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681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수정 삭제


바티칸 교황청 ‘비공개 구역’ 바오로 채플… 국내언론 처음 미켈란젤로 벽화 취재기사

(기사입력 2011-05-18 03:00:00 기사수정 2011-05-18 16:39:38)

‘교황의 밀실’엔 교황에 경고하는 그림이
{FILE:1}

도록으로만 소개됐던 ‘성 바오로의 개종’과 ‘성 베드로의 순교’ 교황청 내 성구실 좌우 벽을 장식하고 있는 미켈란젤로 말년의 프레스코 대작. 국내 언론이 직접 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왼쪽은 ‘성 바오로의 개종’을, 오른쪽은 ‘성 베드로의 순교’. 성 바오로는 전도자였고 성 베드로는 초대 교황이었다. 이 그림은 그동안 도록에서만 볼 수 있었다.

{FILE:2}

철통경비 바오로 채플 내부 일반인 출입이 엄격히 통제되는 바오로 채플 정면 제단. 시스티나 성당에서 열리는 콘클라베에서 교황이 선출되면 이곳에서 교황 의상으로 갈아입고 발코니로 가 신도들에게 축복을 내린다.

일반인들의 접근이 엄격히 통제되고 있는 바티칸 교황청 내 성구실(聖俱室)인 바오로 채플과 그 안을 장식하고 있는 미켈란젤로의 대작 프레스코 벽화 두 점이 한국 언론에 최초로 공개됐다.

바티칸의 외교사절 접견실을 거쳐 극소수 인사만 들어갈 수 있는 바오로 채플은 16세기 미켈란젤로와 라파엘로의 영감을 받아 제작된 날렵한 제복을 입고 있는 스위스 근위병들이 24시간 철통같은 경비를 펴고 있다.
시스티나 성당에서 열리는 콘클라베에서 교황으로 선출된 추기경은 곧바로 이곳에서 교황 상징 의상으로 갈아입고 바로 옆 발코니로 나가 성 베드로 광장에서 새로운 교황의 탄생을 고대하고 있는 신도들을 축복한다. 바오로 채플 내부는 안토니오 다 상갈로가 설계했으며, 1537년부터 1540년 사이에 증축되었다.

르네상스 시대의 예술과 사상 및 신학을 집중 연구해 온 연세대 신학과 김상근 교수(47)가 이끄는 답사단의 일원으로 최근 바오로 채플에 들어가 볼 수 있었다. 또 도록으로만 소개된 채플 내 미켈란젤로의 마지막 유작 프레스코화 2점도 ‘친견(親見)’했다. 500년 전의 작품이지만 보존 상태가 완벽했다.

교황 바오로 3세는 미켈란젤로에게 로마 가톨릭교회의 기본 정신과 출발점을 제공한 두 인물, 즉 전도자 바오로와 초대 교황 베드로에 대한 그림을 주문했다.

먼저 그려진 ‘성 바오로의 개종’은 1542년부터 작업에 들어가 1545년에 완성되었으며 ‘성 베드로의 순교’는 1550년에 완성되었다. 깔끔하고 기품 있는 바오로 채플 입구 좌우를 장식하고 있는 두 작품의 크기는 도록으로만 볼 때 어림짐작했던 것과는 달리 각각 6.25×6.61m의 꽤 큰 그림이다.

정면 왼쪽의 ‘성 바오로의 개종’에서 바오로는 말에서 떨어져 있는 모습이다. 성서는 바오로가 개종할 당시 비교적 젊은 사람이었다고 기록해 놓았지만 미켈란젤로는 바오로를 늙은 노인으로 묘사했다.

얼굴을 자세히 보면 작품을 주문했던 바오로 3세의 모습과 많이 닮았다. 미켈란젤로의 교묘한 의도가 엿보이는 대목이다. 그는 교황이 눈먼 상태로 방향 감각을 상실한 인물로 묘사했다.

오른쪽의 ‘성 베드로의 순교’는 더 충격적이다. 해부학에 능통했던 미켈란젤로답지 않게 가운데 십자가에 거꾸로 달린 베드로의 몸집이 다른 사람에 비해 과도하게 크게 그려져 있다.

더욱 충격적인 것은 몸을 뒤틀면서 관람객을 응시하고 있는 순교자 베드로의 눈길이다. 미켈란젤로는 십자가에 거꾸로 매달린 채로 죽어가던 초대 교황 베드로가 자신을 처형하는 사람들을 원망하는 것이 아니라 그림을 보고 있는 사람을 더 예리한 시선으로 노려보는 모습을 그렸다.

그림을 찬찬히 관찰한 김 교수는 “이 그림을 가장 자주 볼 수밖에 없었던 사람은 교황 바오로 3세를 포함한 후대의 교황들일 것이다. 아마도 미켈란젤로는 이 그림을 통해 후대 교황들에게 ‘너희들도 이렇게 죽을 각오가 되어 있느냐’고 묻고 있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교황 바오로 3세는 이 그림이 최종 완성되기 1년 전인 1549년에 운명했다. 그가 살아서 미켈란젤로가 그린 마지막 벽화를 보았다면 큰 충격에 빠졌을 것이다.

실제로 후대의 교황들은 미켈란젤로의 두 작품을 별로 좋아하지 않았다고 한다. 십자가에 거꾸로 달려 몸을 뒤틀면서 후대 교황들에게 경고의 메시지를 외치고 있는 이 의미심장한 그림을 어떤 교황이 좋아할 수 있었겠는가. 로마와 피렌체를 스무 번가량 다녀온 김 교수는 “내 생애에 이 그림을 직접 볼 기회가 오리라고는 생각하지 못했다. 눈물이 날 정도로 감격스럽다”고 말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87 눈물의 추억 T.그리스도의 평화           초등학교 4학년 시절 당시 내가 살던 곳은   대구 상인동 월촌이라는 동네였다.   그리고 마을 풍경은 말그대로 ... 일어나는불꽃 2014.06.28 2436
1086 뉘우치는 마음이 살린다. 뉘우치는 마음이 살린다.   반성하지 않는 삶이 가치가 없다면 제대로 살지 않는 삶은 되돌아 볼 가치가 있을까 도덕적인 명상은 도덕적인 행동에 비하면 ... 이마르첼리노M 2017.02.28 998
1085 늘 고맙습니다. http://blog.ohmynews.com/specialin/category고생 많으시네요. 안녕하세요. 저는 어제 즉문즉답에 참여한 사람인데요. 2층 강의실에서 제가 우산을 놓고 왔거든... 이인 2008.11.28 4720
1084 늘 깨어 있어라 + 평화와 선 비가 참 많이 옵니다. 대전에도 장마 전선이 지나가고 있나봅니다. 천둥도 칩니다. 그러나 저는 경기도와 강원도 특히 인제에 계신분들이 걱정되고 ... 정마리아 2006.07.29 5121
1083 다른 사람이 나를 사랑하기 쉬운 상태로 만드는 변화의 길 (1) 다른 사람이 나를 사랑하기 쉬운 상태로 만드는 변화의 길 (1)   “누가 내 어머니이며 내 형제들이냐?” (마태12,48) “믿는 영혼이 성령 안에서 예수 그리스도... 이마르첼리노M 2021.10.14 311
1082 다른 사람이 나를 사랑하기 쉬운 상태로 만드는 변화의 길 (2) (1)에서 이어짐 내려가는 길은 아름다운 길이다. 통제와 지배의 자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오르려고만 했던 과정에서 피 흘리는 싸움으로 생명의 에너지를 허... 이마르첼리노M 2021.10.14 328
1081 다미아노 십자가 아래에서 다미아노 십자가 아래에서 ‘나’ 육체적인 장애를 제외하고는 뭐든지 잘하고, 잘해야 된다고 생각하며 서른중반을 살고 있다. 남들은 그런 나를 보고, 천사 같다고... 정마리아 2006.08.07 5014
1080 다섯째 날: 수줍어하는 수사슴을 보기 다섯째 날: 수줍어하는 수사슴을 보기 겸손은 영성적으로 그리고 심리적으로 한 마리의 수줍어하는 수사슴과 같다. 당신이 자신의 선물들을 과대 혹은 과소평가하... 김상욱요셉 2024.03.05 399
1079 단상 단상     우리 믿음은 피조물 안에 숨겨져 있는 하느님의 선성을 알아보는 능력에 달려있다. 우리 희망은 사람들 안에 숨겨져 있는 하느님의 자비를 깨... 이마르첼리노M 2017.05.31 812
1078 단순하게 살기로 작정하면, 단순하게 살기로 작정하면,   “여러분은 그리스도 예수께서 지니셨던 마음을 여러분의 마음으로 간직하십시오.” (필립 2,5) “여러분 안에 계셔서 여러분... 이마르첼리노M 2021.07.30 422
1077 단절과 연결의 신비 단절과 연결의 신비   우리의 삶은 여러 관계 속에서 자신을 중심으로 구축해 놓은 원칙들을 지키려고 애쓰다가 문제가 생기면 자신의 내면에서 문제를 찾... 이마르첼리노M 2020.01.08 355
1076 단풍이 아름다운 것은 단풍이 아름다운 것은. 시월이 지나고 새달이 시작되어 첫날이 지났다. 춥다. 아직은 난방을 하기에는 이르고 그냥 지내기에는 너무 춥다. 냉기가 흐르는 방에서 ... 이마르첼리노M 2014.11.08 1364
1075 달팽이 달팽이는 느리다. 달팽이는 무엇을 하던지 느리다. 달팽이가 늦다고하여 굶지도 않고 살지못하는법은 없다. 달팽이가 느려도  자기살것은 다살고 자기가 필요한건... 일어나는불꽃 2018.07.12 1067
1074 닮아가는 삶에 희망이 있다. 닮아가는 삶에 희망이 있다.   그리스도 예수를 따르려는 사람의 주된 관심은 사람이 되신 예수님의 발자취를 가까이서 본받고 닮으려는 데 있다. 성프란치... 이마르첼리노M 2021.11.16 299
1073 담아낼 수 없는 슬픔 담아낼 수 없는 슬픔   진리에는 슬픔이 있다. 선에도 슬픔이 있다. 진리와 선을 품은 아름다움은 그래서 슬프다. 담아낼 수 없어서 슬프다. 성프란치스... 이마르첼리노M 2019.09.01 454
Board Pagination ‹ Prev 1 ...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