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575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2남 1녀 중 외동딸로 공무원이신 아버지 아래 자라오면서, 7살 때부터 혼자 교회를 다니기 시작했고, 성장해 간호사 생활을 타지에서 하다가 평소 교회 사모가 되고 싶어 하던 중 교육 전도사로 신학대를 다니고 있는 남편을 만나 결혼 후 두 아이의 엄마가 되었습니다. 그러다가 신천지에서 말씀을 배우게 되어 지금은 3년 넘게 다니고 있습니다
그러나 남편은 의외로 이해하지 못했고, 아이들 엄마로 대우도 안 하며, 함부로 대하기 시작했고, 자신의 교단과 다르고, 이단이라며 손찌검을 하고 괴롭히며 잠도 안 재우며 언어폭력을 감행했습니다다. 알고 보니 남편은 안산지역의 S교회와 연결되어서 그곳에서 모든 것을 조종 받았고, 때리고, 핸드폰을 빼앗고, 감금하여 괴롭히고 한 것도 다 그곳의 전도사로부터 교육 받았다고 실토를 했고, 급기야 친정 부모님, 시댁 부모님까지 동원하여 저를 기도원에 3주간 감금 했습니다 그때 112에 신고해 경찰이 왔지만 도움 받지 못했고(가족이 함께 있다며) 상담을 받아 보자며 안산의 상록 개종 교육 교회로 아는 목사, 전도사들을 다 동원하여 끌고 갔습니다. 전 3층에서 여자 전도사로부터 도착하자마자 아침 9시부터 저녁 7시까지 대답이나 질문은 하지 말고 무조건 자신의 말을 들으라는 말을 들었으며 질문을 하는 것 자체에 대해 억압하며 이상한 책을 무더기로 쌓아놓고 칠판 앞에 앉혀놓고 계속 쏟아 부었으니 어찌 자유 민주주의라는 대한민국에서 이런 일이 있을 수 있는가? 개종 교육이라니? 종교는 자유이고, 전 말씀을 배운 이후, 돈을 빼앗긴 일도, 폭력을 당한 일도 없습니다. 신천지는 자유로 와서 자유로 갈 수 있는 곳이며 강요나 폭력, 감금이 없는 곳이다. 그런데 세상에서 거룩하시다는 교회에서 사람의 인권을 무시한 채 강압적으로 교육을 받았고, 끝나자마자 1층으로 나와 캡스 경비 구역 차를 무조건 세워 타고 안산 경찰서로 가 안양 쉼터로 옮겨지게 되었습니다. 그 곳에 있는 동안 안산 S 교회 측에서는 친정 엄마를 동원해 ‘딸이 돌아올 수 있는 길은 선교센터에서 1인 시위를 하면 된다.’는 말로 부추겨서 시위를 하셨고 여러 가지 말로 겁도 주고, 걱정되는 말로 저희 가족을 코치하고 조롱하면서 저희 남편은 저와 동의도 없이 집을 이사까지 했으며 개종을 안 하면 정신 병원에 넣을 수밖에 없다고 엄포도 했고, 지금까지 4~5차례 법을 이용하여 신천지 계속 다닐 거면 이혼하자면서 자신이 더 난리입니다. 신앙은 자유가 아닌가요?
자신들의 교리와 다르다면서, 사람으로서는 하지 못할 일을 돈을 받고 신앙, 종교를 개종한다니 너무 어처구니가 없고 비인간적인 처사가 아닌가요?
개종으로 억압하는 것은 신앙인이기 전에 사람으로서는 해서는 안될일 아닌가요?
개종 교육으로 인해 언제까지 대한민국 종교계에서는 인권 유린을 당하는 일이 일어나야 되며, 지금도 호시탐탐 돈을 벌기 위해 남편과 가족들을 상대로 자기들에게만 데려오면 100% 개종시켜 주겠다는 게 말이나 되는가? 이런 사악한 행위는 사라져야 합니다.
정부 당국에 여러 차례 상소하였으나 해결해주지를 않더군요. 그럼 미국에 가서 해결 받아야 합니까? 지금도 보이지 않는 곳에서 끌려 다니며 억울함을 당하는 사람들의 호소하는 소리에 귀 기울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언제까지 셀 수 없는 억울한 이들의 무리가 대한민국 안에서 울부짖어야 하는 겁니까?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14 잊지는 않았습니다. + 평화와 선 좋은 주말 밤 되세요 ^^ 좀전에 문득 가톨릭 생활성가 방송국에 접속, 여기저기 둘러 보았는데, 너무나 오랫만인 것 같습니다. 왠지 낮설고.. 2년전,... 정마리아 2007.01.13 5140
1113 잉태와 출산 잉태와 출산 네 앞길에 어려움이 없길 바라지 마라 어렵고 곤란한 일 이 없으면 남을 업신여기고 우습게 본다. 고통과 괴로움 번민과 슬픔 상처 난 가슴은 네 삶... 2 이마르첼리노 2010.12.08 5143
1112 잃어버린 사막 교부의 덕을 다시 회복하기 2장: 잃어버린 사막 교부의 덕을 다시 회복하기 내 딸과 사위 그리고 두 손녀들과 함께 저녁 식탁에 앉았다. 식사가 끝나자 내 딸이 손녀들을 바라보며 물었다. “... 김상욱요셉 2023.07.23 265
1111 일용할 양식 일용할 양식     오천 명을 먹인 건 빵만이 아니다. 사랑을 먹어야 배부르다.   떠나는 이에게 찾아온 이에게 만나는 이에게 따뜻하고 부드럽... 이마르첼리노M 2020.12.03 390
1110 일상적인 죽음에서 부활하는 생명으로 일상적인 죽음에서 부활하는 생명으로   “너희는 온 세상에 가서 모든 피조물에게 복음을 선포하여라.” (마르코16,15) 사람들에게만 선포하는 복음이 아니... 이마르첼리노M 2021.04.16 451
1109 일상의 축복에 반응하는 기도 저는 로버트 제이 윅스의 책, No Problem(문제가 아님을 향해) 을 대충 번역하며, 우리의 영적 여정에 대한 접근을 하고자 합니다. 책의 내용과 함께, 저의 이어... 김상욱요셉 2023.07.10 326
1108 일상의 거룩함 대부분 사람들은 남보다 잘나보이려 한다. 남보다 부유해지고 싶어 하고, 남보다 더 뛰어난 인물이 되고 싶어 한다. 세속적인 면에서 뿐 아니라, 영적인 영역에서... 김상욱 2007.01.12 4232
1107 일곱째 날: 세 겹의 부르심 일곱째 날: 세 겹의 부르심 당신이 세 겹의 부르심을 들을 때, 무엇이 당신 마음에 떠오르는가? 하느님을 깊이 사랑하라. 다른 이를 위해 당신이 할 수 있는 것을... 김상욱요셉 2024.05.22 32
1106 일곱가지 행복 T 평화와 선 가장 눈에 잘 띄는 곳에 아래 을 붙혀 놓으시고 매일 실천하시기를 권해 봅니다: 1) Happy look 부드러운 미소/ 웃는 얼굴을 간직하기 (미소는 모두... 1 2006.01.26 10072
1105 인식의 차이 인식의 차이 대해서 아는 것과 아는 것    대해서 아는 것은 객관화된 지식이지만 아는 것은 경험된 지식입니다.   경험된 지식은 왜? 어떻게? 에서 나오는 것이... 이마르첼리노M 2023.03.19 258
1104 인식의 재 인식 인식의 재인식   산다미아노 성당의 십자가 앞에서 드린 성프란치스코의 기도는 우리 믿음의 기초를 든든하게 하도록 도와줍니다. 그는 “올바른 신앙, 확고한 희... 이마르첼리노M 2023.06.20 202
1103 인생의 역사, 역사의 인생 인생의 역사, 역사의 인생        “너희가 생각을 바꾸어 어린이와 같이 되지 않으면 하늘나라에 들어가지 못할 것이다.&quot; (마태 18,2)   어미의 품에... 이마르첼리노M 2019.08.30 450
1102 인류의 고통 앞에서 인류의 고통 앞에서   인류 앞에 대재앙이라고 말할 수 있는 전 세계를 휩쓸고 있는 코로나바이러스와 전염병 가뭄과 대홍수, 지진, 태풍, 그리고 도처에... 이마르첼리노M 2020.07.14 527
1101 인간의 불완전 함을 선택하신 하느님 인간의 불완전 함을 선택하신 하느님   성탄절을 앞두고 나를 돌아보았다. 내가 나를 아는가? 내가 누구인지를 모르면서 하느님을 안다고 할 수 있는가? 자... 이마르첼리노M 2021.12.18 368
1100 인간 대란 (大亂) 인간 대란 (大亂)   소득이 증가하면서 늘어난 것 중 첫째가 생활 쓰레기의 폭발적 증가이다. 이것은 경제적으로 살기가 나은 나라일수록 더 심각하고 현실적... 이종한요한 2016.05.14 1021
Board Pagination ‹ Prev 1 ...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