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2017.03.06 11:50

산(山) 아이

조회 수 120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T 온 누리에 평화가...


  꼭 11년 전에 보름 정도 막내 숙부 내외의 초청으로 미국, '롱 아일랜드'(뉴욕 바로 옆)라는 곳에 체류한 적이 있었다.

  우리나라처럼 반도의 지형이지만, 크기는 한국의 1/5 정도 될까...그런데 삼면이 바다이고 산(山)이 전혀 없이 나무가 많이 자라고 있는 평지일 뿐이어서 체류하고 있는 동안 얼마나 답답함을 느꼈던지!  산이 없이 조금만 멀리 나가도 바닷가라  혹자는 오히려 시원한 평원이라 여기겠지만, 나는 오히려 먹먹함이 엄습하여 무척 힘들었다.  그때서야  내가 자라고 익숙한 한국이란 나라가 크지는 않지만 아기자기한 산(山)의 나라였다는 것을 절감했으니까...


  내 어린시절의 사진중에 맥시코 여인 모습같은 엄마가 간난 아기인 바로 밑의 사촌 동생을 안고 계시고, 나는 초교 1년 때쯤이리라, 30Cm 정도 크기의 실제같은 원숭이 인형을 안고 있다.  그 사진을 보면 회심의 미소를 지으면서도 고생이 많으셨던 엄마가 몹씨 그리워진다.  엄마가 맥시코 여인같았음은, 그 당시 전국적으로 땔감이 너무나 부족했던 탓으로 여인의 몸이면서도 할아버지와 큰삼촌을 따라 멀리 관악산까지 나무를 하러다니신 억척이셨음에랴.  그 시절엔 6.25 전쟁 이후라 너나할 것 없이 그렇듯 고생스러웠고, 그렇게 부지런하지 않음 대가족이 잘 꾸려질 수가 없었다.  덕분에 우리 가족은 보릿고개란 어려움이 없었고 아주 넉넉지는 않았지만 늘 차르르 흐르는 흰쌀밥에 반찬 걱정을 해 본 적이 없었다.                  

  어쨌든 엄마가 안고계셨던 간난 애기, 사촌 동생은 가끔 소식을 주고 받고 있어, 역시 오래 전에 뉴욕으로 이민을 가 지내고 있지만, 완전 백발이 된 할아버지의 모습이어서 참으로 인생의 무상함을 느끼게 된다.  늘 애지중지 잘 간직했던 그 실제 모습의 원숭이 인형은 그 사촌 녀석이 험하게 이어받은 어린시절로 거덜이 났지만...


  참, 산(山) 이야기를 하려다 엇길로 빠져- 산은 어린시절부터 할머니 할아버지 그리고 내 엄마와 같은 그리움이요 고요함이다. 

  그 당시 집 대문만 나서면 아래로 내려다 보이는 동리와 아랫 마을...그리고 논밭이 펼쳐져있고, 뒤로는 묵묵히 나즈막한 산과 나무들이 있어 친근감 있는 말없는 친구와 같았다.  그 모든 것들이 조용했지만 실상 내 감성에 말없이 자리한 소리들이 아니었을까?  먼저 살던 '능말' 가까운 골짜기 아래엔 물동이를 이러 가신 할머니의 샘터가 있어, 세상의 사물들이 눈에 들어오기 시작한 어린 내게는 신기함 자체여고, 입술과 가슴에 와 닿는 샘물의 짜릿함이란!  골짜기에서 불어오는 바람 소리에 민감한 채 연신 할머니를 채근하며 의문나는 사물에 대하여 묻곤 하였으니까.  또 참으로 예쁜 산새 소리, 가을을 알리는 뀌뚤이 소리는 어떠했는고!  "할머니, 저게 귀뚜라미야?  또 요건 메뚜기야요?  연신 물어대는 어린 손자의 질문에 귀찮으셨을 테지만, 한번도 언짢은 내색을 하지 않으신 우리 할머니!


  그렇다.  이제사 알고보니, 지금 내가 보고있는 책 한 페이지도 어린시절의 나비나 벌, 풀벌레와 무관하지 않음을 깨닫게 된다.

책이란 나무로 만들어졌고 그 나무는 천상천하 유아독존 저절로 자란 것이 아니라 공기와 구름, 비, 여러 곤충들...등 온갖 자연 친구들과의 교감과 은혜로 자랐을 테니, 얼마나 소중한 한 권의 책인가! 

   그렇게 보고 느끼고 자란 산과 나무들...그래서 모든 사물들과 나와 무관하지 않은 아주 가까운 친구들에게 고마움을 느낀다.  이 세상에 태어나 지금 이렇듯 잘 살아가고 있음에 하느님께 감사와 찬미드린다.


  이맘때 이른 봄이면 가장 먼저 필 노오란 생강나무를 보러 산엘 가야겠다.    


생활나눔

일상의 삶의 체험을 나눕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8 산책 겸 운동 T 평화/ 선 올해 70세가 되시고 오래 전 이민의 삶을 선택하신 롱아일랜드의 작은엄마가 가끔 좋은 메일을 주신다. 지난 봄이었나싶다. 연락도 없이 갑짜기 학교 ... 1 2010.07.18 2144
207 산을 바라보는 나의 나이는 몇...? T 온 누리에 평화가 가득   얼마전 동대문에 갔다가 꽃시장에서 30Cm 정도 되는 작은 '편백나무' 한 그루가 눈에 띄어 저에겐 거금인 3만원을 주고 사다가 ... 2 김맛세오 2013.08.04 2928
» 산(山) 아이 T 온 누리에 평화가...   꼭 11년 전에 보름 정도 막내 숙부 내외의 초청으로 미국, '롱 아일랜드'(뉴욕 바로 옆)라는 곳에 체류한 적이 있었다.   우리나라... 김맛세오 2017.03.06 1203
205 사진에 관한 이런저런 이야기 T 평화를 빌며...   꼽아보면 사진찍기를 좋아해 취미로 찍어온지 어림잡아 25년 이상 되었으니, 적은 세월은 아니리라.   아마도 처음 사진을 대한 것은... 김맛세오 2018.11.19 1075
204 사진 이야기 T 평화가 온 누리에...   사진...하면, 역시 어린시절로 거슬러 올라가 떠오르는 것들이 참으로 많다.   사진기가 매우 귀했던 동작동 어린시절에 우리 집엔 ... 김맛세오 2017.07.18 1075
203 사실 매화보다 섬진강 물결이... T 평화가 온 누리에...   이맘때면 매화가 피기 시작했을 터인데...콤퓨터에 광양의 매화마을을 처보니, 거의 다 예전에 실은 사진이나 글이어서 올해엔 며칠... 김맛세오 2017.03.27 1129
202 사랑하는 울 엄마 T 온 누리에 평화     "엄마!  엄마보다 내가 먼저 죽겠네!"     그랬다.  살아계셨던 꼭 12년 전에, 나는 엄마에게 몹쓸 말을 내 뱉었다.     엄마는 그 ... 김맛세오 2014.09.15 1615
201 사랑초 이야기 T 온누리에 평화가 가득 내 방엔 거의 늘 라기도 하고 라기도 하는 화초가 거의 1년 열두달 꽃피우고 있다. 잎 모양은 토기풀 같지만 꽃은 자그마한 분홍 빛을 띄... 2008.11.06 1958
200 사랑의 무지개 사랑의 무지개"무지개를 구름 사이에 둘 것이니, 이것이 ... 계약의 표징이 될 것이다"(창세 9,13).0.01 그램 같은미미한 사랑이라 할지라도실천하기만 하면그 사... 고파울로 2024.02.18 81
199 사랑을 듬뿍 주신 분들 덕분에... T 평화와 선   "난 사랑을 많이 받으며 지내왔다."는 표현을 곧잘 하는데, 실제가 그랬다.   지난 달에 영면하신 막내 숙부님을 비롯하여, 참으로 많은 어른... 김맛세오 2017.11.15 1098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 52 Next ›
/ 5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