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1480 추천 수 0 댓글 0
매일미사 말씀 보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No Attached Image

<형제 여러분, 육 안에 있는 자들은 하느님 마음에 들 수 없습니다. 그러나 하느님의 영이 여러분 안에 사시기만 하면, 여러분은 육 안에 있지 않고 성령 안에 있게 됩니다.>(로마서 8, 8-9)


우리는 육적인 사람이 아니라
영적인 사람이 되고자 한다.
우리의 신앙생활, 신심생활, 기도생활, 애덕실천생활
이 모두는
한마디로 <영성생활>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정말로 영적인 사람이 된다는 것은 어떤 것일까?
참 어렵게 느껴진다.

사도 바오로는 <하느님의 영이 우리 안에 사시기만 하면 된다.>고 한다.
그렇다면 하느님의 영이 우리 안에 사시도록 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하느님의 영이 우리 안에 사시기만 하면
죽은 라자로가 살아나고
죽은 예수가 살아나 부활하듯이,
우리도 다시 생기를 얻어 살아나게 된다.
이게 우리의 부활이다.
우리가 기다리는 부활은 바로 이것이다.

1. 주님께서는 <보이지 않는 데 치중하라>고 하신다.

정말 당연한 이야기가 아닌가?
영적인 것은 보이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영적인 것을 추구한다는 것은
보이지 않는 것을 추구하는 것이다.

그러니 예수님의 말씀처럼
선행을 해도 보이지 않게 해야 하고
자선을 베풀어도 남이 모르게 해야 하고
기도를 해도 골방에 들어가서 해야 하고
단식할 때도 단식하는 표시를 내지 말고...

보이는 것을 추구하는 삶은 육적인 삶이다.
현실의 삶은 보이는 것을 추구하도록
우리를 몰고 간다.
그러나
우리가 진정 영적인 사람이 되고자 한다면
우리는 보이지 않는데 충실해야 한다.

집안에서도 남이 잘 보지 않는 곳을 깨끗히 해야 한다.
어느 집에 가면 화장실과 세탁실, 창고 등을 살펴보면
그 집 수준을 알 수 있다고 한다.
잘 보이지 않는 곳에 신경을 쓰는 사람은
그만큼 영적으로 성숙한 사람이기 때문이다.

2. 하느님의 영이 우리 안에 거하실 수 있기 위해서는
<비워야 한다.>

그렇다!
우리가 영적인 사람이 되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먼저 우리 속을 깨끗하게 비워야 하는데
그 작업이 안 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벌써 수많은 육적인 것들로
우리 속을 가득 채워놓고 있다.
욕심과 집착 등은 대표적인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아무리 좋은 것(영적인 것)을 집어 넣으려 해도
들어갈 자리가 없게 된다.
열심히 기도하고
열심히 성체를 모시고
열심히 애덕을 실천해도
여전히 영적 성장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이 점을 되돌아봐야 한다.

지금 내 속은 깨끗하게 비워져 있는가?
단식 후에 보식으로 음식물을 섭취하게 되면
속속들이 내 몸속에 스며드는 것을
느낄 수가 있다.
내 속이 맑게 깨끗하게 비워져 있을 때
나는 하느님의 영을 받아들일 수 있고
그래서 생기를 얻어 다시 살아날 수 있다.
그래야 참 부활을 맞이할 수 있다.

--------------------------------

자,
오늘은 잘 보이지 않는 곳이 어디인지 살펴보자.
내 안에서는 얼굴보다는 옷으로 감추어진 어느 곳,
방이나 거실에서는 그냥 보이는 곳보다
남이 안보는 곳
내 삶의 부분들 안에서
남에게 보이지 않는 곳에 더 치중해 보자.


내 속을 들여다보자.
내 속이 비워져 있는지
쓰잘데 없는 것으로 가득 채워져 있는지...
그리고 쓰레기통을 정리하듯
비워내자.

이것이 판공성사의 의미가 아니겠는가!

그때
영이 열리리라.
영의 방문에 소스라치리라.
<영이 바로 이런 것이구나> 하고 외치게 되리라.

그때
<부활이 바로 이런 것이구나>
체험할 수 있으리라!
라자로처럼...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말씀 나눔

매일미사 독서와 복음, 그리고 성 프란치스코의 글 묵상나눔

  1. No Image 27Jul

    연중 제 17주일-지혜로운 행복

    오늘 아버지 다윗에 이어 임금이 된 솔로몬은 하느님께 소원을 아룁니다. “주 저의 하느님, 당신께서는 당신 종을 제 아버지 다윗을 이어 임금으로 세우셨습니다만, 저는 어린아이에 지나지 않아서 백성을 이끄는 법을 알지 못합니다. 그러니 당신 종에게 듣는...
    Date2008.07.27 By당쇠 Reply3 Views1256
    Read More
  2. No Image 27Jul

    [re] 연중 제 17주일-밭주인이 된 보물 주인

    오늘 예수님께서는 하늘 나라를 밭에 숨겨진 보물에 비유하십니다. 그 하늘 나라의 보물을 발견한 사람은 자신이 가진 모든 것을 팔아 그 밭을 삽니다. 이 복음 말씀 우리 자신들이 처음 수도 생활을 시작할 때의 열정과 기쁨을 생생하게 상기시켜 줍니다. 우...
    Date2008.07.27 By판세 Reply3 Views1271
    Read More
  3. No Image 26Jul

    요아킴, 안나 축일-제거하고픈 유혹

    일기가 고르지 않기 때문인지 어제는 너무 일찍 일어나 오전 번역 회의 동안 내내 졸리게 하더니만 오늘은 5시를 넘겨 일어나 말씀 묵상을 하다 미사에 참예하였습니다. 그런데 참으로 신기하게도 오늘 미사 주례자의 강론이 제가 묵상한 것과 많이 일치하는 ...
    Date2008.07.26 By당쇠 Reply1 Views2083
    Read More
  4. No Image 25Jul

    야고보 사도 축일-생명 넘치는 술잔

    오늘의 첫 번째 독서는 질그릇 같은 우리 안에 담긴 보물에 대한 얘기로 시작됩니다. 바오로 사도는 인간을 우선 그릇으로 이해한 것입니다. 무엇을 담는 그릇...... 얼마나 적절하고도 심오한 비유인지 모릅니다. 저는 우리 인간을 표현할 다른 적절한 비유가...
    Date2008.07.25 By당쇠 Reply1 Views1524
    Read More
  5. No Image 24Jul

    연중-신비와 비유

    옛날 저에게 선생님은 신비하였습니다. 화장실도 안 가시는 줄 알았습니다. 어느 날 여 선생님이 화장실서 나오시는 것을 보고 신비감이 깨지며 너무 실망하였습니다. 나하고 똑같은 인간이라는 것이 실망스러웠습니다. 존경심도 반으로 동강났습니다. 이처럼 ...
    Date2008.07.24 By당쇠 Reply0 Views1333
    Read More
  6. No Image 23Jul

    7월 23일 / 좋은 땅 만들기

    씨가 땅에 떨어져 열매를 맺게 되는데 중요한 것은 어떤 땅에 떨어지느냐이다. 예수님께서도 당시 농사짓는 방법을 예의주시하시면서 씨가 뿌려지기는 하는데 가시덤불에도 떨어지고 길가에도 떨어지고 돌밭에도 떨어지고 제대로 된 밭에에 떨어지는 것을 보았...
    Date2008.07.23 By마중물 Reply1 Views1822
    Read More
  7. No Image 23Jul

    연중 16주 수요일-말씀의 열매란?

    씨가 열매 맺듯이 말씀이 열매를 맺는다 함은 어떤 뜻인가? 백 배, 육십 배, 삼십 배 열매를 맺는다 함은 양적인 것을 뜻하는가? 열매란 씨앗, 즉 시작과 근원에 대한 결과, 결실이라 할 것입니다. 그렇다면 말씀이라는 씨앗의 열매는 어떤 것일까? 먼저 하느...
    Date2008.07.23 By당쇠 Reply1 Views1459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1287 1288 1289 1290 1291 1292 1293 1294 1295 1296 ... 1355 Next ›
/ 135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