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No Attached Image

너희는 이 작은이들 가운데 하나라도 업신여기는 없도록 주의하여라.”

 

저는 오늘 복음말씀 중에서 업신여긴다는 우리말에 주목을 하였습니다.

우리말 업신여기다는 한자어 무시無視'와 같은 말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업신여기는 것은 없이여기는이 연음이 되어 그리 된 말이라는 거지요.

 

무엇이 분명 있는데 그것을 없이 여기는 것이 업신여기는 것인데

무엇을 없이 여기느냐 하면 큰 것, 큰 사람은 없이 여기지 않고,

작은 것, 작은이들은 있어도 있으나마나한 것으로 없이 여기는 것입니다.

 

이것이 우리 가운데 너나할 것 없이 흔히 저지르는 잘못입니다.

사랑을 하지 않으면 작은 것은 눈에 들어오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오늘 우리가 주님 말씀에 충실하여 작은이들을 사랑할 때

이 때 작은이들은 두 가지입니다.

존재적으로 작은이와 숫자적으로 작은이입니다.

 

존재적으로 작은이란 보잘것없는 사람 하나를 가리키는 것이지요.

너무 볼품이 없거나 어떤 면에서건 존재의 영향력이 거의 없어서

보자고 해도 볼 것이 없는 사람들이 우리 가운데는 늘 있지요.

 

그런데 그것은 사랑이 없는 사람의 눈에만 그런 것입니다.

사랑이 참 사랑이라면 크기를 가지고 사랑하는 것이 아니라

존재를 그대로 사랑하는데 사랑이 없을 때는 커야지만 보이지요.

 

그런데 한 번 사랑을 해보십시오.

작은 것이 결코 작지 않고 참으로 위대합니다.

그래서 우리 안에 사랑이 가득하면

사랑 없을 때는 안 보이던 이름 없는 작은 꽃도 눈에 들어오고

그 작은 꽃이 그렇게 아름답고 소중하고 대단할 수가 없습니다.

 

게다가 그것이 큰 나무와 수풀 가운데 수줍게 피어 있거나

콘크리트 틈 사이에서 용케 피어나거나 하면

그 아름다움이, 그 생명력이, 그 겸손함이 정말 대단하지요.

 

다음으로 사랑을 하면 숫자적으로 작은 것도 업신여기지 않습니다.

오늘 복음의 비유에서 주님께서 말씀하시는 그 한 마리 양입니다.

 

어떤 사람에게 양 백 마리가 있는데 그 가운데 한 마리가 길을 잃으면,

아흔 아홉 마리를 산에 남겨 둔 채 길 잃은 양을 찾아 나서지 않느냐?”

 

이 비유에서 한 마리는 한 마리라고 해서 무시되지 않고

아흔아홉 마리 때문에 무시되지도 않으며

그 한 마리가 멋대로 길을 벗어났을지라도 무시되지 않습니다.

 

우리는 종종 숫자적 폭력을 자행합니다.

흔히 말하듯 숫자로 밀어붙이는 것입니다.

 

같이 음식점에 가서 다른 사람들은 다 같은 것을 먹는데

혼자 다른 것을 굳이 먹겠다고 하면 곱지 않은 눈길을 보낸다거나

그냥 같은 것 먹으라고 밀어붙이는 그런 작은 것에서부터

집안의 중요한 것을 들여놓거나 시간표를 공동으로 짤 때

한 사람의 의견을 쉽게 무시해버리는 것에 이르기까지 폭력적입니다.

 

그런데 비록 다수결에 따라 그의 의견을 받아들이지 않을지라도

우리가 사랑으로 그리 하는 것이라면

그의 의견을 받아들이지 않는 것이지 그를 무시하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그의 의견을 받아들이지 않는 것을 매우 미안해 할 것이고,

그 의견도 좋지만 이 의견이 나아 채택한 거라고 해명할 것입니다.

 

그렇습니다. 우리는 한 사람, 한 사람을 사랑합니다.

모든 사람을 사랑할지라도 한 사람, 한 사람을 모두 사랑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사랑을 한다면 한 사람을 사랑할 것이고,

모든 사람을 사랑한다면서 한 사람도 사랑치 않는 

그런 우를 저처럼 범하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말씀 나눔

매일미사 독서와 복음, 그리고 성 프란치스코의 글 묵상나눔

  1. No Image 10Aug

    성 라우렌시오 부제 순교자-뿌릴 씨 없어도 많이 뿌리라시는 하느님

    “적게 뿌리는 이는 적게 거두고 많이 뿌리는 이는 많이 거두어들입니다.” “밀알 하나가 땅에 떨어져 죽지 않으면 한 알 그대로 남고, 죽으면 많은 열매를 맺는다.”   오늘 성 라우렌시오 축일의 독서와 복음은 씨앗 얘기가 공통입니다. 그런데 서간과 복...
    Date2016.08.10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0 Views1674
    Read More
  2. No Image 09Aug

    연중 19주 화요일-사랑을 한다면 한 사람을 사랑하라!

    “너희는 이 작은이들 가운데 하나라도 업신여기는 없도록 주의하여라.”   저는 오늘 복음말씀 중에서 업신여긴다는 우리말에 주목을 하였습니다. 우리말 ‘업신여기다’는 한자어 ‘무시無視'와 같은 말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업신여기는 것은 ‘없이’와 ‘...
    Date2016.08.09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0 Views1783
    Read More
  3. No Image 08Aug

    연중 19주 월요일-성전세를 면제 받을 자격이 있나?

    “자녀들은 성전 세를 면제받는다.”   오늘 복음에서 성전 세를 거두는 이들로부터 예수님께서 성전 세를 내시는지에 대한 질문을 받으십니다. 이에 대해 예수님께서 하느님의 아들이시며 예수님께서 바로 성전이심을 아는 우리는 기가 막힌다고 할 것입...
    Date2016.08.08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1 Views1778
    Read More
  4. No Image 07Aug

    연중 제 19 주일-사랑만큼 깨어있는 법이니

    “행복하여라, 주인이 와서 볼 때에 깨어있는 종들!”   오늘 주님께서는 주인을 위해 깨어있는 종들은 행복하다고 하십니다. 밸이 꼬여 하는 말일 수도 있지만 이 말에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종만 주인을 위해서 깨어있어야 하는 것인가? 주인은 종에...
    Date2016.08.07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0 Views1449
    Read More
  5. No Image 06Aug

    주님의 거룩한 변모 축일-우리는 덕으로 본다.

    “예수님께서 베드로와 야고보와 요한만 따로 데리고 높은 산에 오르셨다. 그리고 그들 앞에서 모습이 변하셨다.”   우리가 잘 알다시피 제자들 앞에서 예수님께서 당신 모습을 바꾸심은 당신을 위한 것이 아니라 제자들, 특히 세 제자를 위한 것입니다. ...
    Date2016.08.06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1 Views1493
    Read More
  6. No Image 05Aug

    연중 제18주간 금요일

     사람에게 자기 목숨만큼 귀중한 것이 없기에,  그것을 잘 간직하려고 노력합니다.  하지만 자기 목숨이 너무나 중요한 나머지  자기 목숨만 구하려는 사람을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선택의 상황에서  내 목숨과 다른 사람의 목숨 중 하나만 선택해야 한...
    Date2016.08.05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명겸요한 Reply0 Views577
    Read More
  7. No Image 05Aug

    연중 18주 금요일-길을 따라나설 것인가, 말 것인가?

    어제 주님께서는 당신이 가시는 길을 막고 나선 베드로에게 ‘사탄’, ‘걸림돌’이라고 하시며 “내게서 물러가라.”고 하셨습니다. 그런데 내게서 물러가라는 말씀을 영어로 보면 “Get behind me”로서 당신 뒤에 있으라는 말씀입니다.   사탄인 베드로가 예...
    Date2016.08.05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1 Views1500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808 809 810 811 812 813 814 815 816 817 ... 1321 Next ›
/ 132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