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1226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T 평화와 선


  뉘 고향이 어디냐고 물어 '서울'이라 하면 말씨가 느려선지, '충청도' 사람같은데요 하는 분들이 많다.  하기사 흑석동 넘어 '동작동(동재기)'이었으니, 내 어린시절엔 모든 게 시골 정황과 진배없었다.  초교 1학년 땐가, 비로소 뻐스 종점이 현 현충원 정문 건너편에 생겼을 정도니까.  그리고 마을 맨 꼭대기에 자리한 우리 집이었기에, 대문 밖에만 나가면 산이요 한강이 훤히 내려다 보여 가끔 강과 넓은 백사장 건너에 기적 소리를 내며 휘돌아 가는 기차가 아스라히 보였으니, 거기가 동부 이촌동쯤 되는 지역이었으리.  우리 집 바로 아래로는 밭과 논들이 있어 겨울 이맘때면 늘 아이들이 썰매 지치기와 팽이치기 그리고 집 가까이 낮은 동산에 올라 연날리기에 여념이 없었다.

  하기사 당시의 서울 인구가 천만이 넘는 오늘의 대도시에 비해 전차가 오다니는 불과 수십만 밖에 안되는 수준이었으니까.   


  그런 시골스런 환경 덕택에 지금의 내가 존재하고 있으니, 그나마 얼마나 감사한지!  수도원에 입회(1974년도)한 이후로도 잛았던 성심원의 삶과 6년간의 성거산 생활 외에는 거개(약 35년?)가 서울 생활이었다.  그치만 나의 내면 바탕과 정서엔 언제나 시골스러움이 짙게 배어 있었다. 


  시골에서 지내면 좋은 것들이 참으로 많다.  우선 공기가 맑고 별과 산 그리고 나무, 흙, 풀,...같은 것들을 훨씬 가까이 대할 수 있으며, 사람이 적은 그런 환경이야말로 쉽게 친구가 된다.  수많은 아파트하며 자동차의 소음, 휘황찬란한 불빛하며 흙을 대하기 어려운 아스팔트와 콘크리트 시설물들의 거대 도시에 견주어 보면, 내 어린 시절엔 눈만 뜨면 해와 달, 흐르는 실개천과 물고기, 가재와 게, 산새, 들꽃, 풀벌레, 바람, 바람, 구름,...들과 벗이 되어, 때로는 그들이 아주 훌륭한 선생님 역할을 대신해 주었다.

  잠자리와 같은 많은 곤충들과 집 처마마다에 둥지를 튼 제비들을 흔히 볼 수 있었던 마을!  세월의 뒤안길, 현충원의 등장으로 사라져 버린 동재기의 위말과 아랫말, 농배와 건너말...게다가 강변 동재기 나루터에 늘 정착해 있던 나룻배들은 모두 어디로 사라졌을꼬!

현재에 눈여겨 보니, 우리 동네 보리밭 옆을 지나쳐 갯말(배나무골이라고도 했음))과 농배란 동네로 넘어가는 사잇길이 있었다.  바로 동네 형아들이 우면산으로 가재를 잡으러 갔을 때 몰래 뒤쫒아 넘나들던 그 길...아마도 초등학교 입학 전이었으니까, 정검말을 지나 사당 쪽으로 넓은 신작로가 길게 뻗은 길을 따라 타박타박 걸었으니, 그 멀고 먼 길을 따라나선 꼬맹이의 발걸음이 오죽했을까.  걷다가 서리한 참외와 무가 잔뜩 죄스런 어린 맘이었어도 그 맛이 참으로 꿀맛!  다리가 하도 아파 중간에 손을 들어 지나가는 우마차를 빌려타기도 했던 기억이 새롭다.       


                               청정한 대자연

                               자치기와 땅따먹기...등 아해들의 단순한 놀이

                               땡벌에 쏘이면서도 꿀맛이던 멍석딸기. 

                               메뚜기나 방개 한 마리에도 신기해 하며

                               주둥이가 새까맣토록 뽑아 10월의 먹은 콩밭 서리.  

                               스치는 풀 한포기나 바람결,...

                               풀벌레 소리 하나에서도 예사롭지 않았던 무수한 배움들.          

      

    그렇게 소박한 어린시절이 있었기에, 복잡한 서울 중심에 살면서도 조용히 내면을 깨우는 지금의 삶이 가능한 건지도 모르겠다.

정신없이 부대끼며 살아가는 도심지 틈바구니 속에서도 잘 침잠할 수 있는 삶.  작은 정원과 함께 늘 내 자신의 내면을 빗자루질 할 수 있는 조용한 삶.  좀 더 좋고도 많은 것, 편리함을 추구하는 세상과는 달리 욕심없이 맘 편한 삶.  아마도 옛적 아이스런 바탕이 있어 가능한 복들이 아니겠는가?  무엇보다 하느님 은총이 아니고서야...


생활나눔

일상의 삶의 체험을 나눕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58 타래난초 T 온누리에 평화 벌에 쏘여 퉁퉁 부은 오른 팔이 회복할 기미가 없더니 설상가상으로 감기 몸살까지 와 고전을 면치 못하는 요즘. 아마도 풀뽑느라 여념이 없는 ... 김맛세오 2011.07.12 2756
457 공존의 법칙 T 평화와 선 이곳 성거산에 살면서 자연에 관한한 참으로 많은 것을 느끼고 배우게 된다. 얼마 전 줄무덤 성지의 야생화 축제에 갔다가 빨간 꽃을 피우고 있는 앵... 김맛세오 2011.05.24 2752
456 환절기 면역력 높여주는 한방차 5가지 환절기 면역력 높여주는 한방차 5가지 아침저녁과 한낮의 일교차가 크게 벌어지는 환절기라 감기나 호흡기 환자가 늘고 있다. 아침저녁으로 쌀쌀한데다 건조한 ... 1 이소영 2010.10.08 2743
455 인생 T 평화가 온누리에... 아침부터 무섭게 쏟아지는 장대비를 보고 있노라니 여기저기 인명 피해가 많으리란 생각에, 염려한들 자연재해 앞에 무슨 소용이 있겠냐마... 2 김맛세오 2011.07.27 2738
454 아버지같은 형제님들 T 평화가 온 누리에... 한루까 형제님- 어제가 성루까 축일이라, 수원의 요양원에 계신 루까 형제님을 축하해 드리려 세류동의 형제들과 일부러 찾아 뵈었다. 건... 김맛세오 2011.10.19 2732
453 강화도 글라라회 수녀님들 T 평화/ 선 배요셉 신부님과 약속이 되어 4년 만에 간 강화도 창후리 길은, 이미 벚꽃 따위가 다 저버린 서울과는 달리 지나는 곳마다 개나리며 진달래, 벚꽃이 ... 김맛세오 2012.04.25 2730
452 행복의 조건...? T 평화와 선   어제 저희 공동체에서는 1박 2일의 피정을 하고 돌아 왔습니다. 평소에 하던 일손들을 놓고 모처럼 그렇듯 자연의 품 속에서 침잠해 보는 시... 3 김맛세오 2013.06.26 2721
451 기쁜 까마귀 소리 T 평화와 선 격세지감이랄까요! 세상이 참으로 많이도 변했습니다. 앞 마당 화단에 물을 줄 때면 으례히 들리는 웬 까마귀 소리...!? 까마귀 하면, 어릴적 의정부... 김맛세오 2012.04.17 2713
450 1만원짜리 가방의 행복 T 온 누리에 평화   엊그제 저녁식사 후 산보길에 지하도에서 쌓아놓고 파는 가방이 눈에 들어 왔습니다. 얼핏 첫 눈에 들어오는 핸디 멜빵 가방이 있어 값... 김맛세오 2013.11.19 2712
449 어느 모녀의 죽음 T 평화가 강물처럼... "공수래공수거(空手來空手去)"라 세상살이 욕심을 내려 놓으라는 교훈이겠다. 각양각색의 삶처럼 죽음의 모습도 참으로 다양하다는 생각이 ... 김맛세오 2011.10.28 2705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52 Next ›
/ 5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