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 벽돌을 빚어 단단히 구워 내자. 자, 성읍을 세우고,
꼭대기가 하늘까지 닿는 탑을 세워 이름을 날리자.
그렇게 해서 우리가 온 땅으로 흩어지지 않게 하자.”
두바이에 갔을 때 이 도시에 대해 처음 든 느낌은
‘바람난 놈팡이’ 또는 ‘발정난 암캐’ 같다는 것이었습니다.
(이런 표현이 두바이 분들이나 두바이를 사랑하는 분들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드렸다면 죄송합니다.)
그런데 이런 느낌이 든 이유가 바로 오늘 바벨탑 얘기 때문입니다.
오늘 우리가 들은 독서에서 사람들은 성읍을 세우고
꼭대기가 하늘까지 닿는 탑을 세워 이름을 날리자고 하였는데
그때의 두바이가 바로 자본을 끌어들여 한창 도시를 개발하고
세계에서 제일 높은 건물을 세우고 그것을 자랑하고 있었으며
그래서 전 세계에서 많은 사람들이 그것을 보러 오고
그래서 두바이는 세계 어느 곳보다 향락의 도시로 보였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도시는 두바이뿐 아니라 어디고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이고
그래서 모인 사람들이 함께 이루어내는 문화文化라는 것을 있으며
자기들의 문화가 최고라고 자랑하고 싶어 합니다.
그래서 찬란한 문화라고 자기 문화를 자랑하지만
영성적으로 보면 문화는 인간이 만들어낸 인공적인 것입니다.
이것은 자연 안에 있는 것이 아니고 자연스런 것이 아닙니다.
그렇지 않습니까?
우리가 시골에 살고 자연 가운데 살면 문화생활을 못하거나 덜하고
더 시골스럽게 살수록 더 자연과 가깝고 더 자연친화적으로 살지요.
그렇습니다. 문화란, 특히 도시 문화란 본래 자연친화적이지 않습니다.
헌데 자연친화적이지 않는 것보다 더 큰 문제가 바로 퇴폐문화입니다.
건전한 문화라는 말이 있듯이 문화가 우리의 정신을 고양케도 하고
우리의 마음을 평안케 하며 삶을 풍요롭게 할 수도 있는데
도시문화라는 것은 자칫하면 퇴폐문화로 전락하기가 쉽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우리 신앙인은 또 다른 차원에서도 문화를 성찰해야 할 것입니다.
도시문화가 가져다주는 단절의 문제입니다.
시골에서는 동네전체가 알고 지내고 같은 문화를 공유하는데 비해
도시에서는 숫자가 많다보니 옆집과도 모르고 지내고
문화적인 다양성이 있다는 측면에서는 좋다고 할 수도 있지만
역시 어떤 문화생활을 영위하느냐에 따라 단절이 있게 되지요.
오늘 성경에서 바벨탑을 쌓다가 말이 서로 통하지 않게 된 것이
바로 이 점을 상징적으로 설명해주는 것입니다.
제가 중국선교를 추진하며 문화교류를 그 한 방식으로 택했는데
하나의 언어와 문화였다면 교류라는 방법을 쓸 필요가 없겠지요.
그런데 우리 신앙인이 볼 때 더 해로운 것은 역시 하느님과의 단절입니다.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돌로 탑을 쌓았다면 불가능했을 것을
사람들은 흙을 이용하여 벽돌을 만들고 역청을 이용하여 탑을 쌓음으로써
꼭대기가 하늘까지 닿는 탑을 쌓을 수 있었고 쌓으려 했던 것입니다.
그런데 사람들이 하늘까지 닿는 탑을 쌓으려고 한 것이 뭣 때문이겠습니까?
하늘로 올라가 하느님을 만나겠다는 뜻이겠습니까? 아니면
아담과 하와처럼 하느님이 되려는 것이겠습니까?
아니, 우리는 어떤 탑을 쌓고 있습니까?
오늘 이야기에서 볼 수 있듯이 사람이 하느님께로 가겠다는 것이 아니라
탑이 하늘까지 닿게 하여 자기들의 능력을 자랑하고
결국 자기들이 쌓은 탑을 우상숭배하려는 것이었는데
우리도 그런 탑을 쌓으려는 것은 아닙니까?
탈출기에서 이스라엘 백성이 자기들이 만든 송아지를 보고 숭배하듯
우리 인간은 종종 자기들이 만든 것을 보고 스스로 찬탄하며 숭배합니다.
그러므로 불상을 보고 부처님을 만나는 사람도 있지만
같은 불상을 보고 그저 그 예술성을 찬탄하기만 하는 사람도 있음을
깊이 성찰하는 오늘이 되어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