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종도 두 주인을 섬길 수는 없다.
너희는 하느님과 재물을 함께 섬길 수 없다.”
돈은 섬기지 말고 쓰라는 것이 오늘 말씀이라고 저는 생각하고
그래서 저도 돈을 섬기지 말고 쓰자고 자주 말하곤 합니다.
시실 섬겨야 할 것은 하느님뿐입니다.
돈은 말할 것도 없고 사람도 섬겨야 할 것은 아닙니다.
그래도 사람을 섬긴다면 그것은 종으로서가 아니라
사랑하기에 섬기는 것이지요.
어제는 불의한 종에 대해서 주님께서 말씀하셨는데
오늘은 불의한 재물에 대해서 말씀하십니다.
그런데 불의한 재물이 어디 있습니까?
재물 그 자체가 불의하다는 뜻입니까?
아니면 재물이 불의를 저지른다는 말입니까?
재물은 하느님께서 만드신 것이기에 오히려 좋은 것이고,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주실 때는 그것이 하느님 은혜지요.
그러니 재물이 불의하거나 재물이 불의를 저지르는 것이 아니지요.
사람이 불의하게 재물을 대하고 사람이 불의하게 사용하는 겁니다.
불의하게 대한다?
예, 재물은 그저 재물로서 대해야 하는데 불의하게 대하곤 합니다.
재물을 하느님처럼 대하는 것도 불의하지만
무엇보다도 하느님은 개똥같이 여기고
재물을 하느님보다 더 대단한 것처럼 대하는 게 더 큰 불의입니다.
이것이 바로 물신주의物神主義, 곧 맘몬이즘Mammonism이지요.
물신주의자들은 신은 없어도 되고 재물이 곧 신입니다.
돈이 없으면 아무 것도 못한다고 생각하고
그래서 반대로 돈만 있으면 무엇이든 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요.
그리고 불의한 사람은 재물을 불의하게 대할 뿐 아니라
재물을 불의하게 사용함으로써도 불의한 재물이 되게 합니다.
어제 보았듯이 재물로 사랑을 실천하면 재물은 선이 되고
심지어 사랑이 되고 더 나아가서 하느님의 사랑이 됩니다.
그리고 재물로 사랑을 실천하면 재물도 더 풍성해집니다.
우리말에 사람이 돈을 쫓지 말고 돈이 사람을 쫓게 해야 한다고 하는데
재물로 사랑을 실천하는 것이 바로 그러한 이치의 완성입니다.
며칠 전 어떤 분들을 만나 얘기를 들었습니다.
같은 부모에게서 태어난 두 자매의 얘깁니다.
한 자매는 오래 전에 시골에 내려가서 살았고,
다른 자매는 시골에 내려간 것이 얼마 되지 않은데
오래 전에 내려갔어도 이웃과 왕래 없이 사는 자매에 비해
다른 자매는 내려간 지 얼마 되지 않고 가진 것도 많지 않지만
작은 것도 있는 대로 나누며 사니 이웃들이 그 자매를 무척 사랑하고
호박 따면 호박을, 감자 캐면 감자를 그냥 갖다놔 문 앞이 늘 풍성하답니다.
이렇게 사는 것이 삶을 풍성하게 사는 것입니다.
이렇게 사는 것이 하느님을 주인으로 모시고 사는 것이고
동시에 내가 돈의 노예가 아니라 주인이 되어 사는 것입니다.
물이 흐르고 흘러야 썩지 않듯 돈도 흐르는 것입니다.
그래서 있던 물이 빠져나가야 새물이 들어오듯
돈도 빠져나가야 들어옵니다.
그런데 빠져나가고 새로 들어오고 하는 돈은
이제 더 이상 돈이 아니라 사랑이라고 해야 하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