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7129 추천 수 0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http://cafe.daum.net/Gangsarang도리섬을 아시나요?


정 겨 운



굽이굽이 물길을 돌아

구불구불 산길 따라 돌아

문명을 피해 돌아앉은 도리섬을 아시나요?


여주군 점동면 삼합리



세 개의 도와 세 개의 물길이 합해지는 곳

한번 들어가면 되돌아 나가기 아까워 도리 길,

아홉 사리 아홉 구비 휘휘 돌아 외줄기

만나면 그저 한데 어울리는 도리섬을 아시나요


아침마다 물 마시러 온 고라니 입술이 간지러워

청미천 여울소리 싱싱하게 초원을 뛰노는 곳


멀리 날아온 큰 고니가 한 철 터 잡고 살아도

청둥오리 비오리 한 떼가 날아들어도

남한강 살찐 젖가슴 한없이 열어 품어 주는 곳

찰랑찰랑 태고 자연이 넘실대는 도리섬을 아시나요


아홉 번 넘어지면 열 번을 일으켜 세우고,

아홉 번 신세지면 평생을 먹여 살리는 곳

단양 쑥부쟁이 구절초 향기 진동하는 도리섬을 아시나요


깨진 바윗돌 하나 삼천년을 뒹굴어

도리도리 둥근 조약돌 순하게 웃는 곳

강변 백사장 수없이 많은 동물들이 꾹꾹 눌러쓴 편지를

강물이 소리 내서 읽고 있는 그 곳


강원을 지나 강원을 잇고~ 충청을 지나 충청을 잇고~ 경기를 돌아 경기

를 잇는~ 청미천 섬강 남한강까지 제 이름을 까맣게 잊어도 좋은 곳

도리섬을 아시나요?



그 도리섬을 구해주세요!



------------------------------



* 지금 그 도리섬이 4대강 개발 사업에 쫒기고 있습니다.

도리섬을 포크레인으로 파헤쳐 종합레저타운이나 생태공원을 만들겠다는 것이 정부의 계획입니다.


도리섬은 이미 그렇게 이름붙이지 않아도 수많은 동물들의 종합레저타운이요, 이루 말할 수 없이 생생하게 살아있는 생태공원입니다. 이런 이상한 말들로 깃발을 꽂고, 도리섬이 곧 파헤쳐질 위기에 쳐했습니다.


생태계의 지상낙원과 같은 도리섬이 꼭 지켜지도록, 수없이 많은 동물들이 오고 간 발자국이 살아남을 수 있도록 여러분이 지켜 주세요.


“나 한사람이 한 줄 더 단다고 무슨 소용이 있겠어...”라고 포기하지 마세요. 지금 이 글을 읽는 나 한사람만 동참하면 길이 있습니다. 한 사람 한 사람이 모여 거대한 물길이 만들어 진다는 걸, 님께서는 이미 다 알고 계십니다.


그들을 살릴 수 있는 방법은 거창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그냥 “아름다움을 간직하고 싶다!”고 소리치면 됩니다. “이 아름다움을 두고두고 우리 아이에게도 보여주고 싶다”고, 침묵하지 않고 말하면 됩니다.

“세멘으로 덧칠한 강이 아니라 천연 그대로의 모래사장과 조약돌이 있는 강변을 보고 싶다”고 하면 됩니다. 엄청난 예산을 쏟아 붓는 인공 공원이 아니라 원래 그대로의 자연을 즐기고 싶다고 하면 됩니다.

한 줄 댓글을 달아 한데 어우러지면 됩니다. 4대강 저지 서명운동에 참여하시면 됩니다. 또 한 방법으로 ‘4대강사업 국민소송단’에 자신의 이름을 걸고 참여할 수도 있습니다.


‘나 하나만이라도 해야겠다’는 작은 실천이, 정부의 4대강 사업으로 죽어가는 강을 구할 수 있습니다.

실천하는 여러분~ 사랑합니다!

2010년 2월 20일 토요일, 정겨운 두 손 모음.

<원문보기: cafe.daum.net/Gangsarang>-생명의 강 살리기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 ?
    홈페이지 이쁜이 2010.03.12 01:33:08
    저도요. 이 마음은 갑갑합니다. 4대강. 누굴 위해서.. 하는것인지요
  • ?
    홈페이지 당쇠 2010.03.12 01:33:08
    살리는데 저도 한 힘을 보태겠습니다.
  • ?
    홈페이지 이데레사 2010.03.12 01:33:08
    이렇게 하면 4대강 사업 중단시킬수 있는건가요? 제발 개발좀 멈춰주세요. 생명체들이 울부짖는 소리가 가슴을 칩니다.
  • ?
    홈페이지 최야고보 2010.03.12 01:33:08
    참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마더데레사 수녀님이 '사랑은 한번에 한사람씩' 이란 말씀이 생각이 납니다. 사랑으로 동참합니다.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12 잔치와 놀이 잔치와 놀이   알고 사랑하는가? 사랑하면서 알게 되는가? 참된 앎은 사랑하면서 배우는 진리이다. 아는 만큼 사랑하는 게 아니라 사랑하는 만큼만 아는 ... 이마르첼리노M 2020.01.30 369
1011 놀라움의 신비 (좋은 땅에 떨어진 씨) 놀라움의 신비 (좋은 땅에 떨어진 씨)   하느님의 말씀을 귀로 듣는 것이 아니라 온몸으로 알아들을 때 소름과 전율을 느끼게 된다. 믿기지 않을 만큼 ... 이마르첼리노M 2020.01.29 359
1010 부산물로 얻는 행복 부산물로 얻는 행복   진리는 나의 소유가 아니다. 예수님의 진리는 사람들이 소유하지 않을 때 진리로 남는다. 진리를 소유하기 위해 도덕적 완벽을 자기... 이마르첼리노M 2020.01.28 372
1009 거룩함의 성찰 거룩함의 성찰   자신의 업적과 공로가 아니고 하느님의 자비에 있다.   많이 바치는 데 있지 않고 많이 받고 있다는 깨달음에 있다.   통제에 ... 이마르첼리노M 2020.01.26 354
1008 믿음의 뿌리를 성찰하기 믿음의 뿌리를 성찰하기   믿음이 뿌리를 내리기 시작하는 것은 세례를 통하여 자신이 얼마나 큰 축복을 받았는지 얼마나 큰 자비의 혼인 잔치에 초대되었... 이마르첼리노M 2020.01.25 334
1007 저녁 어둠이 깔리고 저녁이 되어서야 밤하늘의 달과별들은 빛을내고 도시의 야경은 빛을내기 시작한다. 어둠이 세상을 덮었을때 오히려 더  빛을 내기 시작한다.  빛이... 일어나는불꽃 2020.01.20 826
1006 벌거벗은 진실 안에서 누리는 하느님 나라 벌거벗은 진실 안에서 누리는 하느님 나라   우리의 믿음은 우리 안에 주어진 하느님의 선물을 발견하는 기쁨과 깨달음에서 성장한다.   내면의 깊은 ... 이마르첼리노M 2020.01.16 357
1005 정체성 정체성   현대의 문명사회는 가공할 만큼 발전을 해왔고 몸서리 칠만큼 변화를 경험하고 있지만 우리의 정체성은 변덕 위에서 춤추고 있다. 이 깨어지기 ... 이마르첼리노M 2020.01.15 322
1004 받아서 얻는 구원 받아서 얻는 구원   받아서 얻는 구원은 나의 업적과 공로가 아니라 주님의 선하심과 자비에서 옵니다.   받아서 얻는 구원은 내가 모르고 살아온 하... 이마르첼리노M 2020.01.14 312
1003 보험 보험   불확실한 현실이 주는 두려움에 직면하면 보험을 든다. 확실해 보이고 통제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보험이 하느님 나라의 대체 수단이 되... 이마르첼리노M 2020.01.13 409
1002 서로 다른 믿음 서로 다른 믿음   1. “하느님의 사랑이 우리 마음에 부어졌다는” (로마5,5) 사실을 깨닫지 못하면 누군가를 사랑의 대상으로 보지 않고 통제의 대상으로 ... 이마르첼리노M 2020.01.12 312
1001 단절과 연결의 신비 단절과 연결의 신비   우리의 삶은 여러 관계 속에서 자신을 중심으로 구축해 놓은 원칙들을 지키려고 애쓰다가 문제가 생기면 자신의 내면에서 문제를 찾... 이마르첼리노M 2020.01.08 355
1000 사랑의 힘 사랑의 힘   관계의 단절을 가져온 어둠 그 감옥에 있을 때 사랑을 거부하고 사랑은 불가능한 일이라고 경험한다.   나는 너를 나에게 오지 못하게 ... 이마르첼리노M 2020.01.05 385
999 탓   탓의 어리석음은 자신 안에 있는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 상대방에게 투사시킴으로 관계를 최악으로 만든다.   남을 탓하는 사람은 자신 안에서 ... 이마르첼리노M 2020.01.04 380
998 새날의 빛으로 새날의 빛으로   지우개로 지우고 새하얀 도화지를 받았다.   점 하나 찍고 첫발로 발자국을 내었다.   만물과 더불어 유려한 가락으로 창조... 이마르첼리노M 2020.01.01 547
Board Pagination ‹ Prev 1 ...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