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128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T 평화와 선


  4층의 내 방은, 바로 정원이 내려다 보이는 위치에 있어 건너 빌딩 사이로나마 떠오르는 태양을 볼 수가 있고 정원의 동태를 일거일동 자연스럽게 대할 수가 있다.  그런데 겨우내 잘 보이지 않던 까치가 작년에 둥지를 틀었던 높다란 은행나무 가지 주변을 수시로 맴도는 모습이 자주 눈에 띄니, 아마도 또 집을 지으려나 보다.

  절기로는 입춘이 지났지만, 아직도 물러가지 않는 동장군!  까치의 동태를 보며 이미 봄은 오고있구나 실감을 하게 된다.

문명의 온갖 이기에 자연의 원초적인 소리에 둔감해진 인간에 비하면, 까치는 분명 가까이 다가오고 있는 봄을 진작부터 느끼고 있는 게라.


  성거산에서 지냈을 적 봄이 오는 자연의 소리가 내 기억을 일깨운다.

  산새 소리가 가장 활기찰 때는 역시 짝짖기 계절인 봄이라는 것을!  새벽녘과 아침이면 그 넓은 산 전체에 새 소리로 축제 분위기인 양 시끌벅절할 정도였으니까.  그러다가 연초록 나뭇잎이 짚푸르게 변할 초여름이 되면, 그 요란하던 새소리는 이내 잠잠해지고 침잠의 조용한 숲 속 분위기에 뻐구기나 휘파람새 소리만 더욱 크게 들리곤 하였었다.


  작년 둥지를 트는 까치를 보며 많은 걸 생각했다.  사람과 비교할 수는 없지만, 그래도 까치의 일거일동 생태를 통해 배울 점이 썩 많다는 것을...주변 생물이나 환경까지 고려한 완벽한 생태건축을 하였으니까.  어디 까치 뿐이랴.  어릴적 동작동 시절에 봄이면 어김없이 날아와 처마밑에 집을 짓던 제비들이 떠오른다.  그 흔했던 제비들을 심환 환경 오염으로 더 이상 볼 수 없는 세상에 살고 있으니...!  제비나 까치나 놀랍게도 그들은 집을 지을 때 그 연약한 부리 하나로 모든 걸 다 해결했다.  진흙과 마른 풀잎, 그리고 마른 가지가 전체 자제였을 뿐 자연으로 부터 변용해서 쓰는 못이나 망치 하나 없이 해결하였고 목수조차 필요없이, 집에 필요한 모든 걸 암수 역할 분담할 필요나 구별없이 잘 해내었다.  둥지에 필요한 자제 역시, 생나무를 잘라다 쓰는 게 아니라 가까운 주변에 흩어져 있는 마른가지를 사용하니, 생나무에 흠집을 낼 필요가 없어 낭비해야 할 에너지조차 없는 것.  둥지는 오로지 알을 낳고 새끼를 키우기 위해서만 필요한 것이어서 새끼들이 자라 둥지를 떠나면 더 이상 집이라는 존재 가치가 없을 뿐더러 둥지를 떠나도 나뭇가지인 자연 소재이기에 어떤 쓰레기로도 남지 않는다. 


  복잡다단한 세상사에서 지내다 보니, 자연의 소리인 까치 소리가 더 존귀하게 들리는 건지도 모르겠다.

  옛적에 '아침에 까치가 짖으면 반가운 손님이 오신다'는 소리가 괜한 것이 아니니라.

  깊은 산 속 물흐르는 소리가 맑게 들리는 것은 전혀 욕심이 없는 자연의 소리이기 때문이요, 그런 소리에 귀기울이고 침작할수록 마음 또한 깨끗해지지 않겠는가.  까치의 동태에서 봄이 가까이 옮을 느끼니, 곧 냇가의 강아지풀에도 봄기운이 부풀겠다. 세상사 지내느라 시간이 없노라 아우성치고 있기보다는 얼릉 가까이 자연의 소리를 들으러 나서야 할 것 같다.


생활나눔

일상의 삶의 체험을 나눕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38 천인공명(天人共鳴), 천인공노(天人共怒)! T 온 누리에 평화     태종 때의 일입니다.  정확히 1405년 5월...   때아닌 집중 홍우로 곳곳에서 물난리가 났습니다.  그 와중에 쌀을 가득싣고 강을 건너던... 김맛세오 2015.04.14 1296
437 여한이 없는 삶 T 평화가 온 누리에...   평소에 늘 형제들에게는 기쁘게 살아야 한다고 권고했음에도, 실상 혼자 있을 때는 십자가상 예수님의 고통을 함께 아파하여 끊임없... 김맛세오 2017.04.25 1317
436 엄마와 할머니 사이 평화와 선 아주 어렸을 적, 배겟머리에서 잔뜩 심통이 나 잠자리에 선뜻 들지않고 앉아있는 자화상이 그려진다.  "인석아, 얼릉 자야지•••!?" 누워계신 할머니의 ... 김맛세오 2019.06.21 1337
435 조금만 살펴보면 기적이 따로 없는 게야 T 평화와 자비   살 수록 살아간다는 것 자체가 기적이란 말을 자주하게 된다.   내 연륜을 헤아려보아, 예전같으면 영락없이 아해들로부터 '할아버지' 소리... 김맛세오 2016.09.06 1357
434 타박타박...나의 길 T 평화와 자비   시간만 나면 워낙 걷기를 좋아하니 이런 생각도 해 본다.   하기사 <안식년>을 지내기로 허락을 받은 올 해엔, 국내 전국 둘레길이며 성지... 김맛세오 2016.01.13 1359
433 하느님의 섭리(은총) 또는 운명? T 온 누리에 평화를...   아침 미사 때 예전에 오랫동안 예루살렘에서 지내셨던 '안베다' 신부님이 많이 생각났다.  오늘이 바로 '베다' 성인의 축일이기도 하... 김맛세오 2017.05.25 1364
432 하이얀 목련(木蓮) T 온 누리에 평화 봄비가 하염없이 내리는 어제 오늘 거리에 비가 내리듯 이 가슴, 아니 우리 모두의 가슴마다 슬픔이 내린다. 불과 얼마 전 따스했던 봄날... 김맛세오 2014.04.28 1374
431 겨울 새들아, 춥지않니!? T 평화 & 선   이렇게 날씨가 추운 날에 외출이라도 하면, 체질적으로 추위를 많이 타 우선 손발이 시려워 4계절중 겨울은 제발 '빨리가라...' 하는 게 솔... 김맛세오 2014.12.08 1375
430 드디어 백두산엘 오르다니...! T 평화와 자비   평소에 제가 늘 하는 말 중에, "중국 유명지들은 별 관심없어도 언젠가 백두산엔 꼭 한 번 가 볼 겁니다."   그런데 이왕이면 북한을 통해서 ... 김맛세오 2016.07.04 1390
429 엄마의 달, 5월이면... T 평화와 선     화창한 5월이면 뇌리에 떠지는 것들이 많다.  특히 엄마와 관련된... 1년 열 두달에 어쩌면 이렇듯 따뜻하고 폭은하며 화창한 5월을 하느님께... 김맛세오 2015.05.01 1392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52 Next ›
/ 5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