 십자의 예수를 바라보면서 십자의 예수를 바라보면서   이기적이고 자기중심적인 인간이 무의식 속에서 저지르는 폭력과 망상의 끝없는 순환 속에서 폭력과 증오에 물어뜯긴 당신을 바... 이마르첼리노M 2021.02.27 473
341 백신접종 백신접종   십자가는 자비의 백신 노출, 수치, 취약성, 실패, 상처, 양심에 불안을 주고 타인들을 희생자로 삼는 바이러스를 치료하는 백신   내어주... 이마르첼리노M 2021.03.02 526
340 나는 당신이 있어 행복합니다. 나는 당신이 있어 행복합니다.   나는 당신이 있어 행복합니다. 당신은 십자가에 달리는 한이 있어도 남을 십자가에 매달기를 거부하셨습니다. 나는 당신... 이마르첼리노M 2021.03.04 621
339 듣기로 시작되는 하느님 나라 듣기로 시작되는 하느님 나라   “이것을 듣고 명심하여 실천하여라. (신명 6,3-4) 이스라엘은 들어라” “말씀을 듣고 깨닫는다”(마태 13,23)   “말씀... 이마르첼리노M 2021.03.07 502
338 꽃들은 울지 않는다. 꽃들은 울지 않는다.   봄의 전령사 복수초와 산수유 찬 서리 맞으며 피어난 매화가 뽀얀 얼굴에 엷은 연두로 색조 화장하고 나와 벌들을 유혹한다. 목련... 이마르첼리노M 2021.03.13 532
Board Pagination ‹ Prev 1 ...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