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1581 추천 수 0 댓글 0
매일미사 말씀 보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No Attached Image

가족이나 친지들을 위해 미사를 봉헌하는 것은 좋은 일이다.
어떤 이들은 매달 가족 한 사람, 한 사람을 위해서
정기적으로 미사를 봉헌하는 사람도 있고,
때론 100일 미사, 30일 미사 등을 특별히 요청하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사제에게 미사예물을 맡겨 기도를 요청하기는 하는데
실상 본인은 미사에 참석도 하지 않고
기도도 하지 않는 경우도 볼 수 있다.
돈으로 미사를 떼웠으니
하느님께서 알아서 해 주시겠지 하는 사고방식이다.

정작 중요한 것은
봉헌자의 자세이다.
봉헌자가 매일 지향을 두고 기도와 미사를 봉헌할 때
사제에게 부탁한 기도와 미사 지향도 의미가 있는 것이다.
왜냐하면 기적을 이루는 것은
물론 하느님의 능력이겠지만
의뢰자의 정성이 전제되어야만 하기 때문이다.

오늘 예수님께서는
왕실 관리의 아들을 고쳐주신다.
예수님께서 특별한 이적을 행하시기보다는
왕실 관리의 정성을 보시고
그 정도면 되었다고 한다.
내가 직접 가지 않아도
그대의 정성이 아들을 치유시키게 만들었노라고 하시는 듯하다.

예수님이 기적을 일으켜주고 싶어도
우리에게 그 정성이 없으면 아무 소용이 없다.
우리의 정성이 갸륵하다면
예수님께서는 우리의 그 정성을 어여삐 보시고
필요한 은혜와 축복을 풍성히 내려 주신다.

내가 어떤 지향을 두고 미사를 넣었다면
그날 가능한 미사에 참여하여
정성을 다해 기도해야 할 것이다.
만일 그것이 어려울 때는
적어도 그 시간에 사제와 더불어
그 지향으로 정성껏 기도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정성이 바탕이 되지 않은 미사봉헌은
수백 대, 수천 대 봉헌한다 하더라도
별 효험(?)이 없을 지도 모른다.

돌아가신 아버지를 위해
100일 미사를 봉헌한들
내가 그 정성을 쏟지 않는다면 무슨 의미가 있으랴.
그야말로 미사를 돈으로 산 것밖에...
그렇다면 그 미사는
점쟁이에게 갖다 바치는 복채가 되어버리고
복을 빌며 갖다 바치는 불전이 되고 만다.

내 기도와 지향이 진정 이루어지기를 바란다면
나는 사제나 다른 사람의 기도에 의존하기보다는
나의 정성과 기도에 촛점을 맞추어야 하리라.
하느님께서는 나의 정성을 보시고 기적을 이루어주시는 것이지
효험있는 사제나 스님, 점쟁이를 통해서
기적을 이루어주시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자,
오늘 내가 바라는 바에 대해 생각해보자.
그리고 그 지향이 이루어지기 위해
나는 무엇을 봉헌할 것인지를 함께 생각해보자...

그리고
예수님이 왕실관리에게
<그래, 알겠다. 가거라. 네 아들은 살아날 것이다...>
하신 말씀을 다시 되뇌어 보자.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말씀 나눔

매일미사 독서와 복음, 그리고 성 프란치스코의 글 묵상나눔

  1. No Image 09Mar

    3월 10일 돌로 쳐라!

    가끔 어떤 형제나 자매가 나에게 와서 등의 말을 들을 때가 있다. 하고 응답하고 말지만 씁쓸하기가 이루 말할 데가 없다. 오늘 독서와 복음은 라는 질문을 던져주고 있다. 우리가 죄인이라고 단죄하는 사람이 수산나처럼 무고한 사람일 수 있고 우리가 의인이...
    Date2008.03.09 By마중물 Reply2 Views1464
    Read More
  2. No Image 09Mar

    사순 제 5 주일-왜 이제야

    사순절의 절정을 향해 가는 사순 5주일의 독서와 복음은 고통과 죽음의 한 가운데서 부활을 얘기하고 있습니다. 마치 칠흑 같은 밤에 동녘의 아침 햇빛을 얘기하는 것과 같습니다. 그런데 칠흑 밤과 아침 햇빛은 오늘 복음에서 보이는 예수 그리스도의 두 모습...
    Date2008.03.09 By당쇠 Reply1 Views1480
    Read More
  3. No Image 08Mar

    3월 9일 사순 제5주일 / 부활체험

    (로마서 8, 8-9) 우리는 육적인 사람이 아니라 영적인 사람이 되고자 한다. 우리의 신앙생활, 신심생활, 기도생활, 애덕실천생활 이 모두는 한마디로 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정말로 영적인 사람이 된다는 것은 어떤 것일까? 참 어렵게 느껴진다. 사도 바오로...
    Date2008.03.08 By마중물 Reply0 Views1474
    Read More
  4. No Image 08Mar

    4주 토요일-어린양은

    복음에서 사람들은 계속해서 예수님의 정체가 무엇인지에 대해 술렁거립니다. 예언자다, 메시아다 술렁거리는 군중이 있는가 하면 “그분처럼 말하는 사람은 지금까지 하나도 없었습니다.” 하고 말하는 성전 경비병들이 있고, 본인의 말을 들어 보고 또 그가 하...
    Date2008.03.08 By당쇠 Reply0 Views1554
    Read More
  5. No Image 07Mar

    3월 8일 다른 사람에 대한 평가

    어떤 사람에 대한 판단이 항상 일치하지는 않는다. 모두가 자기의 기준에 따라 판단하기 때문이다. 나는 참으로 훌륭한 사람이라고 평가하는데 어떤 이는 정반대로 보는 사람도 있다. 교회 안에서 이름있는 성직자, 수도자 등에 대한 판단도 여러가지이다. 라...
    Date2008.03.07 By마중물 Reply1 Views1624
    Read More
  6. No Image 06Mar

    3월 7일 그분을 안다는 것

    (요한 7, 28-29) 오늘 따라 안다는 것과 모른다는 것에 대한 생각이 내 머리를 떠나지 않습니다. 태어나서 거의 지금에 이르기까지 공부하며 배우고 가르치기를 계속해 왔지만 도대체 내가 아는 것은 무엇이고 모르는 것은 무엇인가를 생각해 봅니다. 공부를 ...
    Date2008.03.06 By마중물 Reply2 Views1739
    Read More
  7. No Image 06Mar

    4주 금요일-하느님의 아들은

    어제부터 계속되는 복음은 점점 죽음으로 가까이 가시는 예수님의 정체에 대한 얘기를 들려줍니다. 그제는 예수님께서 하느님의 아들이심에 대한 여러 증언이 있다는 예수님의 말씀을 들었고, 오늘과 내일은 그토록 많은 증언이 있음에도 예수님의 정체에 대해...
    Date2008.03.06 By당쇠 Reply2 Views1714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1285 1286 1287 1288 1289 1290 1291 1292 1293 1294 ... 1321 Next ›
/ 132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